728x90

축산업/정육상식 830

등심 샤브샤브 만들기

등심 샤브샤브 만들기 샤브샤브는 팔팔 끓는 국물에 아주 얇게 썬 쇠고기를 살짝 익혀 새콤한 소스를 찍어 먹는 요리를 말하는데요. 샤브샤브는 중국의 '슈안양로(양고기를 뜨거운 화로에 데쳐 먹는 요리)'를 교토의 한 일본인이 이를 배워 일본인의 취향에 따라 양고기 대신 소고기를 넣어서 먹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후 1952년에 오사카의 한 일본인이 샤브샤브란 메뉴를 만들어 1955년에 상표등록을 하게 되었습니다. 샤브샤브의 뜻은 일본어로 "살짝 살짝/찰랑 찰랑" 이라는 의태어라고 하네요. 이에 대하여 한국 음식 연구가들은 한국의 전통요리법에도 토렴이라는 샤브샤브와 유사한 방식이 삼국시대부터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토렴이란, 밥이나 국수에 뜨거운 국물을 부었다가 따라내는 것을 여러 번 반복하여 데우는 것을..

등심 너비아니 만들기

등심 너비아니 만들기 너비아니는 고기를 너붓너붓하게 썰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쇠고기를 약간 도톰하게 저며 칼집을 내 양념에 재웠다가 석쇠에 구운 것을 말합니다. 너비아니는 고구려 때 먹었던 맥적(貊炙 : 고기를 장으로 양념하여 꼬치에 끼워 직화로 구워먹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맥적은 고려시대에 들어 불교의 영향으로 육식을 절제하는 생활로 소의 도살법과 그 조리법이 잊혀졌었으나, 몽고사람의 영향으로 개성에서 설하멱(雪下覓)이 되었고, 현재의 너비아니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규합총서(閨閤叢書 : 1815년)'에 설하멱에 대하여 “등심살을 넓고 길게 저며 전골 고기보다 훨씬 두껍게 하여 칼로 자근자근 두드려 잔금을 내어 꼬치에 꿰어 기름장에 주무른다. 숯불을 싸게 피워 위에 재를 얇게 덮고 굽되..

등심 불고기 만들기

등심 불고기 만들기 불고기는 소고기를 얇게 썰어 양념장에 재웠다가 구워 먹는 음식으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음식 중의 하나로서, 불고기를 비롯한 전통 육류 구이는 고구려 때 먹었던 맥적(貊炙 : 고기를 장으로 양념하여 꼬치에 끼워 직화로 구워먹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불고기란 단어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일제시대 말기부터 광복 이후의 시기에 너비아니 대신 불고기라는 단어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불고기는 원래 평양 지역에서 사용되던 방언인데, 이 시기에 서울로 전파되면서 너비아니를 대체하는 용어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불고기의 종류에는 광양불고기, 언양불고기 등의 석쇠불고기(양념한 소고기를 석쇠를 이용해 물기 없이 숯불에 바싹 구워내는 것)가 있고, ..

등심 스테이크 만들기

등심 스테이크 만들기 등심은 마블링의 풍미와 맛이 좋아 스테이크로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등심은 오래 굽게 되면 육즙이 증발하여 질겨지고 퍽퍽하게 되므로 주의하여야 합니다. 재료 등심(두께 1.3㎝ 이상), 올리브유, 버터, 스테이크 소스, 각종 채소 1. 고기의 두께는 너무 얇지 않아야 합니다. 고기가 너무 얇으면 굽는 과정에서 스테이크가 뒤틀리거나 골고루 구워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2. 등심의 핏물을 키친타올을 이용하여 제거합니다. 3. 상온에서 소금과 후추로 알맞게 간을 합니다. 소금은 고기의 표면에 있는 불필요한 수분을 없애고, 고기를 탄탄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4. 등심의 육즙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면과 뒷면에 골고루 올리브유를 발라주고 상온에서 약 30분 ~ 1시간 정..

등심 로스구이 만들기

등심 로스구이 만들기 로스구이는 고기를 불에 굽는 요리방법을 말하는데요. 등심은 육질이 곱고 연하며, 지방이 적당하게 섞여 있으므로 로스구이로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등심은 그 자체만으로도 맛이 있으므로 좋은 등심만 있다면 별다른 재료가 없어도 등심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그럼, 좋은 등심은 어떻게 골라야 할까요?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59 식육판매표지판으로 확인하는 방법으로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60 재료 등심, 구운 소금, 참기름 또는 들기름, 각종 채소 등심도 안심살과 동일하게 완전히 익히면 질겨지게 됩니다. 따라서, 불판이 달궈지면 등심을 올리고, 등심의 윗면에 육즙이 올라오면 뒤집..

