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장에서 소를 키워 자신이 운영하는 정육점에서 판매하는 경우 농장의 사업자등록 여부 등에 관한 질의 |
【제 목】 | : | 농장에서 소를 키워 자신이 운영하는 정육점에서 판매하는 경우 농장의 사업자등록 여부 등에 관한 질의 |
【사건번호】 | : | 서면법규과-396(2014.4.22.) |
【질 의】 | ○ 농장에서 소를 사육하여 자신이 운영하는 정육점에서 판매하는 경우 - 농장에 대하여 사업자등록을 해야 하는지 여부 - 농장으로부터 정육점에 반출하는 지육가액을 축사의 수입금액에 포함해야 하는지 여부 ○ 거주자 甲은 축사(한우농장)에서 소를 길러 도축업자에게 도축을 의뢰하여 도축한 후 자신이 운영하는 정육점(축사와 소재지가 상이하며 소매업을 영위하는 면세사업자)에서 판매 ※ 도축비는 정육점의 필요경비로 산입함 - 한우농장은 농가부업규모를 초과하지만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았으며 사료 등을 매입할 때 거주자 甲의 주민등록번호로 증빙을 수취하고 인건비나 경비 등은 신고하지 않음 - 정육점의 매입원가 산정 시 축산물 품질평가원의 소도체 등급 판정결과에 따라 고시되는 경락가액으로 산정 * 한우농장에서 사육한 소는 전량 정육점에서 판매되며, 정육점에서는 추가로 필요할 경우 타 사업자로부터 매입 |
|
【회 신】 | ◦ 사업자가 축사에서 소를 사육하여 도축업자에게 도축을 의뢰한 후 전량을 소재지가 다른 자신의 사업장인 정육점에 반출하여 판매하는 경우에는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며, 축사에서 소를 사육하면서 발생한 원가는 정육점의 필요경비에 산입하는 것임. |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
'축산관련해석 > 축산관련 질의회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돼지고기를 훈제하여 슬라이스한 제품의 부가가치세 과면세 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
캥거루 고기의 부가가치세 면세 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식육포장처리업에서 발생한 소득이 감면대상 소득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도축을 의뢰한 정육점 경영자가 도축장경영자에게 계산서 발행 교부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음식점 접객시설에서 용역을 공급하고 그 대가를 받는 경우 과세 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축산물 유통・가공・판매소득의 “농업소득 외 소득” 해당 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축산물 매입과 관련하여 의제매입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축산물 유통·가공·판매에서 발생한 소득이 감면대상 소득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질의 (0) | 2022.02.15 |
착색셀로판 필름의 표시에 관한 질의 (0) | 2017.05.09 |
충진수에 담아있는 깐 메추리알의 원재료 표시방법에 관한 질의 (0) | 2017.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