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관련 인증제도 387

녹색소비자연대 청결사랑 정육점 2015년 대전시 중구 인증 현황

녹색소비자연대 청결사랑 정육점 2015년 대전시 중구 인증 현황 업체명 주소 전화번호 행복한축산 대전시 중구 태평2동 042-527-8844 외양간정육점 대전시 중구 문화동 141 042-581-4559 진영푸줏간 대전시 중구 대흥동 보문로67번길 31 목양농장정육점 대전시 중구 목동 24외6필지 042-242-0247 문창축산미트마켓 대전시 중구 문창로10번길 7 042-255-0049 대관령축산 대전시 중구 문화동 311-12 042-587-8880 외양간정육점 대전시 중구 문화1동 141 042-581-4559 무지개축산 대전시 중구 용두동 114-13 042-223-8789 중촌한우축산 대전시 중구 중촌동 100-1 042-221-6567 칠성정육점 대전시 중구 대사동 118-3 042-256-5..

녹색소비자연대 청결사랑 정육점 2015년 대전시 동구 인증 현황

녹색소비자연대 청결사랑 정육점 2015년 대전시 동구 인증 현황 업체명 주소 전화번호 하늘채정육마트 대전시 동구 대성동 130 042-282-2821 용방축산물도매센터 대전시 동구 용운동 460 042-273-2020 계룡산축산 대전시 동구 가양2동 40-21 042-634-6660 아침마을미트팜 대전시 동구 가양동 705 042-622-6384 하나로한우 대전시 동구 낭월동 304 042-5285-9285 자이육류백화점 대전시 동구 삼성동 479 042-826-3386 용전한우마을 대전시 동구 용전동 20-14 042-622-2030 보배축산2호점 일등축산 대전시 동구 중동 81-19 042-566-8896 평화정육점 대전시 동구 가양2동 25-10 042-653-6994 신도정육점 대전시 동구 대동 ..

토종가축 토종닭 육질 토착종 인정기준

토종가축 토종닭 육질 토착종 인정기준 가. 심사시기 : 20주령 이내 나. 심사기준 : 심사결과 70점 이상인 경우 해당 다. 육질 토착종(갈색계, 백색계, 횡반계 등) 심사항목 심사내용 배점 1.체중(Weight) 수컷 체중은 3.5kg이고 암컷은 2.5kg정도가 표준이다. 4 2.균형(Symmetry) 및 상태(Condition) 대표적인 육질 전용 품종으로 성질이 보편적으로 온순하고 만숙성인 품종이다. 8 3.볏(Comb) 볏은 밝은 적색을 띄고 있고 작고 단단한 단관 형태를 지니고 있다. 6 4.부리(Beak)-모양, 색깔 부리는 약간 구부러져 있고 중간정도의 길이이며 고유의 색깔이다. 4 5.머리(Head)-모양, 색깔 머리는 갈색계는 갈색이고 백색계는 백색, 횡반계는 횡반을 띄고 있다. 4 6..

토종가축 토종닭 육량 토착종 인정기준

토종가축 토종닭 육량 토착종 인정기준 가. 심사시기 : 20주령 이내 나. 심사기준 : 심사결과 70점 이상인 경우 해당 다. 육량 토착종(황색계, 흑색계, 백색계 등) 심사항목 심사내용 배점 1.체중(Weight) 수컷의 체중은 3~5kg이고 암컷은 3.6kg정도가 표준이다. 4 2.균형(Symmetry) 및 상태(Condition) 대표적인 육용계 품종으로 체형이 크고 강직하게 보이나 성질이 보편적으로 온순하고 만숙성인 품종이다. 8 3.볏(Comb) 흑색계나 황색계의 볏은 밝은 적색을 띄고 있고 작고 단단한 단관 형태를 가지고 있다. 6 4.부리(Beak)-모양, 색깔 부리는 약간 구부러져 있고 중간정도의 길이이며 고유의 색깔이다. 4 5.머리(Head)-모양, 색깔 흑색계는 흑색이고 황색계는 황색..

