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2주차)
⦿ 2022년 설 성수기 한우 도축 전년대비 13.7% 증가 (팜인사이트 - 2022.2.11.)
금년 설 성수기 한우 도축물량은 10.1만 두로 2021년 설 성수기 기간보다 13.7%(1.2만 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도축물량의 증가로 설 성수기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출하물량 증가 등으로 전년보다 0.2%(31원/㎏) 하락한 19,972원/㎏을 기록했다.
한우 거세우 도매가격은 21,129원/㎏, 암소는 17,915원/㎏으로 한우가격 거세우보다 암소가격이 더 큰폭으로 하락하며 한우 평균 도매가격 하락을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러 가지로 분석이 가능한데 거세우가 전년보다 18.8% 출하량이 증가했고, 암소의 9.1% 증가해 거세우 출하량이 월등히 증가했음에도 가격은 거세우의 경우 지난해와 비교해 하락율은 0.5%인 115원/kg이 하락한 반면, 암소의 경우 전년보다 공급량은 9.1% 증가한 가운데 하락율은 1.5%인 266원/kg이 하락했다.
* 거세우 도매가격 : (’21년) 21,244원/㎏ → (’22년) 21,129원/㎏, 0.5%↓
* 암소 도매가격 : (’21년) 18,181원/㎏ → (’22년) 17,915원/㎏, 1.5%↓
한우 거세우의 경우, 5.7만 두가 도축되어 전년보다 18.8%(9천 두) 증가하였고, 도축월령은 전년대비 0.2개월 연장, 도체중량은 9.9㎏ 증가했다..
한우 암소의 설 성수기 도축은 4,3만 두로 전년보다 9.1%(4천 두) 증가하였다. 특히, 설 전 일주일간의 미경산우 도축은 전년보다 69.5%, 경산우 도축은 전년보다 70.4%로 대폭 증가하였다. 또한, 암소의 평균 도축월령은 전년보다 0.3개월 단축되었으며, 도체중량은 6.2㎏ 증가했다.
설 성수기 이후 올해 상반기 출하가 예상되는 25개월령 이상 수소(거세 포함)의 사육두수는 18.4만 두로 전년보다 13.3% 증가하는 등 앞으로도 사육규모 확대에 따른 출하물량 증가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설 성수기 도축 동향에서 눈여겨 봐야할 것은 암소도축두수 증가다.
설 전 7일 암소 도축에 따른 인센티브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번식우를 출하하기 위해 5~6개월 추가 비육을 해야 하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암소도태를 준비해온 농가들이 상당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며, 미래 한우가격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한우 가격 큰 폭 하락 전망 (팜인사이트 - 2022.2.8.)
정부가 한우가격 하락폭이 당초 예상보다 클 것이라며 한우농가들의 선제적 수급조절 사업 참여를 촉구하고 나섰다.
2021년 한우 공급물량은 평년에 비해 6.2% 증가했으나, 도매가격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가정소비 증가 및 재난 지원금 지급 등으로 한우 수요가 높아져 평년에 비해 17.9% 상승한 21,169원/kg 수준까지 상승했다.
이렇게 도매가격 상승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농가들의 사육의향도 함께 높아져 2021년 한우 사육마릿수는 평년보다 14.1% 많은 339만마리 수준까지 증가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중장기 전망에 따르면 총 사육마릿수는 농가들의 사육의향 기조 지속 영향으로 송아지를 생산하는 가임암소와 1세미만 개체수가 늘어남에 따라 2023년까지 평년보다 16.8% 많은 361만마리 수준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했다.
공급물량(도축)도 사육마릿수 증가에 따른 도축가능 개체수 증가로 2024년까지 99만마리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도매가격이 큰폭으로 하락했던 2013년도 공급량 96만마리 보다 많다.
이 자리에서 학계 및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 등 전문가들은 현재 한우 사육기조 등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한우 공급 과잉상태는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도매가격도 공급과잉으로 하락세로 전환되나 일상회복에 따른 수요감소 등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경우 하락폭이 크게 나타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 2월 돼지고기 시장 동향은 (농수축산신문 - 2022.2.10.)
# 스페인산 필두로 수입 증가세 지속
삼겹살 수입은 검역기준으로 지난달 스페인산 4311톤, 오스트리아산 2161톤, 미국산 2102톤을 나타냈고, 앞다리는 미국산 6214톤, 스페인산 4189톤을 나타냈다. 지난해 12월에는 스페인산 돈육이 모두 1만295톤이 수입됐고, 미국산은 8991톤이 수입되는 등 돼지고기 수입물량은 총 3만6518톤을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도 수입 돈육은 증가세를 이어가면서 지난달 4만톤을 넘어 4만555톤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만9000톤이 증가한 것으로 삼겹살이 51.3%인 5600톤, 앞다리가 128.1%인 8400톤씩 각각 큰 폭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 국내산 재고 2~3만 톤 수준 유지 예상
이런 가운데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급격히 감소세를 보이던 국내산 돼지고기 재고는 더 이상 감소하지 않고 지난해 11월부터 약 2만 톤 가량을 유지하고 있고 향후 2~3만 톤 수준을 지속 유지할 가능성이 예상되고 있다.
설명절 연휴 등의 영향으로 국내산 돼지고기의 일일 출하마릿수가 최근 9만 마리까지 올라가기도 했지만 이달 중순경부터 다음달 삼겹살데이 수요가 발생하면서 지육가격은 현재보다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1차 육가공업계는 한돈의 이달 평균 지육가격이 kg당 4200~4400원(제주제외)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돈 부분육 판매에선 구이류는 온라인 등에서 가정수요가 있는 반면 오미크론 확진자 급증으로 인해 구이식당 매출이 크게 감소했고, 정육점도 명절 재고로 인해 구매수요가 감소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정육류 중 앞다리는 급식감소와 삼겹살 가격하락의 영향을 받고 있고, 등심은 수입량 증가에 따른 수요부진으로 냉동생산 증가 현상을 보이고 있다. 뒷다리는 육가공품 원료육과 가정간편식(HMR) 수요를 유지하는 모습이다. 또한 갈비는 설명절 이후 수요 감소로 냉동생산이 재개되고, 부산물은 두내장, 목등뼈, A지방 수요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3주차) (0) | 2022.03.20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2주차) (0) | 2022.03.1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1주차) (0) | 2022.03.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4주차) (0) | 2022.02.2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3주차) (0) | 2022.02.2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1주차) (0) | 2022.02.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4주차) (0) | 2022.02.0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3주차) (0) | 2022.01.2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2주차) (0) | 2022.01.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1주차) (0) | 2022.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