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축산뉴스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4년 2월 1주차)

오늘도힘차게 2024. 2. 4. 19:33
728x90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4년 2월 1주차)

 

⦿ 농업전망 2024 (농민신문 - 2024.1.29.) 

 

◆한우=2024년 한우 사육마릿수는 334만마리로 전망됐다. 이는 지난해(350만2000마리)보다 4.6% 감소한 수준이다. 가격 하락에 따른 번식 의향 감소, 암소 도축 증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쇠고기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8.3% 증가한 32만8000t으로 예측됐다. 2021∼2022년 송아지 생산이 늘어 올해 출하할 수 있는 거세우 마릿수가 늘어난 효과다. 
도축물량이 늘어나면서 올해 한우고기 1㎏당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1만8619원)보다 조금 낮은 1만8000원 내외로 관측됐다. 암소 도축물량이 증가하면 생산량이 증가해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쇠고기 수입량은 1.3% 감소한 44만8000t이 될 전망이다. 미국 등 주요 수입 대상국의 생산량 감소와 이에 따른 수입 단가 상승, 국내 쇠고기 가격 하락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진단이다. 
◆돼지=올해 연평균 돼지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0.1% 줄어든 1121만마리로 예측됐다. 도축마릿수는 이보다 하락폭이 커 지난해보다 0.6% 감소한 1865만마리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돼지고기 생산량도 지난해보다 0.6% 줄어든 111만2000t에 그칠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돼지고기 1㎏당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5134원)와 비슷한 5100∼5300원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돼지고기 수입량은 지난해보다 2.7% 줄어든 39만2000t으로 전망됐다. 주요 수입 대상국인 미국과 유럽연합(EU)산 수입량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되지만 할당관세 적용으로 늘어났던 캐나다·브라질·멕시코산 돼지고기 수입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 결과다. 
2024년 돼지고기 재고량은 총공급량 감소로 지난해(10만6000t)보다 1.1% 적은 10만5000t으로 예상됐다. 
◆젖소=올해 원유 생산량은 지난해보다 0.4% 증가한 193만8000t으로 전망된다. 젖소 사육마릿수는 전년 대비 2.0% 줄어든 37만9000마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기상 조건과 조사료 수급 여건이 평년 수준이라는 전제에서다. 
반면 2024년 유제품 수입량(원유 환산 기준)은 지난해 238만6000t 대비 1.4% 증가한 242만t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도 수입 증가세는 계속돼 2033년 271만t으로 전망된다. 
시장 개방 확대로 인한 관세율 인하, 2026년부터 미국과 EU산 유제품(우유·크림) 무관세 적용, 소비자 선호 다양화 등이 원인으로 분석된다. 
◆가금류=올해 육계 사육마릿수는 9867만마리로 지난해 대비 2.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닭고기 생산량은 도계마릿수가 증가해 전년 대비 2.1% 증가한 62만t으로 전망된다.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1.0% 감소한 7416만마리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실용계(닭고기와 달걀을 생산해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단계의 닭) 입식이 감소하고 도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1일 평균 달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4637만개로 전망된다. 최근 3년(2021∼2023년) 평균 산란율을 적용했을 때 6개월령 이상 사육마릿수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달걀 산지값(특란 10개 기준)은 지난해보다 0.8% 오른 1625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농경연은 2025년 9월1일부터 적용되는 산란계 사육면적 조정(한마리당 0.05㎡→ 0.075㎡)에 따라 사육마릿수와 달걀 생산량은 장기적으로 감소했다가 점차 회복할 것으로 예상했다. 
오리 사육마릿수는 지난해보다 5.2% 증가한 780만4000마리로 전망된다. 종오리 수입 증가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매몰 처분이 전년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오리고기 생산량은 지난해 대비 8.3% 증가한 11만8000t, 산지가격(생체 3.5㎏)은 11.2% 하락한 1만2900원으로 예측됐다. 


 

⦿ 지방 1cm 넘으면 ‘불량 삼겹살’...정부 어떻게 책임질 건가 (축산신문 - 2024.1.31.) 