소고기 등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3편 등심의 요리용도)

소고기 등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3편 등심의 요리용도 지난 번에 등심이 어떻게 발골과 정형이 되는지 알아봤으니 이번엔 등심을 어떤 용도로 쓰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등심은 어떤 요리에 적합할까요? 등심은 100g당 378kcal로 안심보다는 칼로리가 높은 편에 속합니다. 등심은 육질이 곱고 연하며, 지방이 적당하게 섞여 있으므로 스테이크, 로스구이, 불고기 등의 요리에 적합합니다. 1. 윗등심살 로스구이 스테이크 불고기 너비아니 등심전골 2. 꽃등심살 로스구이 스테이크 불고기 너비아니 샤브샤브 3. 살치살 로스구이 스테이크 4. 아래등심살 로스구이 스테이크 너비아니 샤브샤브 등심 로스구이 만들기로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362 등심 스테이크 만들기로 바로가기..

소고기 등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2편 등심의 발골 및 정형)

소고기 등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2편 등심의 발골 및 정형 지난 번에 소고기 등심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떤 성분 등이 있는지 기본적인 내용을 알려드렸으니 이번엔 어떻게 등심이 생산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등심은 어떻게 발골과 정형을 하게 될까요? 등심의 정형기준에 대하여는 농림부고시 “식육의 부위별·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방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등심의 분할정형기준 등심의 발골 및 정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등심의 위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 내측 반도체 외측 소 한 마리를 미추, 천추, 요추, 흉추 및 경추 중앙선을 따라 좌우로 균등하게 절단하여 2분도체로 나눴을 때 등심은 위와 같은 부위에 위치하게 됩니다. 2분도체에서 제13흉추와 제..

소고기 등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1편 등심의 기초)

소고기 등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1편 등심의 기초 등심은 소의 제1흉추에서 제13흉추까지의 흉추를 중심으로 양쪽에 길게 붙어 있는 살코기입니다. 등심은 왜 등심이라고 불리게 되었을까요? 등심에서의 ‘심’은 한자의 심(心)이 아니라 ‘힘’ 또는 ‘근육’을 지칭하는 우리말로서, 등심은 등의 힘살 또는 등근육을 의미합니다. 등심이 위치한 그림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등심은 갈비 전체의 위쪽 등뼈 좌우로 원통모양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안심과 비교하여 지방질이 많은 편이고 육질이 곱고 연합니다. 그렇다면 등심은 소 한 마리에서 얼마나 생산이 될까요? 구분 암소 숫소 거세 도체중량 254.51㎏ (100.00%) 365.13㎏ (100.00%) 347.89㎏ (100.00%) 등심 생산량 24.74㎏ (9.72..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1편 안심의 기초)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1편 안심의 기초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합니다. 그러려면 기본적으로 안심이 어디에 있는 부위인지, 어떤 성분이 있는지 등의 기본적인 내용을 알아보면 도움이 되겠지요? 안심은 소의 요추골 안쪽에서 요추를 따라 길게 자리잡고 있는 가늘고 긴 원통형의 단일근육입니다. 안심은 왜 안심이라고 불리게 되었을까요? 안심에서의 ‘심’은 한자의 심(心)이 아니라 ‘힘’ 또는 ‘근육’을 지칭하는 우리말로서, 안심은 안쪽의 힘살 또는 안쪽의 근육을 의미합니다. 아래 그림으로 보면 왜 안심으로 불리게 됐는지 이해가 되실 것 같네요. 안심은 요추골 안쪽 복강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운동량이 많지 않은 부위입니다. 따라서, 조직이 부드럽고 연하며, 저지방의 담백한 부위로서 근내지방도..

안심 냉채 만들기

안심 냉채 만들기 냉채는 차게 만들어 먹는 채를 말하는데요. 주로 전복, 해삼, 닭고기 등을 이용하지만 소고기 안심을 넣어서도 냉채를 만들 수 있습니다. 재료 안심, 파프리카, 팽이버섯, 당근, 양파, 쑥갓 등 각종 채소, 연겨자, 매실액, 다진마늘, 식초, 소금, 들깨, 올리고당, 물 1. 각종 채소를 깨끗하게 씻고 채를 썰어 줍니다. 2. 안심살을 노릇노릇하게 구워줍니다. 이 때 너무 오래 구우면 고기가 질겨질 수 있으니 조심하셔야 합니다. 3. 잘 안심살을 구워진 안심살을 적당한 두께와 길이로 채썰어 주세요. 4. 물, 연겨자, 식초, 올리고당을 1.5 : 1: 1: 1 비율로 섞고, 다진 마늘과 들깨, 소금 약간도 섞어줍니다. 5. 채썬 각종 채소와 안심을 겨자소스에 골고루 버무리면 됩니다. 안심..

