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정육상식

돼지와 돼지고기의 한국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8편 1950년대-3)

오늘도힘차게 2019. 11. 25. 16:03
728x90
돼지와 돼지고기의 한국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8편 1950년대-3)



대부분의 국민들이 고기는커녕 먹을 음식조차 부족하였던 1950년대, 그나마 미군부대 주변에 거주하였던 국민들 중 일부는 미군들이 먹다 버린 음식찌꺼기에서 돼지고기 아닌 돼지고기였던 돈육통조림을 맛볼 수 있었습니다.


한국전쟁 당시 꿀꿀이죽


이렇게 음식찌꺼기를 모아서 만든 음식을 당시 “꿀꿀이죽” 또는 "UN탕"이라고 불렀고, 이는 만성적인 식량부족에서 서서히 벗어나게 되는 1960년대까지도 노점상에서 팔리기도 하였습니다.


1960년 12월 22일 동아일보


정부의 정책과 미국의 원조에도 불구하고 식량난은 여전히 지속되었고, 정부는 축산부문에서 일정한 성과가 있었던 제1차 축산부흥5개년계획에 이어 1958년 제2차 축산부흥5개년계획의 실시하여 당시 부업형태의 가축사육이 유축농업적(有畜農業的)인 형태로 전환시키는 한편 미국 정부 및 헤이퍼인터내셔널(Heifer International) 등의 자선재단의 도움으로 중소가축을 도입하거나 기부받았습니다.


헤이퍼인터내셔널에 의하여 기부된 버크셔종 돼지


또한, 정부는 폭등한 물가를 잡아 국민의 생활이 안정될 수 있도록 저물가정책(低物價政策)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정부의 노력에도 축산물의 가격은 쉽게 잡히지 않았습니다.



당시 축산물시장은 상품의 특성과 거래액의 규모 등에서 다른 상품과 차별되어 정부의 물가정책의 통제범위에서 살짝 벗어나 있었으므로, 식육판매 상인들로 구성되었던 경제적 친목이익단체였던 축산기업조합이 가축의 도살 및 해체수수료와 소매단계까지의 원가를 스스로 계산하고, 이를 육류가격으로 정하였기 때문입니다.



당시 경향신문 기사를 보면 “축산기업조합이 소값 인상을 이유로 소고기 가격을 인정하였다고 서울시에 보고하였으나, 서울시는 관허요금이 아니므로 억제할 도리가 없다고 하여 시민들이 가격인상에 대하여 비난을 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1954년 7월 3일 경향신문


이렇게 육류가격을 일방적으로 결정할 수 있었던 축산기업조합은 조선 후기 백정(白丁)들의 신분 해방을 위해 설립된 사회운동단체였던 형평사(衡平社)에 기초한 단체로서, 일제강점기에는 대동사(大同社)로, 1955년에는 보건사회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전국적으로 조직된 사단법인이 되었습니다.


1936년 대동사 전체대회


이들이 결정한 육류가격은 외형상 관계 당국으로부터 인정을 받도록 하였으나, 실제로는 관계 당국이 수수방관하고 있었으므로 육류가격은 일방적으로 결정되었고, 그로 인하여 많은 이익을 취할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육류가격에 대한 국민들의 불만은 날로 늘었고, 정부가 육류가격의 결정에 개입하기 시작한 1960년대 후반까지 지속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돼지의 살코기보다는 저렴한 부위를 활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어 다양한 음식들이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