 

언론의 과지방 삼겹살 때리기가 잇따르고 있다.
공중파 방송, 종편, 신문 등 어디라고 할 것 없이 짧은 시기에, 동일한 주제의 뉴스가 잇따르고 있다는 건 그만큼 우리 국민들의 시선을 끌 수 있는 관심사이기 때문일 것이다. 
악마의 편집이라는 볼멘소리도 나오고 있지만 ‘밑장깔기’ 논란까지 이어지는 마당에 반론의 여지가 없는 건 분명한 사실이고, 반드시 개선돼야 한다. 
다만 언론 보도에 따른 정부의 대응은 할말을 잃게 한다. 
지난해 ‘삼삼데이’ 시즌 당시 과지방 삼겹살 보도를 계기로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해 온 정부는 또 다시 관련 보도가 이어지자 축산물품질평가원 주도하에 마련된 ‘삼겹살 품질관리 매뉴얼’을 최근 공개하고, 책자로도 제작·배포했다. 
육가공 및 유통업계까지 염두에 두고 만들어 진 매뉴얼이기에 사실 웬만한 전문가가 아닌 이상에야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들이 대부분이다. 
당연히 삼겹살 품질을 가장 간단히 구분할 수 있는, 그것도 수치화 된 ‘기준’에 소비자와 언론의 관심이 집중될 수 밖에 없다. 
품질기준 근거 뭔가 
문제는 이 과정에서 시중에 판매되는 삼겹살에 대해 ‘지방 1㎝ 이내’ 제품이 정부가 제시하는 정품의 가이드라인으로 언론에 소개되고, 소비자들에게 인식되고 있는 현실이다. 
삼겹살 품질에 대한 논의가 단 한번이라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그것도 육가공에 대해서는 미천한 지식이 전부일 수 밖에 없는 정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이 어떤 근거로 삼겹살의 품질 기준을 만들 수 있었는지 따지는 건 지금으로선 급한 일도 아니게 됐다. 
언론의 공세에 밀려 과지방 삼겹살 판매처에 국한해 냉정히 접근해야 할 사안까지 국내 돼지고기 시장 전체로 ‘전세’를 확대하고 있는 정부 행보에 대한 평가도 마찬가지다. 
국내 돼지고기 시장에서 ‘지방 1㎝’가 삼겹살의 품질을 판단하는 절대 기준으로 고착화 되는 듯한 이상 기류가 이미 감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겹살 제품의 지방두께를 측정해 보이며 ‘1㎝ 넘는 불량’ 제품의 판매가 빈번하다는 식의 언론 보도가 이어지고 있을 뿐 만 아니라 우수 축산물 브랜드 선정을 주관하는 소비자단체까지도 그 기준을 준용해 브랜드 점검에 나서고 있는 실정이다. 
언론 보도를 믿을 수 밖에 없는 소비자들의 반응은 필자 주변에서도 쉽게 확인된다. 
하물며 정부가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이라는 데 부정할 소비자들이 있겠는가. 
1㎝ 맞추려면 다 바꿔야 
육가공업계의 당혹감은 더할 수 밖에 없다. 
당장 거래처에서는 정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가이드라인’에 근거한 삼겹살 제품 공급을 요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가공 과정에서 버려지는 부분이 많아질 수 밖에 없고, 큰 폭의 비용상승이 불가피 하지만 거래처나 소비자가 수용할지 의문이다. 
걱정은 이것만으로 끝나지 않는다. 앞으로 삼겹살 제품의 지방이 1㎝가 넘는다는 소비자들의 불만에 어떻게 대응할지 갑갑하기만 하다. 1㎝가 넘는 삼겹살을 모두 불량품으로 구분, 처 리할 수 밖에 없는 모순된 상황이 전개될 수 있다. 가뜩이나 극심한 소비부진에 허덕이고 있는 육가공업계로서는 생각치도 못한 대형악재가 터져나오고 있는 셈이다. 
비단 육가공업계 뿐 만이 아니다.  
이대로 라면 돼지 사육에서부터 가공, 유통은 물론 소비자 가격 책정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국내 양돈산업의 모든 것을 바꿔야 할 판이다.  소비자들도 지금 수준의 가격으로 삼겹살을 사먹는다는 건 꿈도 꾸지 못하게 될 것이다.  지방 1cm를 넘는 삼겹살을 좋아했던 소비자라면 앞으로 자신의 '취향'에 의구심을 가질 수도 있다.  섯불리 접근한 삼겹살 품질 기준이 소비트렌드의 왜곡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다.  
어디까지나 권장 사항을 제시한 것 뿐 이라는 정부와 축산물품질평가원의 해명만으로는 수습될 수 있는 선을 넘어도 한참 넘어섰다는 생각이다. 애당초 공산품이 아닌, 축산물에 일률적인 기준을 적용하겠다는 생각을 가질 때부터 이러한 상황 을 예상치 못했다는 것 자체도 쉽게 납득되지 않지만 말이다.