토종가축 토종닭 재래종 인정기준

토종가축 토종닭 재래종 인정기준 가. 심사시기 : 20주령 이내 나. 심사기준 : 심사결과 70점 이상인 경우 해당 다. 재래종(적갈색종, 황갈색종, 흑색종, 백색종, 회색종 등) 심사항목 심사내용 배점 1.체중(Weight) 수탉의 체중은 1.2~4kg 이고, 암탉은 1.1~1.7kg 정도이다. 4 2.균형(Symmetry) 및 상태(Condition) 체형은 장방형으로 날씬한 모양이고, 재래닭으로서 품위를 유지하고 있고 균형이 잘 잡혀 있어야 한다. 8 3.볏(Comb) 볏의 모양은 홑볏이나 관첨이 5개 내외로 직립되어있고 두께는 얇으며 볏의 색깔은 적갈색재래닭 및 황갈색재래닭 내종은 선홍색이나 흑색재래닭은 암적색을 띄고 있다. 6 4.부리(Beak)-모양, 색깔 부리는 모든 내종에서 단단하며 조금 ..

토종가축 토종돼지 인정기준

토종가축 토종돼지 인정기준 가. 심사시기 : 생후 5개월령 이후 나. 외모특징 구 분 특 징 모색 몸 전체가 순흑색이며 거친(조강모) 것 머리 얼굴이 세장(가늘고 긴형) 돌출로 곧으며, 양 눈 사이에 세로주름이 있는 것 귀 하수되지 않고 직립(상향, 전향)인 것 복부 몸통이 팽대하고 배가 처지며, 옆구리에 주름이 있는 것 둔부 엉덩이가 협소하고 빈약한 것 다. 실격조건 (1) 몸 전체에서 흑색이 아닌 이모색(백반, 백모)이 지름 10cm 이상인 것. (2) 귀가 심하게 늘어진 것. (3) 코끝의 1/2 이상이 흑색이 아닌 것. (4) 정상적인 유두가 10개 미만 또는 유두의 형질이 불량한 것. (5) 수컷 생식기가 정상이 아닌 것. ※ 다만, 인정받은 토종돼지(암, 수) 사이에서 태어난 돼지는 위 실격조..

원주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 현황

원주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 현황 지정업체 주소 전화번호 원주축협 하나로마트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 223-8 033-744-6803 원주농협 중앙점 하나로 마트 강원도 원주시 중앙동 118-8 033-741-5420 원주농협 단계점 하나로마트 강원도 원주시 단계동 857-2 033-741-5566 원주농협 축산물센타 강원도 원주시 행구동 1720-4 033-741-5030 판부농협 하나로마트 강원도 원주시 관설동 1494-12 033-762-2500 남원주농협 하나로마트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흥업리 590-2 033-737-8800 이마트 원주점 강원도 원주시 무실동 1062-1 033-749-1234 김태복축산 강원도 원주시 문막읍 문막리 250-2 033-735-9441 우리소영농조합법인 강원도 원..

