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소 1109

2024년 12월 한우 산지가격 동향

□ 2024년 12월 한우 산지가격 동향 □ 2024년 10월 한우 송아지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 10월 암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 253만 8천 원(전년 대비 7.8% 상승, 평년 대비 19.8% 하락)  * (평년) 316만원/마리, (23) 235만원→ (24) 254만 원  한우 암송아지 산지가격 추이단위 : 만원■ 10월 수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 376만 7천 원(전년 대비 2.6% 상승, 평년 대비 8.2% 하락)  * (평년) 410만원/마리, (23) 367만원(24)377만 원  한우 숫송아지 산지가격 추이단위 : 만원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2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12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11월 누적 소고기 수입량 전년 대비 감소  ■ 1~11월 소고기 수입량: 40만 6천 톤(전년 대비 3.1% 감소)  • 냉장 수입량: 9만 톤(전년 대비 2.8% 감소)  • 냉동 수입량: 31만 6천 톤(전년 대비 3.2% 감소)   쇠고기 수입 동향단위 : 톤 ■ 1~10월 평균 소고기 수입단가: 7.95달러/kg(전년 대비 5.2% 상승)  쇠고기 수입 단가 동향단위: 달러/kg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2월 한우 및 육우 도축마릿수 동향

□ 2024년 12월 한우 및 육우 도축마릿수 동향 □ 2024년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 3분기 한우 도축 마릿수: 26만 5천 마리(전년 대비 1.7% 감소)  • 수소(거세우 포함) 전년 대비 3.2% 증가, 암소 6.2% 감소  • 육우 도축 마릿수: 1만 6천 마리(전년 대비 27.2% 감소)  ■ 10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8만 3천 마리(전년 대비 29.2% 증가)  • 11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7만 1천 마리(전년 대비 0.7% 감소)   한우 등급 판정 마릿수단위: 마리주 : 1) 2024년 합계는 11월까지 누계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19~2023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2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2024년 12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2024년 1~8월 송아지생산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8월 누적 송아지 출생신고 마릿수: 68만 4천 마리(전년 동기간 대비 4.0% 감소, 평년 대비 10.4% 감소)  • 2023년 한우 가격 하락에 따른 2024년 번식의향 감소 영향  한우 송아지 출생신고 마릿수 동향단위: 천 마리주 1) 2024년 합계는 8월까지 누계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19~2023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2월 한우 및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12월 한우 및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9월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한육우 사육 마릿수: 354만 1천 마리(전년 대비 5.6% 감소)  • 한우: 341만 2천 마리(전년 대비 5.2% 감소)  • 한우(가임암소): 165만 6천 마리(전년 대비 3.1% 감소)  • 육우: 12만 9천 마리(전년 대비 15.2% 감소)  ■ 한육우 사육농장수: 8만 3천 농장(전년 대비 5.7% 감소)  ■ 농장당 사육 마릿수: 42.7마리(전년 대비 0.1% 증가)   한육우 연령별 사육 마릿수와 사육 농장수단위: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주 1) 매월 1일 기준이며, 사육 농장수는 한우, 육우 복합사육농장이 포함된 숫자.    2) 2024년 9월은 통계청 「가축동향..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2개소 일반음식점의 한우고기 총 매입량은 3,708kg으로 전기 대비 17.0%(762kg)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19.5%(604kg) 증가하였음. - 구이류 : 3,327kg[전기 대비 6.3%(225kg) 감소, 전년 대비 21.3%(585kg) 증가] - 정육류 : 381kg[전기 대비 58.5%(537kg) 감소, 전년 대비 5.2%(19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89.7%(▲10.2% / ▲1.4%), 정육류 10.3%(▼10.2% / ▼1.4%)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마리로 업소당 평균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299kg으로 전기대비 4.8%(116kg)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5.5%(134kg) 감소하였음.- 등심 : 669kg[전기 대비 7.5%(54kg) 감소, 전년 대비 0.6%(4kg) 증가] - 갈비 : 264kg[전기..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702마리로 전기 대비 10.7%(322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22.5%(496마리) 증가하였음. -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523마리(전기 대비 20.4% 감소, 전년 대비 9.5% 증가) -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1,179마리(전기 대비 6.2% 증가, 전년 대비 44.6% 증가) * 24년 11월 상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7.4%(전기 대비 0.8%증가, 전년 대비 0.9% 증가)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2024년 11월 1차(11.1. ~ 11.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0,735마리로 전기 대비 22.8%(3,175마리) 감소, 전년 대비 11.4%(1,100마리) 증가하였음.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8,665마리[전기 대비 22.4%(2,495마리) 감소, 전년 대비 11.3%(882마리) 증가]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2,070마리[전기 대비 24.7%(680마리) 감소, 전년 대비 11.8%(218마리) 증가]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한우 소비촉진 행사로 인해 발생한 수요로 한우 경락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함.  o 매참인 - 한..