 

⦿  1인당 연간 육류소비량 0.9% 증가한 62.3kg (팜인사이트 - 2024.1.30.)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최근 농업전망자료에 따르면 2013년 4대 육류(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1인당 연간 소비량은 62.9kg으로 지난해 62.3kg 대비 0.9% 증가했다. 
이에 비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4kg으로 육류 소비가 쌀 소비를 크게 앞지르고 있다. 
다만 쌀과 기타양곡(보리, 밀가루, 잡곡, 두류, 서류)을 포함한 양곡 소비량은 64.6kg으로 근소하게 4대 육류 소비량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1인당 연간 쇠고기 소비량은 14.8kg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 감소로 0.7% 감소했고, 돼지고기는 30.1kg으로 2022년과 동일했다., 닭고기 15.7kg으로 할당관세 적용에 따른 수입 증가로 6.1% 늘어났다., 오리고기 2.29kg으로 9.1% 감소했으며 전체 육류소비량은 전년에 비해 0.9% 늘어났다. 
우유 소비량은 81.9kg으로 전년대비 4.4% 감소했으며, 계란은 14.3kg으로 전년보다 3.6% 소비가 증가했다. 
계란과 우유를 합한 축산물 총 소비량은 159kg으로 우유 소비 감소 영향으로 1.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중대재해처벌법 축산업계 영향은 (축산경제신문 - 2024.2.2.)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에 축협 소속 도축장과 한우계량사업소에서 각각 70대와 40대 근로자가 작업 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또 인천에서 소 분뇨를 치우던 60대 남성이 기계에 끼여 숨졌다. 경찰은 사고 원인과 업무상 과실 여부를 수사하고 있고, 관할 고용노동청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 여부를 확인 중이다. 
이런 가운데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중대재해처벌법)’이 지난달 27일부터 소규모 사업장으로 확대 적용되면서, 축산농가를 포함해 소규모 축산물 가공·유통업체에도 부담이 되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업주나 경영책임자가 안전·보건 확보 의무를 소홀히 해 사망자가 1명 이상 발생하거나,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부상자가 2명 이상 발생하는 등의 중대재해가 발생한 경우 1년 이상의 징역 또는 10억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법이다. 
전문가들은 “위험한 작업이 많은 농축산 현장과 농·축협 경제사업장의 경우 중대재해가 언제든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며 “법 확대 시행을 계기로 근로자의 안전 예방이 한층 향상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원활한 법 시행을 위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 상황이다. 우선, 자신의 사업장이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인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아직도 많다. 이를 위해선 상시 근로자 수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상시 근로자는 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계약을 체결했거나 기간제뿐만 아니라 일용근로자도 포함된다. 가끔 근무하는 아르바이트나, 1주일에 15시간 미만 근로 인력도 해당 근로를 제공한 날에는 상시 근로자 1명에 포함된다. 다만, 도급, 용역, 위탁 등을 행한 제3자의 근로자는 포함하지 않는다.  
또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은 농장 단위가 아니라 사업체 단위다. 한 사람이 여러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면, 농장 간 거리와 상관없이 근무 중인 직원이 5인 이상이면 법 적용 대상이다. 
또한 법 적용 사업장은 안전과 보건 관리를 위한 서류 작성, 점검 및 관리 체계를 추가로 구축해야 한다. 법에 따르면,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중대산업재해 대비 매뉴얼, 안전보건목표와 경영방침 등 10여 개의 서류를 작성해야 한다. 그러나 소규모 사업장들은 이러한 서류작업을 담당할 인력이 부족하고, 안전관리자 채용이나 안전교육 이수도 어려운 실정이다. 
한 육가공업체 관계자는 “소규모 사업장은 서류 작성 업무를 맡길 사람이 없어 결국 사장의 몫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법 적용과 관련해, 축산업계에 대한 정부의 지침이나 설명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온다. 명확하지 않고, 지키기 어려운 법이다 보니 ‘코에 걸면 코걸이, 귀에 걸면 귀걸이식’으로 모호함이 불안감을 키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이와 관련해 정부 관계자는 “정부는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조속히 구축·이행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막연하게 불안해 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사망 사고 같은 중대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사업주가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관리체계 구축 등 여러 의무를 이행하고, 사고 예견 가능성이나 인과관계가 없으면 처벌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 통계청, 2023년 4/4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 발표 (축산신문 - 2024.1.31.) 

