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 630

2016년 1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2016년 1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 (사육전망) 12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다소 감소 예상 • 12월은 전년 동월(268만 마리)보다 감소한 265만 마리(한우 252만 마리) 전망 □ (공급전망) 11~12월 국내산 쇠고기 공급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사육 마릿수 감소로 11~12월 도축은 전년보다 13% 감소 전망 • 국내 가격 강세로 수입량 전년보다 8% 증가 전망 □ (가격전망) 11월 이후 한우 도매가격 10월 대비 약보합 전망 • 한우고기 공급이 감소하나 수요 불확실성 확대로 11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10월보다 약보합 전망 - 김영란법 시행(9월 28일) 이후 대형 한우전문 음식점 소비 최소 10%에서 최대 40%까지 감소 단위 : 원/지육 kg(만 원/600kg) 1..

2016년 10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6년 10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16년 11월~'17년 3월 돼지고기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6년 10월~'17년 1월 등급판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6~8월 생산된 자돈용 사료는 전년 동기보다 2.6% 증가하였다. • 11월~내년 3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723만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11월~내년 3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1.5% 증가한 38만 2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10월 11월 12월 1월 2월 3월 합계 2016~17년(A) 81.1 77.6 79.7 75.2 75.1 75.7 464.4 2015~16년(B) 80.1 75.6 78.6 74.9 69.1 79.6 457.9 ..

2016년 10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10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10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 수준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추석 전 경락 마릿수 감소, 한우고기 가격 상승, 수입육 재고 감소, 명절 수요 등 국산 돼지고기 수요증가로 9월 돼지 지육가격이 상승하였다. • 9월(23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4,840원)보다 6.2% 상승한 탕박 기준 kg당 5,141원이었다. • 등급판정 마릿수는 증가하나,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10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4,313원) 수준인 탕박 기준 kg당 평균 4,200~4.5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6년 10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10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9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8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28만 5,860마리로 전년 동월(117만 2,064마리)보다 9.7% 증가하였다. • 9월(22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6만 2,705마리)보다 3.4% 증가한 6만 4,821마리였다. □ 9월 일평균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8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1만 9,937마리로 전년 동월(10만 8,539마리)보다 10.5% 증가하였다. • 9월(22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6,565마리로 전년 동월(6,825마리)보다 3.8% 감소하였다. 도매시장 출하비중은 10.1%로 전년 동월 수..

2016년 10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6년 10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9월 돼지 사육 마릿수 1,040~1,060만 마리 전망 모돈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지속적인 후보돈 입식 마릿수 증가로 9월 모돈 마릿수는 98만 마리 내외로 전망된다. 모돈수 증가로 9월 돼지 총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0.7~2.6% 증가한 1,040~1,060만 마리로 전망된다. □ 8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증가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8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49만 5,335톤으로 전월보다 3.6%, 전년 동월보다 4.6% 증가하였다. 모돈용 사료는 8만 3,403톤으로 전월보다 3.1%, 전년 동월보다 3.3% 증가하였다. • 20kg 이하 자돈용 사료 생산량은 17만 톤으로 전월보다 7.3%, 전년 동월보다 15.2% 증..

2016년 10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2016년 10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 (사육전망) 9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예상 • 9월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275만 3천 마리)보다 감소한 275만 마리(한우 263만 마리) 전망 • 12월은 전년 동월(268만 마리)보다 감소한 264만 마리(한우 252만 마리) 전망 □ (공급전망) 10~11월 국내산 쇠고기 공급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사육 마릿수 감소로 10~11월 도축은 전년보다 7~9% 감소 전망 • 국내 가격 강세로 수입량 전년보다 8% 증가 전망 □ (가격전망) 10월 한우 도매가격 9월 대비 보합 전망 • 한우고기 공급이 감소하나 수요 불확실성 확대로 10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9월과 비슷한 수준 전망 - 예년 추석과 달리 구이용(등심, 특수부위 등) 재고..

2016년 10월 한육우 가격동향

2016년 10월 한육우 가격동향 □ (송아지가격 동향) 송아지 가격 전년 대비 상승 • 입식의향이 높아 1~8월 송아지 평균 가격 전년보다 13% 상승 - 9월 23일 수송아지 가격 381만원, 암송아지 289만원(6-7개월령) 한우 산지가격 추이 □ (도매가격 동향) 9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강세 지속 • 도축 감소로 8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18,576월/kg)보다 1.7% 상승한 18,892원(678만원) - 9월(1~23일) 한우 1등급 도매가격 전년 동월보다 4.2% 상승한 19,543원 - 2~3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1~7% 하락한 12,800~16,500원 한우 육질 등급별 도매가격 추이 □ (등급별 소득) 3등급을 제외한 전(전)등급에서 일정 소득 발생 • 9월 ..

2016년 10월 한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2016년 10월 한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 (도축동향) 1~8월 한우 도축 마릿수 전년 동기간보다 18% 감소 • 암소와 수소 출하 감소로 1~8월 한우 도축 전년 동기간보다 17.6% 감소한 48만 9천 마리 - 한우 암소 24만 마리(전년 대비 13.2% 감소), 거세우 23만 5천 마리(21.6% 감소), 수소 1만 4천 마리(18.0% 감소) - 추석 2주전 한우 도축 41,826마리로 전년(47,595마리)보다 12.1% 감소 한우 도축 마릿수 □ (등급출현율)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전년보다 상승 • 거세우 비중[거세/(거세+비거세)]은 94.3%로 대부분이 거세 출하하고 있어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은 2015년보다 0.3%p 상승한 68.2%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추이 □ (수입동..