원주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원주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제 원주 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제란, 시민들에게 위생적으로 도축・가공된 한우 고급육을 공급하여 한우에 대한 신뢰도의 제고 및 안전한 먹거리의 제공과 한우농가의 정기적인 판로 확보로 축산경쟁력 제고 및 농가소득 증대하기 위하여 원주시가 치악산한우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축산물 판매업소 및 식당을 지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원주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 절차 1. 지정대상 원주 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 지정제는 관내 치악산한우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축산물 판매업소와 치악산 한우고기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식당을 대상으로 합니다. 2. 지정신청 원주 치악산한우 전문판매점으로 지정받고자 하는 자는 원주시 지정 치악산 한우 전문판매점 신청서에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원주시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 현황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 현황 업소명 주소 전화번호 영양숯불갈비 경상북도 영천시 도남동 3-1 054-333-1588 편대장영화식당 경상북도 영천시 금노동 582 054-334-2655 영천신월한우촌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신월리 3 054-333-4422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제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2405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제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제는 한우농가의 경쟁력강화 및 소비촉진을 위하여 영천시가 2008년도에 한우고기만을 판매하는 업소에 대하여 인증을 부여한 제도를 말합니다.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 절차 1. 인증대상 영천시 한우전문음식점 인증제는 관내 한우고기만을 판매하는 업소를 대상으로 합니다. 이 경우, 신청업소는 원산지표시제 이행 등 관계법령을 준수하는 업소이어야 하며, 영업장 위생상태가 청결하고 손님에게 친절한 업소에 해당하여야 하고, 한우고기를 음식의 주재료로 사용하는 업소 및 한우고기를 구이용・탕용・찜용・튀김용・육회용으로 취급하는 업소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다만, 젖소・육우・수입산을 함께 취급하는 업소(돼지고기 등 다른 품목은 제한없음), 신규 영업신고 3개월 미만 업..

토종가축 칡한우(칡소)의 외모 및 체형 세부기준

토종가축 칡한우(칡소)의 외모 및 체형 세부기준 부위 부위별 특징 모 색 - 모색은 황갈색바탕에 검정 또는 흑갈색과 검정색 바탕에 흑갈색 또는 갈색 세로 줄무늬가 몸 전체에 있음 - 모색은 주로 호반무늬:흑색:황색비율이 3:3:4의 비율로 나타나며 황만선도 보임 - 모색이 검더라도 귓속과 뿔과 뿔 사이의 모색이 황색으로 발현됨 체 형 - 유용종(쐐기골)과 육용종의 중간정도임 - 소형종이며 만숙종으로 과거 역용경험에 의하여 전구(앞)부분이 발달하였음 - 수소의 경우에는 견봉(어깨봉우리)가 있으나 암소의 경우는 나타나지 않음 - 후구(요각-좌골)쪽으로는 사구(斜尻:경사진 엉덩이)진 것이 많으며 엉덩이의 기울기만큼 뒷다리가 안쪽으로 배치됨 뿔 - 유각종이며 암소는 가늘고 수소는 굵으나 길이는 짧은 편에 속함 ..

토종가축 제주 흑우의 외모 및 체형 세부기준

토종가축 제주 흑우의 외모 및 체형 세부기준 부위 부위별 특징 모 색 - 주로 전신이 흑색이며 비경이 약간 연한 흑색을 띔 모색은 50%가 검은색, 40% 흑갈색, 10%가 황색으로 발현됨 - 눈, 비경, 꼬리와 발굽은 검다가 생후 5개월령에 흑우의 모색으로 발현됨 - 복부 및 유방주위에 백반이 나타나는 개체가 있음 체 형 - 유용종(쐐기골)과 육용종의 중간정도임 - 소형종이며 만숙종으로 과거 역용경험에 의하여 전구(앞)부분이 발달하였음 - 수소의 경우에는 견봉(어깨봉우리)가 있으나 암소의 경우는 나타나지 않음 - 후구(요각-좌골)쪽으로는 사구(斜尻:경사진 엉덩이)진 것이 많으며 엉덩이의 기울기만큼 뒷다리가 안쪽으로 배치됨 뿔 - 유각종이며 암소는 가늘고 수소는 굵으나 길이는 짧은 편에 속함 - 뿔의 방..

