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소 1109

2024년 9월 한우 산지가격 동향

□ 2024년 9월 한우 산지가격 동향 □ 2024년 7월 한우 송아지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 7월 암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 245만 4천 원(전년 대비 9.1% 상승, 평년 대비 24.1% 하락)  * (평년) 324만원/마리, (23) 225만원 → (24) 245만 원   한우 암송아지 산지가격 추이단위 : 만원■ 7월 수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 345만 4천 원(전년 대비 3.9% 하락, 평년 대비 20.5% 하락)  * (평년) 435만원/마리, (23) 359만원→ (24) 345만 원  한우 숫송아지 산지가격 추이단위 : 만원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9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8월 누적 소고기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  ■ 1~8월 소고기 수입량: 29만 2천 톤(전년 대비 6.9% 감소) • 냉장 수입량: 6만 7천 톤(전년 대비 2.4% 감소)  • 냉동 수입량: 22만 5천 톤(전년 대비 8.2% 감소)  쇠고기 수입 동향단위 : 톤 ■ 1~7월 소고기 수입단가: 7.9달러/kg(전년 대비 4.8% 상승)  쇠고기 수입 단가 동향단위: 달러/kg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한우 및 육우 도축마릿수 동향

□ 2024년 9월 한우 및 육우 도축마릿수 동향 □ 2024년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 2분기 한우 도축 마릿수: 22만 4천 마리(전년 대비 3.2% 증가)  • 수소(거세우 포함) 전년 대비 5.2% 증가, 암소 1.5% 증가  • 육우 도축 마릿수: 1만 6천 마리(전년 대비 22.3% 감소)  ■ 7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7만 9천 마리(전년 대비 15.0% 증가)  • 8월 한우 도축 마릿수: 11만 마리(전년 대비 19.9% 증가)  한우 등급 판정 마릿수단위: 마리주 : 1) 2024년 합계는 8월까지 누계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19~2023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2024년 9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2024년 1~5월 송아지생산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5월 누적 송아지 출생신고 마릿수 : 44만 6천 마리(전년 동기간 대비 7.6% 감소, 평년 대비 12.6% 감소)  • 2023년 한우 가격 하락에 따른 2024년 번식의향 감소 영향  한우 송아지 출생신고 마릿수 동향단위: 천 마리주 1) 2022년 합계는 5월까지 누계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19~2023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한우 및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9월 한우 및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6월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한육우 사육 마릿수: 356만 2천 마리(전년 대비 5.0% 감소) • 한우: 343만 2천 마리(전년 대비 4.6% 감소)  • 한우(가임암소): 163만 7천 마리(전년 대비 1.7% 감소)  • 육우: 13만 1천 마리(전년 대비 14.4% 감소)  ■ 한육우 사육농장수: 8만 4천 농장(전년 대비 5.7% 감소)  ■ 농장당 사육 마릿수: 42.3마리(전년 대비 0.7% 증가)   한육우 연령별 사육 마릿수와 사육 농장수단위: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주 1) 매월 1일 기준이며, 사육 농장수는 한우, 육우 복합사육농장이 포함된 숫자.    2) 2024년 6월은 통계청 「가축동향」..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2개소 일반음식점의 한우고기 총 매입량은 4,500kg으로 전기 대비 13.3%(528kg), 전년 대비 162kg(3.7%) 증가하였음. - 구이류 : 4,026kg[전기 대비 14.6%(514kg) 증가, 전년 대비 2.2% (88kg) 증가] - 정육류 : 474kg[전기 대비 3.0%(14kg) 증가, 전년 대비 18.5% (74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전년 대비) : 구이류 89.5%(▲1.1% / ▼1.3%), 정육류 10.5%(▼1.1% / ▲1.3%).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판매량  o 조..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두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698kg으로 전기대비 6.0%(173kg)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12.3%(296kg) 증가하였음. - 등심 : 854kg[전기 대비 5.7%(52kg) 감소, 전년 대비 27.7%(185kg)증가] - 갈비 : 317kg[전기 대비..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3,228마리로 전기 대비 27.0%(686마리) 증가, 전년 대비 56.3%(1,163마리) 증가하였음. -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974마리(전기 대비 18.4% 증가, 전년 대비 56.8% 증가) -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1,254마리(전기 대비 43.3% 증가, 전년 대비 55.6% 증가) * 2024년 8월 상반기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7.0%(전기 대비 1.4%, 전년 대비 1.7% 증가).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