안심 로스구이 만들기

안심 로스구이 로스구이는 고기를 불에 굽는 요리방법을 말하는데요. 안심살은 부드럽고 결이 고우며 맛도 좋아 로스구이로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재료 안심, 구운 소금, 참기름 또는 들기름, 각종 채소 안심살은 근내지방(마블링)이 많지 않아 완전히 익히면 질겨지므로 중간정도로 익혀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로스구이는 보통 소금장이나 기름장을 찍어서 먹습니다. 소금장은 소금에 후추를 섞은 것이며, 기름장은 참기름이나 들기름에 소금과 후추를 섞은 것을 말합니다. 소금장과 기름장은 197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가공소금과 함께 고기문화가 발전하면서 탄생한 신식 소금섭취법이라고 합니다. 소금장이나 기름장을 만들 때 소금은 구운 소금을 사용하면 자극적이지 않고 구수한 맛이 난다고 하네요. 또한, 기름장은 고기의 ..

안심 전골 만들기

안심 전골 만들기 재료 안심, 배추잎 3장, 우엉, 구운 두부, 대파, 당면, 표고버섯, 간장, 설탕, 맛술, 다시마국물 1. 안심살을 얇게 썰어서 접시에 펴서 담습니다. 2. 배추잎은 어슷썰기를 합니다. 3. 양파는 반으로 잘라 5㎜ 정도로 썰어 줍니다. 4. 우엉도 알맞게 썰어 줍니다. 5. 대파도 어슷썰기를 해줍니다. 6. 당근은 얇게 썰어줍니다. 7. 표고버섯을 물에 충분히 불린 후 물기를 짜서 적당한 크기로 썰어줍니다. 8. 두부를 구운 후 먹기 좋을 만한 크기로 썰어주세요. 9. 전골냄비에 얇게 썬 안심살을 펴서 담고 설탕을 골고루 뿌린 후 간장을 넣어 고기를 굽고, 딱딱한 야채부터 담아 설탕과 간장으로 간을 맞춥니다. 이 경우, 국물이 필요할 때에는 약간의 육수를 붓도록 합니다. 안심의 기초..

안심 스테이크 만들기

안심 스테이크 만들기 안심은 소고기 중 가장 부드러운 부위이므로 스테이크로 많이 애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안심은 근내지방(마블링)이 많지 않아 오래 굽게 되면 질겨지는 특성이 있으니 주의하여야 합니다. 재료 안심(두께 1.3㎝ 이상), 올리브유, 버터, 스테이크 소스, 각종 채소 1. 고기의 두께는 너무 얇지 않아야 합니다. 고기가 너무 얇으면 굽는 과정에서 스테이크가 뒤틀리거나 골고루 구워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2. 안심의 핏물을 키친타올을 이용하여 제거합니다. 3. 상온에서 소금과 후추로 알맞게 간을 합니다. 소금은 고기의 표면에 있는 불필요한 수분을 없애고, 고기를 탄탄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4. 안심의 육즙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앞면과 뒷면에 골고루 올리브유를 발라주고 상온에서 약..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3편 안심의 요리용도)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3편 안심의 요리용도 지난 번에 안심이 어떻게 발골과 정형이 되는지 알아봤으니 이번엔 안심을 어떤 용도로 쓰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심살은 어떤 요리에 적합할까요? 안심살은 100g당 148kcal로 다이어트 요리에도 적합하며, 스테이크, 전골, 로스구이, 냉채 요리에 적합합니다. 0 03 스테이크 전골 로스구이 냉채 스테이크 만들기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81 안심전골 만들기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82 로스구이 만들기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83 안심냉채 만들기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184 추천과 댓글은..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2편 안심의 발골 및 정형)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제2편 안심의 발골 및 정형 지난 번에 소고기 안심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어떤 성분 등이 있는지 기본적인 내용을 알려드렸으니 이번엔 어떻게 안심이 생산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고기의 최고급 부위에 해당하는 안심은 어떻게 발골과 정형을 하게 될까요? 안심의 정형기준에 대하여는 농림부고시 “식육의 부위별·등급별 및 종류별 구분방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안심의 분할정형기준 그냥 봐서는 내용이 어려워 잘 와닿지 않을텐데요.. 안심의 발골 및 정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안심의 위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 내측 반도체 외측 소 한 마리를 미추, 천추, 요추, 흉추 및 경추 중앙선을 따라 좌우로 균등하게 절단하여 2분도체..

