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9월 2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8월31일~9월4일) (농민신문 - 2020.9.9.)
한우고기값이 전주에 이어 소폭 하락했다. 추석을 앞두고 출하물량이 크게 증가한 탓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여파로 외식 소비가 급감한 것도 하락세에 영향을 미쳤다. 대형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추석 대목을 겨냥한 한우고기 선물세트 취급이 늘어났지만 가격 하락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한우는 전주 대비 14% 증가한 1만2468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의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2만1082원으로 459원 내렸다. 1++A 등급은 630원 하락한 1㎏당 2만4314원, 1++B 등급은 716원 하락한 2만3095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모두 953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경락값은 57원 상승한 1만1202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8월31일~9월4일) (농민신문 - 2020.9.9.)
돼지고기값이 상승세를 보였다. 코로나19가 재확산돼 강화된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이어지자 가정 소비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대형마트나 동네 정육점에 고기를 납품하는 육가공업체들이 작업물량을 늘렸지만 출하물량은 오히려 소폭 감소해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돼지는 전주 대비 8% 감소한 1만3735마리가 경매됐다. 지육 1㎏당 평균 경락값(탕박 기준, 등외 제외)은 4502원으로 전주 대비 307원 올랐다. 모돈은 2084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가격(박피)은 15원 상승한 1388원이었다.
⦿ 한우 평균도매가격 2만원선…명절 수요로 보합세 (농수축산신문 - 2020.9.8)
한우 평균도매 가격이 kg당 2만원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7일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kg당 1만9252원으로 조사됐다. 경매물량이 없는 월요일과 금요일을 제외하더라도 지난 4일 도매가격은 kg당 1만9982원, 지난 3일은 2만 172원으로 평균 2만 원선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로 인한 외식수요 감소에도 명절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같은 가격이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구이류는 외식소비 감소로 대형마트와 정육점 수요가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통에서 명절 선물세트 작업용 매입이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판매는 보합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육류도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학교급식이 중단되고 외식수요가 감소했으나 명절선물세트 작업용 매입으로 보합세를 유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명절 수요 증가로 1++ 등급은 상승세를 타고 있다. 지난 3일 1++등급 전국 평균 가격은 kg당 2만 4995원으로 지난달 같은 기간보다 2.5% 상승했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9.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유통부문에서 명절 선물세트 작업용 매입이 늘어나면서 모든 부위의 판매가 원활했으나 2등급 판매만 부진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업계의 한 관계자는 “한우 판매가 예년 추석보다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유통업체들이 추석 선물세트 물량을 지난해보다 30~40% 늘려 주문하고 있다”고 했다.
⦿ 농경연 향후 양돈시장 전망은 (축산신문 - 2020.9.9.)
◆ 단기전망
농경연의 136개 표본농가에 대한 조사 결과 내년 2월까지는 모돈사육의향이 지난해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9월의 돼지사육마릿수는 1천179만1천두 수준으로 추정된다. 전년대비 5.2%, 평년대비 0.9% 적은 물량이다. 모돈사육마릿수는 96만7천두로 전년대비 3.7%, 평년대비 1.1% 줄 것으로 예상된다.
9월 돼지도축두수는 141만~146만두로 전망됐다. 이대로라면 지난해와 비교해 최대 18%가 많게 된다. 생산잠재력 자체가 많은 상태에서 10월 추석의 영향에 따라 도축 작업일이 지난해 보다 이틀 늘어난 영향이다.
돼지고기 수입은 1만8천~2만두 수준으로 지난해 보다 12.3~21%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따라 9월 돼지가격은 지난해 보다 하락한 지육 kg당 4천~4천200원선에 형성될 것으로 예상됐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 등 영향으로 추석 명절 수요기간에도 갈비, 햄, 소시지 등 2차 가공품을 제외한 돼지고기 수요증가는 미미할 것이란 분석도 감안됐다.
◆ 중기전망
오는 12월 돼지사육마릿수는 1천125만5천두로 전년대비 5.1%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같은 추세는 내년까지 이어지며 올해와 비교해 평균 돼지 사육마릿수가 2% 정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9~12월 돼지도축두수는 전년동기 대비 0.4%, 평년보다는 5.2% 늘어난 626만두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돼지가격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와 소비부진으로 10월부터는 생산비(2019년 기준 3천698원, 통계청) 이하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에는 모돈수 감소의 영향으로 돼지도축두수가 올해보다 5.6% 적은 1천722만9천두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 한우가격, 추석 이후부터 하락세 보일 듯 (한국농어민신문 - 2020.9.4.)
올 추석이 한 달도 남지 않은 가운데 추석 성수기의 한우 도매가격은 지난해 추석 성수기 보다 약 10% 정도 상승할 전망이다. 하지만 추석 이후인 12월부터 사육두수와 도축두수의 증가로 한우가격이 하락세로 접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농업관측본부는 올 12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도축두수를 22만2500두로 예측했다.
2019년 12월부터 2020년 2월까지 도축두수 21만1400두 보다 5.2% 증가한 수치다. 이에 따른 한우고기 도매가격(2020년 12월부터 2021년 2월)은 1만8000~1만8500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의 가격(1만8963원) 보다 2.1~5.1%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농업관측본부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도축두수를 83만5900 마리로 예상했다. 이에 따른 2021년도 도매가격은 3~5월 1만7000~1만7500원, 6~8월 1만8000~1만8500원, 9~11월 1만7000~1만7500원으로 예측됐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3주차) (0) | 2020.10.18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2주차) (0) | 2020.10.1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1주차) (0) | 2020.10.04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9월 4주차) (0) | 2020.09.2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9월 3주차) (0) | 2020.09.2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9월 1주차) (0) | 2020.09.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8월 4주차) (0) | 2020.08.3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8월 3주차) (0) | 2020.08.2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8월 2주차) (0) | 2020.08.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8월 1주차) (0) | 2020.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