토종가축 일반 한우의 외모 및 체형 세부기준

토종가축 일반 한우의 외모 및 체형 세부기준 부위 부위별 특징 모 색 - 몸 전체가 황갈색(누런빛을 내는 갈색), 담갈색(연한 갈색), 적갈색(붉은 갈색)이며 암소의 유방부위, 암․수소의 다리 안쪽, 배 주위는 약간 엷은 색을 나타냄 - 귀․눈주위․비경(코)근처에 흑색을 나타내기도 하며 흑모(반) 및 백모(반)을 나타내기도 함 체 형 - 유용종(쐐기골)과 육용종의 중간정도임 - 소형종이며 만숙종으로 과거 역용경험에 의하여 전구(앞)부분이 발달하였음 - 수소의 경우에는 견봉(어깨봉우리)가 있으나 암소의 경우는 나타나지 않음 - 후구(요각-좌골)쪽으로는 사구(斜尻:경사진 엉덩이)진 것이 많으며 엉덩이의 기울기만큼 뒷다리가 안쪽으로 배치됨 뿔 - 유각종이며 암소는 가늘고 수소는 굵으나 길이는 짧은 편에 속함 ..

토종가축 한우 총괄기준

토종가축 한우 총괄기준 구분 구분기준 표시 종축 ○ 한우외모 심사기준에 의거하여 등록된 한우 한우(종축등록) ○ 제주 흑우 등록규정에 의하여 등록된 「제주 흑우」 - 제주 흑우 등록우에서 태어난 소 제주흑우(종축) 제주흑우 한우 ○ 일반한우 - 황갈색의 모색에 비경․눈주위․뿔․발굽․항문 등이 흑색이나 체형상 한우라고 인정되는 소 - 백반이 있으나 10cm 이내의 작은 백반(이마백반, 가슴백반 등) - 흑모가 있으나 귀속, 귀주위, 입주위, 목부분 등의 경미한 흑모와 흑반우 - 백반 또는 흑반이 있으나 황갈색의 모색, 체형이 한우라고 인정되는 소(분쟁발생 시 인공수정 기록 확인 또는 DNA검사시 부․모․자식 3샘플에 의거 친자가 확인된 소) 한우(비경흑) 한우(면백) 한우(흑반) 한우(귀속흑모) 한우(가슴..

토종가축 인정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토종가축 인정제 토종가축 인정제란, 토종가축이 우리나라 고유의 유전특성과 순수혈통을 유지하여 외래종과 분명히 구분됨에도 불구하고 유통과정에서 소비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었으므로 정부가 국내 가축유전자원을 보호하는 한편, 소비자들에게는 올바른 구매지표를 제공할 수 있도록 농림축산식품부가 2014년부터 시행한 제도입니다. 토종가축 인정 절차 1. 인정기관 토종가축별 인정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종가축 인정기관 한우·토종돼지 사단법인 한국종축개량협회 토종닭 사단법인 한국토종닭협회 토종오리 사단법인 한국오리협회 토종말 제주특별자치도 축산진흥원 토종벌 사단법인 한국한봉협회 2. 인증신청 토종가축을 인정받기 위하여는 토종가축 인정 신청서에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인정기관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전통식품 품질인증제 항목별 세부 심사항목

전통식품 품질인증제 항목별 세부 심사항목 심사사항 평가구분 배점 가. 공장입지 1) 공장 입지는 축산폐수ㆍ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 발생시설 등에 의하여 나쁜 영향을 받고 있지는 않는가? A. 공장 인근에 축사 등의 오염원이 없고 쾌적한 경우 3.0 B. 공장 인근에 축사 등의 오염원은 없으나 주거지역 등의 인접해 있어 쾌적성이 다소 떨어지는 경우 1.5 C. 공장 인근에 축사 등의 오염원이 존재하는 경우 0 2) 공장에서 원재료ㆍ부재료 및 제품의 입고 및 출고는 쉬운가? A. 공장까지 차량 진출입로가 확보되어 원재료ㆍ부재료 및 제품의 입출고가 원활한 경우 3.0 B. 공장까지 차량 진ㆍ출입로가 확보되어 있으나 원재료ㆍ부재료 및 제품의 입출고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경우 1.5 C. 공장까지 차량 진ㆍ출입..