2013년도 도축장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운용수준 평가결과 입니다..

2013년도 도축장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운용수준 평가결과 입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도축장 위생수준의 개선 및 소비자의 신뢰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전국 134개 도축장(소·돼지 79개소, 닭·오리 55개소)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운용수준 평가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평가결과 총 134개소 중 상등급 42개소(31%), 중등급 71개소(53%), 하등급 21개소(16%)로 나타났으며, 전체 도축장의 약 84%가 중등급 이상으로 평가를 받아 도축장의 위생수준이 전년도에 이어 높은 수준에서 안정화된 것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중등급 이상 연도 평가결과 2010 65% 2011 79% 2012 85% 2013 84% 농림축산식품부는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운용수준 평가를 통하여 도축장의 위생수..

황소의 어원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황소의 어원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황소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누런 소를 연상하게 되는데요. 즉, 황소를 누루 황(黃)과 소(牛)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것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황소에는 다른 의미도 있습니다. 즉,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황소’를 ㉠ 큰 수소와 ㉡ 누런 소(=황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황소가 누런 소라는 것은 대부분 알 수 있으나, 큰 수소를 의미한다는 것은 바로 와닿지 않을 것 같은데요. 황소는 원래 ‘황’과 ‘소’로 분석되지만, ‘황’은 한자 ‘황’(黃)에서 온 것이 아니고, ‘한쇼’의 변화형입니다. 그럼 한쇼는 무엇일까요? ‘한쇼’는 ‘한’과 ‘쇼’로 분석되는데, ‘쇼’는 오늘날의 ‘소’를 의미하고, ‘한’은 ‘크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래 ‘한쇼’는 암소나 수소와 상..

한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한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한우(韓牛)는 대표적인 한국 고유의 소 품종으로서, 약 2000년 전부터 농경, 짐운반, 고기의 이용, 전투용, 무역품 등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농촌의 근대화로 한우의 역용가치는 급속히 감소하고, 육용가치가 점차 증대되고 있습니다. 한우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다음과 같은 황소의 이미지가 떠오를텐데요. 황 소 그러나, 한우는 황소만이 있는 건 아니랍니다. 조선 초기의 문신 조준(趙浚)·김사형(金士衡) 등이 편찬했다는 조선시대의 수의학서인 “조선우마의방”에 따르면 한우에는 황소 이외에 여러 종류의 토종 한국 소가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조선우마의방 또한, 1912년대 경상도의 한우 분포조사현황에 따르면 황소는 80%가 안되고, 흑갈색소, 흑우,..

소고기의 구입요령 - 3. 소고기의 용도

소고기의 구입요령 3편. 소고기의 용도 소고기는 근육의 구성과 형태, 운동량 등에 따라 육질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요리 또한 그에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즉, 소고기는 각 부위별로 특성이 있으므로 요리 용도에 적합한 부위를 선택하는 것이 좋은 소고기를 고를 수 있는 요령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1) 안심 안심 안심은 등뼈의 바깥쪽에 있는 채끝살의 안쪽에 붙어 있는 가늘고 긴 고기로 갈비뼈가 끝나는 13번 뼈의 바깥쪽과 척추뼈 안쪽에 각각 1개씩 2개가 있습니다. 안심은 1개의 무게가 약 3㎏ 정도이며, 한 마리의 소에서 약 1.6%만이 생산되는 최고급 부위로서, 척추뼈 안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움직임이 없어 조직이 부드럽고 연하며, 저지방으로 담백한 부위이므로 다이어트 요리에도 적합하고, 주..

소고기의 구입요령 - 2. 식육판매표지판으로 확인하는 방법

소고기의 구입요령 2편. 식육판매표지판으로 확인하는 방법 소고기를 구입할 때 소비자가 육안으로 소고기의 육질을 판단하기 어려울 때에는 식육판매표지판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좋은 소고기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식육판매표지판은 식육판매 영업자가 식육을 판매할 때 식육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기재하는 것으로 1998년 7월 3일 축산물가공처리법(축산물위생관리법) 개정시부터 적용된 제도입니다. 식육판매표지판 식육판매표지판은 이렇게 생겼답니다. 그럼, 이제 식육판매표지판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원산지 원산지 “원산지”란에는 국내산 또는 수입고기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국내산은 품종을 불문하고 국내에서 태어난 소 또는 외국에서 생우로 들어와 6개월 이상 사육된 ..

