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3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12월6일~12월10일) (농민신문 - 2021.12.15.)
한우 경락값은 지난주 하락세를 보였다. 산지 출하대기 중이던 물량이 대거 공판장에 출하된 것이 하락세의 가장 큰 요인이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가정 소비가 다시 늘고, 송년모임 소비도 늘어나는 등 한우고기 수요가 증가하면서 가격 하락폭이 크지 않았다.
한우는 전국 도매시장에서 전주 대비 44.44% 증가한 1만403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2만2249원으로, 전주 대비 489원 하락했다. 1++A 등급은 854원 하락한 1㎏당 2만6156원, 1++B 등급은 616원 내린 2만4688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819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경락값은 110원 하락한 1만1918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12월6일~12월10일) (농민신문 - 2021.12.15.)
돼지 경락값은 지난주 산지 출하량이 소폭 늘었음에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으로 국내 돼지고기 소비가 증가해 강세가 유지되는 형국이다.
돼지는 지난주 전국 도매시장(탕박 기준, 제주·등외 제외)에서 전주 대비 0.81% 증가한 1만935마리가 경매됐다. 지육 1㎏당 평균 경락값은 5901원으로 전주 대비 36원 상승했다.
모돈 1㎏당 가격(박피)은 95원 오른 2946원이었다.
⦿ 한돈팜스로 본 2022년 수급 전망 (축산신문 - 2021.12.15.)
한돈팜스를 토대로 한 내년도 국내 양돈시장의 수급전망은 어떻게 될까.
한돈협회에 따르면 한돈팜스 입력자료와 모돈사료 생산량 및 이력제 자료, 계절지수 등을 반영한 한돈팜스 수급전망치는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유지해 왔다.
실제 출하두수와의 일치율이 지난 2018년 98.9%, 2019년 99.2%, 2020년 96.1%에 이어 올해에도 97.4%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만큼 각종 시장전망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는 게 한돈협회의 분석이다.
한돈팜스로 본 내년도 돼지 출하두수는 1천830만1천두로 올해 1천829만6천947두(추정치) 보다 4천661두 적을 것으로 예상됐다. 오차범위를 감안할 때 사실상 올해와 비슷한 돼지가 내년에 출하될 것으로 내다본 것이다.
월별로는 11월과 12월 돼지 출하두수가 1천700만두를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가운데 11월에 1천720만828두에 달하며 가장 많을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7월 돼지출하두수가 2월보다도 적은 138만6천407두에 그치며 가장 적은 달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다만 작업일수를 감안한 하루 평균 출하두수로 접근할 경우 8만4천637두가 예상되는 10월(19일)이 가장 많은 달로, 6만3천279두가 예상되는 8월이 가장 적은 달로 기록될 전망이다.
한편 올해 국내 생산이 늘고 수입이 감소하면서 돼지고기 자급률이 77.3%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전년도 보다 1.4%p 상승한 것이다. 내년에는 돼지고기 수입이 다소 증가한 영향에 따라 올해 보다 1.3%p 하락한 76%의 자급률을 기록하며 2년전 수준으로 복귀할 전망이다.
⦿ 한우고기 가격, 내년부터 본격 하락할 듯 (미디어펜 - 2021.12.17.)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효과로 '고공행진'을 지속했던 한우고기 가격이 '하락기'에 진입,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하락할 전망이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증가 효과가 끝나는 반면, 공급은 증가세가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축산업계에 따르면, 한우 도축(고기 공급) 두수는 지난 7월까지는 추세적으로 감소했지만 8~9월 증가로 반전, 10월에 전년동월대비 12.9% 늘었고, 11월에는 14.1%로 증가폭이 확대됐다.
26~31개월 짜리 수소 사육 두수가 지난해 12월보다 12.5% 많고 5살 이상 암소도 8.9% 증가, 도축 두수 증가는 상당 기간 이어질 예상이다.
암소 도축률은 10월부터 다시 상승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인공수정률 추세치가 8월부터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어, 암소 도축률도 오름세를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한우고기 수요는 감소세다.
올해 들어 코로나19에 따른 '집콕' 효과는 더 이상 가격 상승요인이 되지 못한다.
다만, 긴급재난지원금이 9월부터 지급돼 한우고기 값을 10% 정도 끌어올렸는데, 그런 영향도 이달 안에 끝나게 된다.
실제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9월 kg당 2만 2610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한 이후, 10월에 2만 1208원으로 하락했으며, 11월에는 보합세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코로나 관련 수요증가 요인이 올해 중 소진되는 데다 도축 두수가 증가할 전망이므로, 2022년부터 본격적인 하락기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한다.
암송아지 가격은 9월 387만원으로 최고치 기록 이후 11월에는 351만원으로, 수송아지 값은 6월 446만원에서 지난달 443만원으로 내렸다.
⦿ 한우협회 "청탁금지법 개정안 통과 적극 환영" (파이낸셜뉴스 - 2021.12.13.)
국회는 명절 기간 선물할 수 있는 농·축·수산물 가액을 현행 10만원에서 20만원으로 올리는 내용의 청탁금지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개정안 처리에 앞서 전국한우협회는 명절선물세트에 소득 의존도가 높은 농축수산물의 특수성과 코로나19, 급진적 탄소중립, 지방소멸 등 내몰리는 농축산업계의 현실과 피해를 국회와 정부, 언론 등 전방위적으로 알려왔다.
협회는 청탁금지법의 입법 취지에 공감하지만 명절 선물 특수가 농축수산물 업계의 매출에 끼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피해가 컸기 때문에 법 적용 대상에서 제외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 농어업 육성 및 보호를 국가적 의무로 규정하는 헌법에도 반하므로 농축산업의 특수성을 인정해 달라고 호소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3주차) (0) | 2022.01.23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2주차) (0) | 2022.01.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2년 1월 1주차) (0) | 2022.01.0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5주차) (0) | 2022.01.0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4주차) (0) | 2021.12.2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2주차) (0) | 2021.12.1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1주차) (0) | 2021.12.0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4주차) (0) | 2021.11.2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3주차) (0) | 2021.11.2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2주차) (0) | 202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