전통식품 품질인증제 축산물 관련 인증 현황

전통식품 품질인증제 축산물 관련 인증 현황 업체명 인증품목 주소 전화번호 고삼농협안성마춤푸드센터 착한들한우사골 곰탕 경기 안성시 고삼면 신창길 82 031-671-7823 원앤원㈜ 족발 충남 천안시 서북구 업성동 167 041-559-2000 전통식품 품질인증제 바로가기 : http://themeat.tistory.com/2330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전통식품 품질인증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전통식품 품질인증제 전통식품 품질인증제란, 국내산 농수산물을 주원(재)료로 하여 제조ㆍ가공ㆍ조리되어 우리 고유의 맛ㆍ향ㆍ색을 내는 우수한 전통식품에 대하여 정부가 품질을 보증하는 제도로 생산자에게는 고품질의 제품생산을 유도하고, 소비자에게는 우수한 품질의 우리 전통식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시행된 제도를 말합니다. 전통식품 품질인증 절차 1. 대상품목 전통식품 품질인증의 대상품목은 전통식품 중에서 전통성과 대중성이 있거나 시장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전통식품의 보전ㆍ계승 및 발전에 필요한 지를 고려하여 전통식품의 품질인증 대상품목으로 지정하며, 축산물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규격번호 규격명 T 029 T 032 T 046 T 048 T 049 T 064 T 076 T 078 삼 계 탕 흑염소추출..

예천참우취급점 지정 현황

예천참우취급점 지정 현황 업체명 주소 전화번호 우정식육식당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읍부리 303-2 054-652-3325 수창참우식육점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 553 054-655-0667 고려숯불갈비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221 054-654-3570 예천한우축산물도매센터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 527 054-653-5532 장풍한우백화점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 528 054-655-5677 만나순한우식육점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 054-654-5950 예천농협 하나로마트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245-1 054-652-0977 백수식육식당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남본리 196-7 054-652-7777 예천축산업협동조합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노하리 74..

예천참우취급점 지정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예천참우취급점 지정제 예천참우취급점 지정제는 예천군 참우등록상표를 사용토록하여 효율적인 관리를 함으로 상품의 이미지를 제고하고 브랜드화하여 판로를 개척하는 등 경쟁력을 높여 농가소득을 증대하기 위하여 예천군이 1997년부터 예천지역에서 사육한 한우를 취급하는 업체를 지정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예천참우취급점 지정 절차 예천참우취급점 지정을 신청하려는 자는 예천참우취급점 지정신청서에 구비서류를 첨부하여 예천군수에게 지정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구비서류 1. 예천참우취급점 지정신청서 2. 본인친필서약서 1부 3. 식육점 신고필증 또는 영업허가증(일반음식점업) 사본 1부 4. 최근 3개월간 예천도축장 또는 HACCP 지정 도축장에서 월 2두 이상 예천한우 도축 실적이 있거나 예천한우 고기를 월 300kg 이상 판..

서울의 자랑스러운 한국음식점 인증 현황

서울의 자랑스러운 한국음식점 인증 현황 업체명 주소 전화번호 강강술래(역삼점) 강남구 역삼동 797-19 567-9233 해초록 강남구 대치동 1006-18 554-5522 낙원 강서구 외발산동 426 2660-9124 봉래헌 강서구 외발산동 426 2660-9124 강강술래(상계점) 노원구 상계동 1025-4 935-9233 벽제갈비 송파구 방이동 205-8 415-5522 (주)용수산 (잠실점) 송파구 송파동 58-17 425-4674 석파랑 종로구 홍지동 125 395-2500 지화자 (삼청점) 종로구 삼청동 11-8 733-5834 우래옥 중구주 교동 118-1 지화자(본점) 중구장 충동2가 산14-67 2269-5834 (주)프로간장게장 서초구 잠원동 27-1 543-4126 하누소 (인사점) ..