2024년 8월 1차(8.1. ~ 8.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4년 8월 1차(8.1. ~ 8.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3,351마리로 전기 대비 1.9%(253마리) 증가, 전년 대비 12.6%(1,493마리) 증가하였음.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10,388마리[전기 대비 1.6%(167마리) 증가, 전년 대비 13.0%(1,193마리) 증가]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2963마리[전기 대비 3.0%(86마리) 증가, 전년 대비 11.3%(300마리) 증가] * 공판장별로 부천공판장과 고령공판장은 경락마릿수는 증가한 반면, 음성공판장과 나주공판장은 감소하였음.   (단위 : 명, 마리)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대형마트 등..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6,390원/kg으로 전기 대비 5.3%(822원/kg) 상승하였으나, 전년 대비 1.0%(163원/kg) 하락한 수준임.  주: 1)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8월 1차(8.1. ~ 8.15.)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45,994마리로 전기 대비 1.7%(754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8.4%(7,137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27,995마리로 전기 대비 1.2%(322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5.5%(3,762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8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2024년 8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쇠고기 수입가격 상승세; 미국산, 호주산 모두 상승  ■ 7월 쇠고기 수입가격은 11,577원/kg으로 전월 대비 5.5%, 전년 동월 대비 15.9% 상승하였다. -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2023년 3월부터 가파르게 상승하여 2024년 7월 기준 13,686원/kg으로 높아졌고, 2023년에 추세적으로 하락하던 호주산 쇠고기 수입가격도 2024년에는 상승하여 2024년 7월 9,607원/kg이었다.  수입 쇠고기 가격 동향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8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8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7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5% 감소  ■ 쇠고기 수입량은 6월에 전년 동기 대비 13.8% 감소한 데 이어 7월에도 5% 감소하였고, 2024년 1∼7월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3.8% 적어 추세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단위: 톤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미국의 가뭄으로 소 사육두수가 감소하면서 2024년 1∼7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12.6% 감소하였고, 동기간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13.5% 증가하여 전체 쇠고기 수입량 중 미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2월 60.1%에서 2024년 7월 48.9%로 낮아졌다.  쇠고기 수입량 추이단위: 톤..

2024년 8월 송아지 가격 동향

□ 2024년 8월 송아지 가격 동향 □ 송아지 가격 등락 반복하며 느리게 상승 중  ■ 송아지 가격은 2022년 말에 급락한 후 2023년에는 추세적으로 상승하였고, 2024년에는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느리게 상승하고 있다. - 암송아지 가격은 2023년 추석 이후 두당 240만 원 전후 수준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수송아지 가격은 2024년 들어 느리게 상승하고 있는 모습이다.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단위: 천 원/두주 1) 2024년 8월 송아지 가격은 1~26일 평균가격임. 2) 2023년 11월은 럼피스킨병으로 가축시장이 폐장되어 송아지 가격이 형성되지 않음. 3)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  ■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여전히 낮은 수준인 데..