 

우리나라 가축 사육 마릿수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통계청은 지난 19일 2023년 4/4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가금류 마릿수는 전분기 대비 증가했고 나머지 축종은 마릿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의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정리해보았다. 
◆한‧육우=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362만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10만6천 마리(-2.9%), 전분기 대비 13만2천 마리(-3.5%) 각각 감소했다. 
2세 이상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한우 가격 하락으로 인한 번식의향 감소 및 암소 도축 증가로 1세 미만 마릿수가 감소한 영향이다. 
◆젖소=젖소 사육 마릿수는 38만7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3천 마리(-0.8%) 감소하고 전분기 대비 400 마리(0.1%) 증가했다. 
경산우 도축 마릿수 감소로 2세 이상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송아지 생산 감소로 1세 미만 마릿수가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돼지=돼지 사육 마릿수는 1천108만9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3만5천 마리(-0.3%), 전분기 대비 30만9천 마리(-2.7%) 각각 감소했다. 
모돈 생산성 증가로 2개월 미만 마릿수는 증가했으나 비육돈 도축 마릿수 증가로 4~6개월 미만 마릿수가 감소했다. 
◆산란계=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7천720만2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301만4천 마리(4.1%), 전분기 대비 107만6천 마리(1.4%) 각각 증가했다. 
3개월 미만 마릿수는 감소했으나 계란가격 상승으로 산란노계 도태 물량 감소로 6개월 이상 마릿수가 증가했다. 
◆육용계=육용계 사육 마릿수는 9천411만5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540만2천 마리(6.1%), 전분기 대비 426만1천 마리(4.7%) 각각 증가했다. 
토종닭 마릿수는 감소했으나 육용종계 성계 마릿수 증가 및 종란 수입으로 육계 마릿수가 감소한 영향이다. 
◆오리=오리 사육 마릿수는 653만8천 마리로 전년 동기 대비 54만4천 마리(9.1%)증가, 전분기 대비 226만8천 마리(-25.8%) 감소했다. 
산란종오리 마릿수가 늘면서 육용오리 마릿수가 증가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 한우, 지육 가격 약세에 송아지 가격 동반 하락 (팜인사이트 - 2024.1.30.) 

