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3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11월8일~11월12일) (농민신문 - 2021.11.17.)
한우 경락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한우 사육마릿수가 늘면서 산지 출하량도 늘어난 데다 최근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한우 가정소비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 김장철을 맞아 돼지고기 소비가 증가한 것도 가격 하락의 요인으로 꼽힌다.
한우는 전국 도매시장에서 전주 대비 20.05% 증가한 8782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2만1872원으로, 전주 대비 542원 하락했다. 1++A 등급은 486원 하락한 1㎏당 2만5934원, 1++B 등급은 604원 내린 2만4271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685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경락값은 44원 하락한 1만1993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11월8일~11월12일) (농민신문 - 2021.11.17.)
돼지 경락값은 산지 출하량이 늘었음에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본격적인 김장철을 맞아 수육용 돼지고기 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으로 캠핑, 나들이객 등 야외ㆍ식당 소비가 늘어난 것도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돼지는 지난주 전국 도매시장(탕박 기준, 제주ㆍ등외 제외)에서 전주 대비 9.12% 증가한 1만2056마리가 경매됐다. 지육 1㎏당 평균 경락값은 5103원으로 전주 대비 50원 상승했다.
모돈 1㎏당 가격(박피)은 322원 오른 2699원이었다.
⦿ 대규모 농가서 60개월령 이상 암소 사육마릿수 '증가세' (농수축산신문 - 2021.11.16.)
대규모 한우농가의 60개월령 이상 암소 사육마릿수가 5년 만에 58.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사육규모에 따른 한우 암소 사육마릿수 조사 결과 100마리 이상 대규모 한우 농가에서 암소 76만2000마리를 키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 암소 사육마릿수의 35.2%를 차지하는 것으로 한우 100마리 이상 사육 농가들의 암소 보유 마릿수가 타 농가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상황이다.
특히 100마리 이상 한우사육농가의 60개월령 이상 암소 사육마릿수 증가세는 더욱 두드러져 지난 9월 기준 60개월령 이상 암소 13만3000마리를 사육, 2017년 8만5000마리와 비교할 때 56.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도 11.7% 늘어난 수치다.
이에 비해 한우 20마리 미만의 소규모 농가들은 5년 전과 비교하면 암소 보유마릿수가 11% 가량 줄었고 지난해보다는 1% 가량 줄어들면서 소규모 농가들의 암소 사육 비율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우업계의 한 관계자는 “대규모 농가의 암소 사육마릿수가 늘어나는 것은 일관 사육 농가 비율이 늘어나면서 사육 규모를 더욱 늘리려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이다”며 “반면 소규모 농가들의 암소 사육마릿수가 줄어 생산기반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에 소규모 농가 보호를 위한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GS&J, 한우가격 하락기 진입…대책은? (축산신문 - 2021.11.17.)
한우 가격이 하락기에 접어들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GS&J는 최근 발표한 한우동향을 통해 도매가격의 상승요인은 올해 중 소진되고 이후 도매가격이 하락기에 접어들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송아지 가격 또한 6월 최고 수준을 경신한 후 10월에는 420만원으로 낮아졌고, 도매가격이 본격적인 하락세를 보이면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GS&J는 9월 한우사육두수는 345만4천두로 전년대비 5.5% 증가했고, 가임암소는 전년 동월 대비 5.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는 만큼 사육두수의 팽창은 계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도축두수는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암수 모두 출하를 미뤄 도축두수 증가를 억제하고 있으나 9월 말 기준 26~31개월령 수소 사육두수가 작년 동월보다 11.9% 많고, 5세 이상 암소 사육두수도 9.2% 많아 앞으로 도축두수는 증가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도매가격은 9월 2만2천610원/kg으로 최고치를 경신했으나 10월에는 2만1천208원/kg으로 낮아졌다. 9월 재난지원금 지급이 한우가격 상승을 견인했지만 올해 중 소진되므로 이후 도매가격 하락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송아지 가격 또한 현재 일부 하락세를 보이고 있고, 도매가격 하락이 본격화 되면 동반 하락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했다.
⦿ 10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39.5% 증가 (농수축산신문 - 2021.11.16.)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돼지고기 국내산 재고 추정량은 전월 보다 17% 감소한 1만8006톤을 나타냈고 이는 지난해 같은 달 7만1702톤 보다 약 75%나 감소한 것이다.
지난 9월 국내산 돼지고기 재고가 지난해 대비 삼겹살만 약 42% 증가한 반면 등심과 뒷다리 각각 약 84%, 87%씩 감소했으며 앞다리, 목심, 갈비 등도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 돼지고기는 지난달 2만6622톤으로 지난해 같은 달 보다 39.5% 증가한 가운데 지난해 같은 달 보다 삼겹살이 4700톤 더 들어왔고, 앞다리는 3000톤이 더 수입됐다. 이런 가운데 미국산은 지난달까지 누계 수입량이 10만5715톤으로 지난해 보다 6000톤 감소했다.
지난 9월까지 부산물 수입실적을 보면 목뼈는 캐나다산이 1만4613톤으로 가장 많았고 족발은 스페인산 9408톤, 지방은 미국산 6840톤으로 각각 가장 많이 수입됐다.
해외 시장에서 미국은 내년 돼지고기 생산량이 소폭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지만 수출량은 수요 개선으로 3%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U는 지난 5년 평균 대비 최근 지육평균가격이 하락세를 보이면서 자돈가격도 하락하고 있다. 중국은 국경절 이후 가격이 반등하면서 지난 5일 생돈가격이 지난해 동월보다는 약 44% 떨어졌지만 전월보다는 약 57%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4주차) (0) | 2021.12.26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3주차) (0) | 2021.12.1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2주차) (0) | 2021.12.1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2월 1주차) (0) | 2021.12.0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4주차) (0) | 2021.11.2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2주차) (0) | 2021.11.1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1월 1주차) (0) | 2021.11.0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5주차) (0) | 2021.10.3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4주차) (0) | 2021.10.24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3주차) (0) | 2021.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