2024년 8월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동향

□ 2024년 8월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동향 □ 번식용 암소 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약보합세, 증가세 전환 전망  ■ 번식용 암소 두수 추정치*는 2022년 이후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에 접어들어 점차 감소율이 높아지다가 2023년 6월 11.7%를 저점으로 하여 감소 폭이 줄었고, 2024년 6월에는 0.5%로 감소율이 크게 낮아졌다. 번식용 암소 두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주 1) 번식용 암소 두수란, 임신 중이거나(최근 10개월간 인공수정 두수 계로 추산) 분만 후 수정 대기중인 공태 암소(최근 3개월간 송아지 생산두수 계로 추산)를 말함. 2) 굵은 실선은 12개월 이동평균선임.  - 한우 암소 평균 도축월령 및 도축 암소 평균산차가 2023년 10월을 저점으로 하여 추세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2024년 8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2024년 8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 상승세 ; 추석 성수기 도축두수가 많아 가격 상승 폭은 제한적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1년 추석 이후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2023년 추석에 일시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여 2024년 6월 14,889원/kg으로 낮아졌으나 7월과 8월(1∼27일)에는 각각 15,418원/kg, 16,423원/kg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우고기 도매가격단위: 원/kg주 1) 2024년 8월 도매가격은 1~27일 평균가격임. 2)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한우 선물세트 할인 판매 등 추석 성수기 소비 촉진 행사의 영향으로 한우고기 수요가 증가하겠지만 한우 도축두수가 많아 추석 성수기 가격 상승 폭은 제한적일 것이다.  한우고기 도..

2024년 8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2024년 8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7월 한우 도축두수 전년 동월 대비 15% 증가, 8월 증가율 상승 추정  ■ 한우 도축두수는 2023년에 전년 대비 6.9% 증가하였고, 2024년에는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추세적으로 증가하여 7월에 전년 동월 대비 15% 늘었으며, 8월 증가 폭은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 2024년 추석(09.17)이 전년 추석(09.29)에 비해 일러 8월부터 추석에 대비한 도축이 늘면서 8월 도축두수 증가 폭이 더 커질 것으로 추정되고, 실제로 8월 1∼27일 경락두수가 전년 동기간 대비 20% 가까이 증가하였다.   한우 도축두수단위: 백 두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도축 두수는 판정 두수 기준임. ■ 30개월령 이상 수소 사육두수가..

2024년 8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4년 8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4년 2분기 송아지 생산두수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 추정   ■ 송아지 생산두수는 2022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에 접어든 후 추세적으로 감소 폭이 커져 2023년 4분기에 12.9% 감소하였고, 2024년에는 1분기에 9.8% 감소한데 이어 2분기*에는 6.8%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아지 생산두수 추이단위: 백 두,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1분기는 전년 12월~2월, 2분기 3~5월, 3분기 6∼8월, 4분기 9∼11월이고, 연간 계는 전년 12월~당해 11월 합계임. 3) 올 2분기 생산두수의 통계청 잠정치는 28만 8,451두로, 과거 통계청 잠정치와 확정치의 오차를 반영하여 이를 조정함.  ..

2024년 8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8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3월 한우 총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2.3% 감소 추정  ■ 한우 총사육두수는 2016년 9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가 이어지다가 2023년 12월에 전년 동월보다 2.3% 적은 수준을 보이며 감소세로 전환되었고, 2024년 3월에 2.4% 감소한 데 이어 6월에는 감소율이 3.2%로 높아진 것으로 추정된다.  한우 암수별 총사육두수단위: 천 두, %주 1) 2024년 6월 1일 기준 통계청 총사육두수 잠정치는 343만 2천 두로, 그중 1세 미만 두수는 83만 5천 두지만 과거 6월의 1세 미만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암수 각각 5.9%, 6.0%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해 1세 미만 두수를 조정하여 총사육두수 추정치를 산출함.2) ( )안은 전년..