소고기의 구입요령 - 1.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소고기의 구입요령 소고기를 재료로 맛있는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요리하는 사람의 솜씨도 중요하지만 좋은 재료, 즉 좋은 소고기를 선택하고 그 부위에 맞는 요리방법을 선택하여야 합니다. 좋은 소고기란 무엇일까요? 좋은 소고기는 아마도 가격 대비 품질이 좋은 경우를 의미하는 것에 동의할 것입니다. 따라서, 소고기로 맛있는 요리를 하기 위해서는 가격 대비 품질이 좋은 소고기를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이 소비자에게도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좋은 소고기를 구입하는 요령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식육판매표지판으로 확인하는 방법, 용도에 맞는 부위를 선택하는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편.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소비자는 고기 전문가가 아니므로 육안으로 소고기의 육..

소의 품종. 유육겸용종

소의 품종. 유육겸용종 3. 유육겸용종 유육겸용종은 우유와 고기를 같은 정도의 비중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의 품종을 말합니다. (1) 덱스터종 덱스터종(♀) 덱스터종(♂) 덱스터종은 아일랜드가 원산지이며, 모색은 흑색 또는 진한 적색으로 상향각의 큰 뿔이 있다고 합니다. 조악한 사료조건에 잘 견디고, 장수하는 특성이 있으며, 체구는 영국에서 사육되는 품종 중에서 제일 작고, 다리가 대단히 짧으며. 성숙한 암소의 체고는 110cm, 체중은 350kg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독일 적색반문종 독일 적색반문종(♀) 독일 적색반문종(♂) 독일 적색반문종의 피모색은 진한 적색에 흰 얼룩이 있고, 안면에 흰 반점이 있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체구는 중간형이나 근육의 발달이 좋은 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소의 품종. 유용종

소의 품종. 유용종 2. 유용종 유용종은 젖의 생산(우유)을 주목적으로 기르는 소의 품종을 말합니다. (1) 건지종 건지종(♀) 건지종(♂) 건지종은 영국해협의 채널 제도에 속해 있는 건지섬이며, 모색은 담황색 또는 적색에 흰 얼룩무늬가 있다고 합니다. 성품이 매우 활동적이며, 온순하여 관리가 수월하고, 추위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강한 편이며, 체고는 암소 125cm, 수소 137cm 가량이며, 체중은 암소가 450~500kg, 수소는 700~800kg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2) 게리종 게리종(♀) 게리종(♂) 게리종은 영국의 아일랜드 남서부 케리(Kerry)가 원산지이며, 모색은 흑색이나 암소는 유방부에 백반이 있다고 합니다. 체질은 강건하고, 채식성이 양호하며, 체격은 왜소한 편으로 성숙체중은 ..

소의 품종. 육용종

소의 품종. 육용종 1. 육용종 육용종은 고기의 생산을 목적으로 식용으로서의 품질이 좋고 고기 비율도 많도록 개량 고정된 품종을 말합니다. (1) 갤로웨이종 갤로웨이종(♀) 갤로웨이종(♂) 갤로웨이종의 원산지는 영국 스코틀랜드 서남부 커쿠브리(Kirkcudbright)와 위그타운(Wigtown)이며, 비가 많고 바람이 많은 기후특성에 따라 강건하고 추운 기후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고 합니다. 긴 털이 곱슬하게 솟아 있으며, 영국의 육용종 중 가장 작은 편으로서, 300일령 체중은 암소와 수소가 각각 196kg과 264kg이며, 500일령 체중은 암소와 수소가 각각 261kg과 415kg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데본종 데본종(♀) 데본종(♂) 데본종의 원산지는 영국 남서부지역 데본(Devon)이며, 진한..

소~ 어디까지 알고있니? 소의 품종을 알아보자

소~ 어디까지 알고있니? 소의 품종을 알아보자.. 소의 품종은 소의 외모적인 특성, 모색(毛色), 체형(體型), 체격(體格)등과 소의 생산능력 등이 유전적으로 비교적 같은 무리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소의 품종은 세계적으로 소를 사육하는 목적에 따라 고기를 생산하는 순수한 육용종만도 46개 품종에 이르고, 그 외에 유용종, 역용종, 겸용종 및 재래종을 합하면 449개 품종이지만, 일반적으로 용도에 따른 분류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고기생산이 주목적인 육용종, 우유생산을 주목적으로 유용종, 노동력 이용이 주목적인 역용종, 용도를 겸하고 있는 겸용종이 있으며, 겸용종은 우유와 고기 생산을 겸한 유육겸용종, 우유와 노동력을 겸한 유역겸용종, 노동력과 고기 생산을 겸한 역육겸용종 등으로 분류됩니다. 쇼트혼종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