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7,387원/kg으로 전기 대비 0.7%(115원/kg) 상승하였고, 전년 대비 1.8%(307원/kg) 상승함. 주: 1)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11월 1차(11.1. ~ 11.15.)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36,497마리로 전기 대비 20.5%(9,418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7.4%(2,524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21,037마리로 전기 대비 25.4%(7,170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3.6%(734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0개소의 총 매입량은 4,470kg으로 전기 대비 35.2%(1,165kg) 증가하였고, 전년대비 20.5%(761kg) 증가하였음. - 구이류 : 3,552kg[전기 대비 19.9%(589kg) 증가, 전년 대비 7.1%(237kg) 증가] - 정육류 : 918kg[전기 대비 168.4%(576kg) 증가, 전년 대비 133.0%(524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79.5%(▼10.2% / ▼9.9%), 정육류 20.5%(▲10.2% / ▲9.9%)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판..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 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o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마리로 업소당 평균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415kg으로 전기대비 4.1%(102kg)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2.9%(72kg) 감소하였음. - 등심 : 723kg[전기 대비 0.6%(4kg) 감소, 전년 대비 5.7%(39kg) 증가] - 갈비 : 659kg..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3,024마리로 전기 대비 27.9% (660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7.9%(460마리) 증가하였음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914마리(전기 대비 37.7% 증가, 전년 대비 74.2% 증가)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1,110마리(전기 대비 14.0% 증가, 전년 대비 24.2% 감소) * 24년 10월 하반기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6.6%(전기 대비 0.2%증가, 전년 대비 0.1% 증가)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3,910마리로 전기 대비 34.5%(3,571마리) 증가, 전년 대비 20.6%(2,378마리) 증가하였음.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11,160마리[전기 대비 34.8%(2,880마리) 증가, 전년 대비 25.8%(2,290마리) 증가]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2,750마리[전기 대비 33.6%(691마리) 증가, 전년 대비 3.3%(88마리) 증가]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한우데이 행사로 인해 소비자들의 늘어난 수요로 인해 한우가격 보합세로 유지.   o 매참인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7,272원/kg으로 전기 대비 2.2%(393원/kg) 하락하였고, 전년 대비 5.1%(931원/kg) 하락한 수준임. (단위 : 원/kg, %)주: 1)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10월 2차(10.16. ~ 10.31.)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45,915마리로 전기 대비 23.5%(8,748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15.8%(6,256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28,207마리로 전기 대비 23.3%(5,333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24.6%(5,567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1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2024년 11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쇠고기 수입가격 상승세; 9월은 냉동육 수입 증가에 따라 가격 하락  ■ 9월 쇠고기 수입가격은 10,455원/kg으로 전월 대비 8.5% 낮아졌으나 전년 동월보다는 5.5% 높고, 평년보다는 15.0% 높은 수준이다. -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2023년부터 가파르게 상승하여 2024년 8월 13,976원/kg으로 고점을 기록한 후 9월에는 12,945원/kg으로 소폭 하락하였고, 호주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2023년에 약세를 보인 후 2024년부터 상승하여 7월 9,607원/kg이었으나 9월에는 8,800원/kg으로 낮아졌다. ■ 9월에는 추석 수요에 대응하여 갈비 등 냉동육 수입이 증가하면서 수입 쇠고기 평균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수입 쇠고기 ..

2024년 11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11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쇠고기 수입량 9월에 전년 동월 대비 4.8% 증가; 추세적으로는 감소  ■ 쇠고기 수입량은 2024년에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가 이어져 7월과 8월 각각 5.0%, 11.0% 감소하였고, 9월에는 4.8% 증가하였으나 추석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단위: 톤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미국 내 가뭄에 따른 소 사육두수 감소로 미국산 쇠고기 가격이 상승하여 1∼9월 미국산 수입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7% 감소한 반면,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은 동기간 12.2% 증가하면서 미국산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쇠고기 수입량 추이단위: 톤주 : 검은 실선은 쇠고기 총수입량 12개월 이동평균선임 ...