 

한우고기 최대 성수기 설 명절을 앞두고도 도매시장 한우가격이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한우 지육 가격 하락 영향으로 송아지 가격이 동반 하락세를 보이며 한우농가의 어려움이 확산되고 있다. 여기에 부산물마저 최근 소비트렌드 변화로 재고가 크게 쌓이며 가격이 하락하는 등 한우업계 어려움이 생산과 유통 등 전방위로 확산하고 있다. 
한우, 도매시장‧송아지 가격 동반 하락세 
도매시장 한우고기 가격은 설 명절이 코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전히 맥을 못추고 있다. 
명절을 열흘 앞둔 1월 넷째주 전체 도매시장 평균가격은 kg당 1만 5,117원에 거래됐다. 그나마 상황이 나은 음성공판장의 화‧수‧목 평균가격도 kg당 1만6,554원에 그쳤다. 
토요일과 월요일 경매의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돼 지난 1월 27일과 28일 거래가격은 각각 kg당 1만4,307원, 1만4,111원으로 집계됐다. 이러한 가격 동향은 전체 등급에 걸쳐 나타나면서 지난주 1++ 등급 평균 가격도 2만원을 넘지 못한 1만9,446원이었다. 
도매시장 경락가격 하락은 산지 송아지가격 하락 등 도미노현상 처럼 이어지고 있다.   
도매시장 가격 하락으로 자금 상황이 여의치 않아진 비육농가들의 송아지 구매 의향과 사육 의지가 크게 낮아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해 럼프시킨 발병 이전인 2023년 10월과 가축시장 거래 재개 이후인 12월 평균 거래가격이 360만원 수준이었던 6~7개월령 수송아지는 도매시장 약세와 함께 동반 하락세에 접어들어 1월 넷째주 거래가격은 전월 대비 20만원 하락한 340만원에 형성됐다. 최근엔 매매 동향이 더욱 얼어붙어 1월 마지막주 개장된 가축시장에선 310만원대 초반까지 하락한 시장도 나왔다. 
6~7개월령 암송아지 거래가격은 전년 말월과 비슷한 240만원대를 기록하고 있지만, 송아지 생산 감소로 인한 거래두수가 10% 이상 감소한 상황임을 감안할 때 번식 농가들의 사육의향 역시 크게 위축되고 있다. 암송아지 최근 가격 동향 역시 수송아지와 마찬가지로 몇몇 장에선 200만원 초반까지 하락했다. 
부산물 가격도 급락...한우농가 부수입도 감소  
지육가격 및 송아지 가격이 동반 하락한 상황에서 농가들의 부수입원인 부산물 가격도 급락하고 있다. 
농협경제지주 4대 축산물공판장(부천‧음성‧고령‧나주) 등에 따르면 머리와 내장, 족, 사골, 잡뼈 등 소 부산물 가격은 지난해 1월 평균가격이 마리당 36만 2,410원 가던 것이 올해 1월 평균가격은 21만 7,390원으로 무려 40% 떨어졌다. 
소 부산물의 경우 겨울철이 소비 성수기로 분류되지만 외식 소비 위주로 이뤄지고 있는 곱창 등의 내장 소비가 크게 위축된 데다 머리‧사골‧잡뼈의 경우 소비 트렌드 변화로 재고가 눈덩이처럼 쌓이고 있다는게 마장축산물산물 시장 관계자의 말이다. 최근엔 '우족'의 최종 소유를 둘러싸고 마장동축산물시장과 중도매인들의 법적 다툼까지 예고되는 등 부산물 소비 둔화를 둘러싼 갈등까지 확대되고 있다.  
한우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불황 장기화와 소비침체 등의 영향으로 한우고기 소비난이 정육과 부산물 등 종류와 부위에 상관없이 가중되고 있다”면서 “부위별 수급 상황 등을 고려한 소비 촉진과 할인 판매 등으로 한우고기 가격 안정을 도모하는 한편, 부산물의 경우 50개월령 이상 3산 이상 경산우에서 생산된 부산물은 격리조치 하는 등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국한우협회는 지난 1월 23일 정부에 소값 회복을 위한 수매와 할인지원대책 등 정부에 전폭적인 지원 대책을 촉구한데 이어 육가공업체와 함께 기업체 한우 선물세트 할인판매 행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728x90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