2024년 상반기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0개소의 ‘24년 상반기 총 매입량은 45.0톤으로 '23년 상반기 대비 5.1톤(12.7%) 증가하였으며, 구이류가 4.8톤(13.5%)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0.3톤(6.1%) 증가하였음. - 매입 비중은 구이류에서 등심이 최고 47.0%를 차지하였고, 정육류는 우둔이 최고 8.8%의 비중을 차지하였음. o ‘23년 상반기 대비로 구이류는 약보합세를 보인 특수부위를 제외하고 모든 부위가 5월까지 매입량이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2월 감소 이후 모든 부위가 5월까지 증가하였음. - 6월 갈빗살을 제외한 모든 부위가 감소하였음.  (단위 : kg)  □ 판매량  o 조사 대상 20개..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 대상 30개소 중 16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 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14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o 16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월평균 24마리로 ‘23년 상반기와 비교시 4마리 감소하였으며,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14개 업소의 상반기 매입량은 18.6톤으로 ‘23년 상반기와 비교시 4.2톤(18.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구이류에서는 등심 매입량이 ‘23년 상반기 대비 약 0.5톤(7.7%) 감소하였으며, 정육류에서는 갈비가 2,279.0톤(41.8%) 감소하였음.   □ 판매량  o 조사 대상 30개소의 상반기 총 판매량은 약 35.2톤으로 ‘23년 상반..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24년 상반기 식육포장처리업체 10개소의 가공실적은 33,088마리로 '23년 하반기 대비 3,351마리(11.3%) 증가하였음. - 전체 도축마릿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7.1%로 '23년 하반기 대비 약 0.7% 증가하였음. o 농가에서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한 비율이 약 57.4%로 하반기 대비 5.9% 감소하였고,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비율은 약 42.6%로 하반기 대비 5.9% 증가를 보였음.  (단위 : 마리) □ 생산 매입현황  o ‘24년 상반기 전체 생산 매입량은 7,891.6톤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1,230.9톤(18.5%) 증가하였음. o 구이류는 1,944.3톤으로 '23년 상반기 대비 233.8톤(13..

2024년 상반기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동향

□ 2024년 상반기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동향 □ 거래인별 경락 현황  o ‘24년 상반기 중도매인 경락 마릿수는 106,920마리이며 4대 공판장 중 음성공판장 비중이 5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부천 25.1%, 고령 11.3%, 나주 7.4%로 나타남. o 매참인 경락 마릿수는 27,107마리이며 중도매인과 마찬가지로 음성이 6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부천 17.1%, 고령 16.0%, 나주 2.4%순이었음. (단위 : 명, 마리) □ 축산물공판장 경락현황  o ‘24년 상반기 4대 공판장은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으며, 나주 공판장이 특히 약세를 보임. - '23년 상반기 대비 고령 공판장이 4.0% 하락하며 가장 크게 하락 하였으며, 나주 공판장은 오히려 6.4% 상승한 ..

2024년 상반기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가격 동향 □ 한우 가격동향 o ‘24년 상반기 평균 경락가격은 15,771원/kg으로 ’23년 상반기 대비 76원/kg(0.5%) 하락하였음. - 1++등급과 1+등급은 저등급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등급은 거세우 보다 암소 가격이 더 하락하였음. - 경락가격이 가장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급은 3등급 암소(1,517원/kg) 이며, 가장 하락한 것은 1++등급 암소(1,397원/kg)로 나타남. - 2등급과 3등급은 ‘23년 상반기 대비 평균 경락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세우 보다 암소 가격 상승폭이 크게 나타남. (단위 : 원/kg, %)주: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 1~6월 기준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상반기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24년 상반기 등급판정 마릿수는 477,117마리로 ’23년 상반기 대비 29,872마리(6.7%) 증가하였음. o ‘24년 상반기 누계 기준 1월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 보다 약 6% 증가하였고, 이후 보합세를 유지하나 6월 비율은 전년 동월 대비 2% 감소하였음. - ‘24년은 설 명절은 2월 상순으로 명절 전후를 기점으로 1월에 도축두수가 급증하고 2월에 급감한 후, 3월부터 5월까지는 도축두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 6월에 다시 소폭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 - 이는 명절과 계절적 요인에 기인함. (단위 : 마리,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24년 상반기 상장 마릿수는 280,145마리로 ’23년 상반기 대비 19,220마리(7.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