서울의 자랑스러운 한국음식점 인증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서울의 자랑스러운 한국음식점 인증제 서울의 자랑스러운 한국음식점 인증제는 우리의 음식문화를 전승・보존하고, 친환경적인 음식재료와 고유한 조리방법을 지닌 우수한 한국음식점을 육성하고, 한국의 맛을 알리기 위하여 서울시가 2003년부터 한식을 중심으로 우리 음식 고유의 맛과 향토적 특성을 전승・계승하고 있는 음식점에 대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서울시 안심식육판매점 인증 절차 1. 인증대상 서울의 자랑스러운 한국음식점 인증제는 서울시에 소재한 일반음식점으로서 영업신고 후 6개월 이상 경과하여야 하며, 영업장면적은 100m² 이상이어야 하고, 한식을 중심으로 우리 음식 고유의 맛과 향토적 특성을 보존・계승하고 있는 음식점을 대상으로 합니다. 다만, 신청일 현재 휴업중이거나 영업정지 처분기간 중인 ..

환경친화축산농장 지정 현황

환경친화 축산농장 지정 현황 지정기업 축종 전화번호 주소 범산농장 젖소 033-342-7854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하대리 49 봉영농장 돼지 064-784-543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2160-2 산골농장 산란계 055-973-4721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갈전리 산 173 우정종돈 돼지 063-547-3272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황산리 1064 청보리 한우목장 소 061-353-4145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면 용덕리 46-2 북제주동부 양돈영농조합 돼지 064-784-2110 제주특별자치도 구좌읍 세화리 산 3-22 덕풍농장 소 054-634-4392 경상북도 영주시 단산면 옥대리 471-1 제동목장 육계, 소 064-783-949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교래리 산16 ..

환경친화 축산농장 지정제 닭 농장 심사평가기준

환경친화 축산농장 지정제 닭 농장 심사평가기준 1. 가축관리 (50점) 심사항목 평가기준 배점 기준 점수 1. 가축의 사육밀도 7 ⅰ) 적정 사육밀도 보다 10% 이상 저밀도 유지 7 ⅱ) 적정 사육밀도 보다 5~10% 미만 저밀도 사육 6 ⅲ) 적정 사육밀도 유지 5 ⅳ) 적정 사육밀도 초과 △3 2. 축사동간의 거리 3 ⅰ) 동간 7m 이상 이격 3 ⅱ) 동간 6~7m 미만 이격 2 ⅲ) 동간 5~6m 미만 이격 1 ⅳ) 동간 5m 미만 이격 0 3. 소방용 기계・기구 비치 5 ⅰ) 축사 400㎡ 기준 소방용 기계ㆍ기구ㆍ 등 2개 이상 비치, 주기적 점검 실시 5 ⅱ) 축사 400㎡ 기준 소방용 기계ㆍ기구 등 1개 비치, 주기적 점검 실시 3 ⅲ) 소방용 기계ㆍ기구 미 비치 4. 소독시설 설치 5 ⅰ..

환경친화 축산농장 지정제 돼지 농장 심사평가기준

환경친화 축산농장 지정제 돼지 농장 심사평가기준 1. 가축관리 (50점) 심사항목 평가기준 배점 기준 점수 1. 가축의 사육밀도 5 ⅰ) 적정 사육밀도 보다 10% 이상 저밀도 유지 5 ⅱ) 적정 사육밀도 보다 5~10% 미만 저밀도 사육 4 ⅲ) 적정 사육밀도 유지 3 ⅳ) 적정 사육밀도 초과 ★ 2. 축사동간의 거리 3 ⅰ) 동간 7m 이상 이격 3 ⅱ) 동간 6~7m 미만 이격 2 ⅲ) 동간 5~6m 미만 이격 1 ⅳ) 동간 5m 미만 이격 0 3. 소방용 기계・기구 비치 5 ⅰ) 축사 400㎡ 기준 소방용 기계ㆍ기구 등 2개 이상 비치, 주기적 점검 실시 5 ⅱ) 축사 400㎡ 기준 소방용 기계ㆍ기구 등 1개 비치, 주기적 점검 실시 3 ⅲ) 소방용 기계ㆍ기구 미 비치 4. 소독시설 설치 5 ⅰ)..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