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1월 2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11월2일~11월6일) (농민신문 - 2020.11.11.)
한우고기값이 하락세를 보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증가했던 가정 내 소비가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11월11일 농업인의 날을 앞두고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준비하는 대형 유통업체들이 구매량을 늘려 가격 하락은 소폭에 그쳤다. 한우는 전주 대비 11% 감소한 8079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의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2만716원으로 144원 내렸다. 1++A 등급은 316원 상승한 1㎏당 2만4256원, 1++B 등급은 199원 오른 2만2792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모두 553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경락값은 149원 상승한 1만1101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11월2일~11월6일) (농민신문 - 2020.11.11.)
돼지고기값이 상승세를 보였다. 11일 진행되는 농업인의 날을 맞아 대형 유통업체에서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위해 구매량을 늘렸기 때문이다. 전주보다 상대적으로 출하물량이 감소한 것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돼지는 전주 대비 17% 감소한 1만5273마리가 경매됐다. 지육 1㎏당 평균 경락값(탕박 기준, 등외 제외)은 3909원으로 전주 대비 170원 올랐다.
모돈은 2031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가격(박피)은 17원 상승한 1442원이었다.
⦿ 온라인몰 판매 1++등급 한우고기, 근내지방도 병행표기 비율 낮아 (농민신문 - 2020.11.11)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 중인 육질 1++등급 한우고기 상품 10개 가운데 8개엔 근내지방도(7∼9)가 표기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의 월간소비자 11월호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 18곳에서 판매하는 한우고기 1++등급 160개 제품 가운데 근내지방도를 표시하지 않은 제품은 80%(128개)에 이르렀다.
반면에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은 근내지방도 표기 비율이 높았다.
전국 10개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 291곳 가운데 근내지방도를 표기한 곳은 82.5%(240곳)였다. 특히 백화점과 대형마트의 근내지방도 표기 비율은 각각 96.2%, 94.6%에 달했다.
소비자단체협의회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1++등급 한우고기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근내지방도 정보를 얻기 힘들 것”이라며 “언택트(Untact·비대면) 소비가 늘어나는 만큼 온라인 쇼핑몰 한우고기 판매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안내·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소·돼지 식육의 표시방법 및 부위 구분기준’에 따르면 올 6월부터 한우고기 1++등급엔 육질등급과 근내지방도를 함께 표기해야 한다. 가령 1++등급 가운데서도 근내지방도 7인 쇠고기는 식육판매표지판에 ‘1++(근내지방도 7)’ 식으로 두가지 정보를 함께 넣는 것이다.
⦿ 올해 돼지 평균가격 전년비 100원↑예상 (축산신문 - 2020.11.12.)
올 한해 돼지 평균가격이 전년보다 지육 kg당 100원 가까이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P&C연구소(대표 정영철)에 따르면 올 한해 돼지 평균가격은 3 천950~4천50원 수준으로 지난해 보다 95원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정영철 대표는 “올 한해 연간 출하 두수가 전년 보다 40만두 증가하고, 돈육 수입량이 10만1천톤 감소한다는 가정하에 추정해낸 가격”이라고 설명했다.
⦿ 전국 고병원성 AI 위험주의보…현장 방역 강화 (농민신문 - 2020.11.13.)
전국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위험주의보가 발령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가금농장에서 AI 발생 위험이 커짐에 따라 10일 AI 위험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가축전염병 위험주의보는 긴급행동지침(SOP)상의 위기경보 단계(관심<2014>주의<2014>심각)와는 별도로 위험 상황이 발생했을 때 축산농장, 관련 기관 등 축산 관계자의 경각심을 높이고 방역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내리는 조치다.
농식품부는 위험주의보 발령에 따라 ‘철새 도래지<2014>차량·사람<2014>가금농장’으로 이어지는 바이러스 3중 차단망에 대한 현장 방역을 강화하기로 했다.
우선 이달말까지 현장 방역에 동원되는 소독장비를 464대까지 늘리기로 했다. 10월말 기준 활용 중인 소독장비는 광역방제기 68대, 소독차량 211대 등 300대다.
또 전국 주요 철새 도래지 103곳의 야생조류 서식 지도를 지방자치단체 및 관계 기관과 공유해 소독과 시료 채취, 사람·차량 출입통제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철새 도래지와 거점소독시설, 가금농장의 방역조치 이행 여부도 철저히 점검한다. 특히 거점소독시설 169곳과 방역 취약 가금농장 4819곳에 대해서는 이달부터 내년 2월까지 방역수칙 준수 여부 등을 매월 점검한다.
한편 고병원성 AI는 11일 현재까지 가금농장에서 발생하지 않았지만 야생조류 분변에서는 잇따라 검출되고 있다. 10월25일 충남 천안 봉강천과 28일 경기 용인 청미천에 이어 이달 10일엔 천안 병천천에서 고병원성 AI 확진판정이 나왔다.
⦿ ASF 한달 째 잠잠…경기·강원 돼지 재입식 재개 (미디어펜 - 2020.11.15.)
경기·강원지역 내 양돈농장의 돼지 재입식(다시 들임) 절차가 16일부터 다시 시작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강원 화천군 내에 있는 모든 양돈농장 돼지·분뇨의 농장 밖 반출금지 조치를 15일 0시부터 해제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13일 화천에서 마지막으로 ASF가 발생한 농장을 살처분하고 소독을 완료한 지 30일이 지났고, 10㎞ 내 농장에 대한 정밀검사에서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데 따른 것이다.
기존에 재입식 평가를 마쳤던 양돈농장은 입식신고와 돼지 공급 계약상황에 따라 이달 중 재입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문가 의견을 고려해 ASF 멧돼지 발생지점 인근에 있는 양돈농장에 대해서는 어미돼지(모돈과 후보돈)의 입식을 일정 기간 제한하기로 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2월 3주차) (0) | 2020.12.20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2월 2주차) (0) | 2020.12.1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2월 1주차) (0) | 2020.12.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1월 4주차) (0) | 2020.11.2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1월 3주차) (0) | 2020.11.2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1월 1주차) (0) | 2020.11.0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5주차) (0) | 2020.11.0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4주차) (0) | 2020.10.2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3주차) (0) | 2020.10.1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0년 10월 2주차) (0) | 2020.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