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3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3월7일~3월11일) (농민신문 - 2022.3.16.)
한우 경락값은 약간 하락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수 폭증에 따른 식당 소비 부진이 계속되고 있어서다. 다만 온라인을 통한 한우 가정 소비량 증가가 가격지지의 버팀목 역할을 해 하락폭은 크지 않았다.
한우는 전국 도매시장에서 전주 대비 11.47% 증가한 7213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2만1587원으로 전주 대비 263원 하락했다. 1++A 등급은 760원 내린 1㎏당 2만5779원, 1++B 등급은 353원 내린 2만4185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531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평균 경락값은 731원 상승한 1만2653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3월7일~3월11일) (농민신문 - 2022.3.16.)
돼지 경락값은 하락세로 돌아섰다. 코로나19 여파로 돼지고기 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캠핑·나들이 등 야외 소비와 식당 소비가 위축된 결과다.
돼지고기는 쇠고기와 달리 가정 소비도 원활하지 않아 약세장이 이어지고 있다.
돼지는 지난주 전국 도매시장(탕박 기준, 제주·등외 제외)에서 전주 대비 2.73% 증가한 1만547마리가 경매됐다.
지육 1㎏당 평균 경락값은 4323원으로 전주 대비 59원 하락했다.
모돈(박피) 1㎏당 가격은 332원 오른 평균 3163원이었다.
⦿ 소비자물가 상승 주범은 냉장 수입쇠고기 (축산신문 - 2022.3.15.)
수입쇠고기, 그 중에서도 냉장육의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한우협회(회장 김삼주) 한우정책연구소는 최근 축산물 소비자 가격 상승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수입 냉장 쇠고기의 가격 상승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정책연구소의 분석에 따르면 2020~2021년 한우고기 연평균 도매시장 지육가격 상승률은 6.4%인 반면, 수입쇠고기의 수입단가는 6.53달러/kg에서 7.59달러/kg으로 16.2%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입쇠고기 중에서 냉장육 수입단가는 2020년 9.93달러/kg에서 2021년 12.11달러/kg으로 21.9%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의 경우도 지육도매가격 상승률은 12.0%인 반면 수입육은 20.2%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정책연구소는 소비자 물가 상승의 원인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우정책연구소 황명철 부소장은 “최근 물가관련 언론보도에서 가공식품 및 농축산물 가격이 크게 올라 소비자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특히, 한우고기 등심을 예로들어 물가상승의 주범이 마치 한우인 것으로 소비자에게 비춰지고 있지만, 실상 소비자 물가 상승의 주범은 냉장 수입쇠고기를 비롯한 수입축산물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신중하지 못한 정보 전달은 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시킬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우 마릿수 역대 최고치 경신전망 잇따라 (축산경제신문 - 2022.3.18.)
한우 사육마릿수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2015년부터 지속해서 증가한 한우 사육 마릿수가 올 연말 355만 마리에 다다를 것으로 내다보면서 도매가격의 점진적 하락세를 예상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축산관측을 통해 가임암소 증가에 따른 송아지 생산 확대로 1세 미만 사육 마릿수의 증가가 지속된 것을 원인으로 분석했다.
농경연에 따르면 가임 암소는 2019년 148만 마리에서 2020년 155만, 2021년 163만으로 점차 늘어난 가운데 2022년 12월에는 171만 마리를 기록할 전망이다.
또한, 이에 따른 1세 미만의 사육 마릿수는 100만 마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하면서 전체 사육 마릿수는 2023년까지 역대 최대치를 갱신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육 마릿수 증가에 따른 도축 마릿수 증가로 도매가격은 점진적 하락세가 전망된 가운데 일상회복에 따른 축산물 수요가 감소할 경우 가격 하락폭은 확대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농경연은 공급과잉시에는 kg당 1만 9000~2만원대, 일상회복까지 고려했을경우에는 1만 8000원에서 1만 9000원 대로 2만원 선이 무너질것으로 내다봤다.
농협도 비슷한 분석을 내놓았다. 농협은 한우리포트를 통해 생산경제학 측면에서 한우산업을 진단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현재 한우산업은 생산경제학 측면에서 변곡점을 지나 정점으로 가고 있는 단계이며, 이윤이 감소하는 구간에 접어들었다.
이 시기에는 사육마릿수, 가임암수, 송아지 생산마릿수 증가율보다 도축 마릿수 증가율이 커지기 때문에 이윤이 감소하는 단계이나, 여전히 이윤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협은 코로나 특수와 농가 규모화와 일관사육 농가 증가에 따른 농가 대처능력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 돈육시장, 오미크론 영향…돼지 지육가, kg당 평균 4400~4600원 선 (농수축산신문 - 2022.3.15.)
#부분육 판매동향
한돈 구이류는 방역패스 폐지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 확산으로 인한 외부활동 감소로 식당에서의 구매수요는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의 삼겹살데이 행사물량은 완판되는 등 판매가 원활했지만 중소마트와 정육점 등에서의 수요는 지난해 대비 위축된 것으로 나타냈다.
정육류 중 앞다리살은 학교 온라인수업 등의 영향으로 급식납품이 많지 않아 냉동생산이 계속되고 있고 등심도 수입 증가로 부진한 가운데 뒷다리살은 육가공품 원료육과 가정간편식(HMR) 수요 등으로 유지 중이지만 약보합세를 나타내고 있다. 부산물 중 두내장과 목등뼈는 판매가 원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초 중국의 돼지고기 수입 감소로 유럽연합(EU) 등에서 수출이 위축되며 가격약세를 보여 한국에서의 수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사료가격 추가상승 우려와 EU의 돼지 모돈 감축 등으로 상황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입육 시장동향
지난달 삼겹살 수입은 스페인산 4188톤, 네덜란드산 2303톤, 미국산 1329톤 등을 나타냈고 앞다리는 미국산 6434톤, 스페인산 4009톤을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약 1만3500톤(58.0%) 증가한 것으로 삼겹살이 3300톤(31.6%) 증가했고 앞다리살도 4200톤(45.2%) 수입이 증가했다.
수입된 목전지는 미국에서 냉동재고도 많이 없는 상황으로 당분간 수입 가격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 유럽 등의 양돈농가가 수개월째 적자에다 모돈을 청산하고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공급물량이 감소해 수입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미국은 올해 돼지고기 수출량이 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EU는 2월 14~20일 지육 평균가격이 kg당 1.35유로로 4주 전 대비 1.5%, 지난해 대비 0.6% 각각 상승했지만 최근 5년 평균가격(2016~2020년) 대비 9.3%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은 지난해 8~11월까지 사료판매량이 많아 올해 1분기에 돼지 출하가 많을 것으로 보여 생돈가격 약세가 예상되지만 생산비 상승으로 인한 번식모돈 감소로 4분기에는 출하가 감소하며 가격 강세가 전망되고 있다.
한편 국내 돼지 주간 도매시장별 가격은 지난 7~11일 kg당 4323원을 나타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4월 4주차) (0) | 2022.04.24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4월 3주차) (0) | 2022.04.1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4월 2주차) (0) | 2022.04.1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4월 1주차) (0) | 2022.04.0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4주차) (0) | 2022.03.2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2주차) (0) | 2022.03.1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3월 1주차) (0) | 2022.03.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4주차) (0) | 2022.02.2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3주차) (0) | 2022.02.2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2월 2주차) (0) | 2022.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