2024년 11월 송아지 가격 동향

□ 2024년 11월 송아지 가격 동향 □ 송아지 가격은 추세적으로 상승; 연말에는 계절적 영향으로 상승세 주춤할 수도  ■ 송아지 가격은 2022년 말에 급락한 이후 2023년 상승세를 보인 데 이어 2024년에도 등락은 있지만 추세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암송아지 가격은 2024년 5월까지 약세를 보이다가 6월부터 상승하여 10월 기준 두당 254만 원이었고, 수송아지 가격은 2024년 2월 이후 상승하여 10월 기준 두당 377만원이었다.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단위: 천 원/두주 1) 2023년 11월은 럼피스킨병으로 가축시장이 폐장되어 송아지 가격이 형성되지 않음. 2)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  ■ 연말에는 계절적 영향으로 송아지 입식 수요가 비교적 감소하는 경향이 있..

2024년 11월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동향

□ 2024년 11월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동향 □ 번식용 암소 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보합세; 번식의향 회복  ■ 번식용 암소 두수 추정치*는 2022년 이후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에 접어들어 점차 감소율이 높아지다가 2023년 6월 11.7%를 저점으로 하여 감소 폭이 줄었고, 2024년 6월 이후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번식용 암소 두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주 1) 번식용 암소 두수란, 임신 중이거나(최근 10개월간 인공수정 두수 계로 추산) 분만 후 수정 대기중인 공태 암소(최근 3개월간 송아지 생산두수 계로 추산)를 말함. 2) 굵은 실선은 12개월 이동평균선임. - 번식용 암소 두수 감소세가 잦아드는 동시에 한우 암소 평균 도축월령이 2024년에는 추세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

2024년 11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2024년 11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 약보합세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4년 6월 14,889원/kg에서 9월 18,100원/kg으로 상승한 후 추석을 기점으로 하락하여 10월에는 17,437원/kg으로 낮아졌으나 하락 폭이 크지는 않다.  한우고기 도매가격단위: 원/kg주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암소 도축두수 감소로 거세우 비중이 늘면서 한우고기 평균가격이 상향이동한 측면이 있고, 한우 소비 촉진 행사 등에 따른 수요 증가가 가격 하락을 억제하고 있다.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 11월 1일 한우의 날 행사를 시작으로 연말까지 한우고기 할인 행사가 이어질 예정이어서 한우고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

2024년 11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2024년 11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한우 도축두수 8∼9월에 전년 동기 대비 7.3% 감소 후 10월에는 29.3% 증가  ■ 한우 도축두수는 2023년 8∼9월 추석에 전년 동기 대비 17.5% 증가한 후 증가율이 추세적으로 낮아져 2024년 8∼9월에 전년 동기보다 7.3% 감소하였고, 10월에는 29.3% 증가하였다.  - 1∼10월 도축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하였고, 암소(2.7%)에 비해 수소(8.7%) 증가율이 더 높았다.  한우 도축두수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도축 두수는 판정 두수 기준임. ■ 9월 말일 기준 25개월령 이상 수소 사육두수가 전년 동월보다 많아 수소 도축두수는 증가세가 이어지겠으나 암소 도축두수가 감소하여 도축..

2024년 11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4년 11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4년 3분기 송아지 생산두수 전년 동기 대비 4.5% 감소 추정  ■ 송아지 생산두수는 2022년 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에 접어든 후 추세적으로 감소 폭이 커지다가 2024년 1분기와 2분기 각각 9.8%, 7.3%로 감소 폭이 줄었고, 3분기에는 4.5%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아지 생산두수 추이단위: 백 두,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1분기는 전년 12월~2월, 2분기 3~5월, 3분기 6∼8월, 4분기 9∼11월이고, 연간 계는 전년 12월~당해 11월 합계임. 3) 올 3분기 생산두수의 통계청 잠정치는 20만 8,054두로, 과거 통계청 잠정치와 확정치의 오차를 반영하여 이를 조정함. - 번식용 암소 ..

2024년 11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11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9월 한우 총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4.3% 감소 추정  ■ 한우 총사육두수는 2016년 9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다가 2023년 12월에 감소세로 전환된 후 감소 폭이 커지는 추세로, 2024년 6월 전년 동월보다 3.2% 감소한 데 이어 9월에는 4.3%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우 암수별 총사육두수단위: 천 두, %주 1) 2024년 9월 1일 기준 통계청 총사육두수 잠정치는 341만 2천 두로, 그중 1세 미만 두수는 84만 1천 두지만 과거 9월의 1세 미만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암수 각각 3.7%, 4.1%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해 1세 미만 두수를 조정하여 총사육두수 추정치를 산출함. 2)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