2016년 10월 한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2016년 10월 한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 (사육동향) 6월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1% 감소한 262만 마리 • 2세 이상 마릿수 감소로 6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2015년 6월(265만 마리)보다 1.3% 감소한 262만 마리 - 가임암소는 전년(115만 마리)보다 1.6% 감소한 113만 마리 -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275만 마리) 대비 0.2% 감소한 274만 마리 한육우 사육 마릿수 □ (번식동향) 1~8월 한우 정액 전년보다 2% 감소한 124만 2천 스트로 • 1~8월 한우 정액판매량 전년(127만) 대비 124만 2천 스트로 - 여름철 폭염으로 수정률이 저하되어 송아지 생산 차질 예상 한우 정액판매량 추이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6년 9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6년 9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16년 10월~’17년 2월 돼지고기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6년 9~12월 등급판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5~7월 생산된 자돈용 사료는 전년 동기보다 3.4% 증가하였다. • 10월~내년 2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726만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10월~내년 2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한 38만 5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9월 10월 11월 12월 1월 2월 합계 2016~17년(A) 70.6 80.4 77.5 78.6 74.3 74.3 455.7 2015~2016년(B) 67.4 80.1 75.6 78.6 74.9 69.1 445.7 평년(C)..

2016년 9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9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9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8월(24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5,472원)보다 12.6% 하락한 탕박 기준 ㎏당 4,780원이었다. • 8월 둘째 주까지 삼겹살가격은 14,975원/㎏(냉장)으로 전년 동월(17,121원)보다 12.6% 하락하였고, 목살은 14,629원, 전지 6,793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16.9%, 12.1% 하락하였다. • 추석과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9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4,840원) 대비 하락한 탕박 기준 ㎏당 평균 4,100~4,4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6년 9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9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8월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7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21만 8,700마리로 전년 동월(128만 6,460마리)보다 5.3% 감소하였다. • 8월(22일까지)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81만 5,404마리)보다 5.9% 증가한 86만 3,565마리였다. □ 8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7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1만 2,862마리로 전년 동월(11만 9,963마리)보다 5.9% 감소하였다. • 8월(22일까지) 경락 마릿수는 7만 9,790마리로 전년 동월(7만 4,291마리)보다 7.4% 증가하였다. 도매시장 출하 비중은 9.2%로 전년 동월 수준이었다. □ 7월..

2016년 9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6년 9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6월 돼지 사육 가구수 전년 동월보다 감소 사육 가구수 및 가구당 사육 마릿수 동향 • 6월 사육 가구수는 4,666호로 전년 동월 4,966호보다 300호(6.0%) 감소하였다. • 농가 규모화가 진행됨에 따라 6월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2,219마리로 전년 동월 2,017마리보다 202마리(10.0%) 증가하였다. • 1천 마리 미만 사육 가구수는 1,802호로 전년 동월 2,189호보다 17.7% 감소하였으나, 5천 마리 이상 사육 가구수는 419호로 전년 동월 대비 12.3% 증가하였다. 규모별 사육 가구수 동향 □ 7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감소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7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47만 8,247톤으로 전월보다 3.1%, 전..

2016년 9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9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 입식의향 높아 송아지 가격 전년보다 강세 한우 산지가격(우시장) 동향 • 도매가격 강세와 송아지 입식의향이 높아 8월(1~23일) 6~7개월령 암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 동월(266만 원)보다 15.4% 상승한 306만 원, 수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324만 원)보다 20.3% 상승한 390만 원이었다. • 번식의향 또한 높아 8월 암소 평균가격(600㎏)은 전년 동월(554만 원)보다 5.7% 상승한 586만 원이었다. □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한우 등급별 도매가격과 육우 가격 동향 • 한우고기 공급감소로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8월(1~23일)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5.0% 상승한 22,..

2016년 9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9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1~7월 한우 등급판정 전년보다 20.8% 감소 한우 암수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암소와 거세우 출하 감소로 1~7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보다 20.8% 감소한 41만 5천 마리였다. 8월(1~22일) 한우 등급 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보다 13.5% 감소한 41,573마리였다.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동향 • 1~7월 한우 1등급 이상(1++,1등급) 출현율은 전년과 비슷한 67.8%였으나, 유통업체 수요가 많은 1등급 출현율은 평균 31.0%로 전년 31.4%보다 낮았다. □ 9~11월 도축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암소와 거세우 출하 예정물량이 적어 9~11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보다 7.1% 감소한 21만 3천 마리로 전..

2016년 9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2016년 9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 6월 한육우 사육 274만, 한우 262만 마리 한육우 사육 동향 • 2세 이상 마릿수가 감소하여 6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74만 2천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6천 마리(0.2%) 감소하였다. • 그 중 한우 사육 마릿수는 261만 9천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3% 감소하였으나, 육우 사육 마릿수는 12만 3천 마리로 28.5% 증가하였다. 가임 암소 마릿수는 113만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2만 마리(1.3%) 감소하였다. • 한육우 사육 가구수는 9만 2천 가구로 전년 동월보다 6천 8백 가구(6.9%) 감소하였으며,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29.9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2.0마리(7.2%) 증가하였다. □ 1~7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보다 3.4% 감소 ..

2016년 8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6년 8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16년 9월~’17년 1월 돼지고기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6년 8~11월 등급판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4~6월 생산된 자돈용 사료는 전년 동기보다 5.0% 증가하였다. • 9월~내년 1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725만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9월~내년 1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2.0% 증가한 38만 4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8월 9월 10월 11월 12월 1월 합계 2016~17년(A) 64.2 71.5 80.2 78.4 79.7 74.3 448.4 2015~16년(B) 62.0 67.4 80.1 75.6 78.6 74.9 438.6 평년(C) 62.6..

2016년 8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8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8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7월(21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5,664원) 보다 11.2% 하락한 탕박 기준 ㎏당 5,029원이었다. • 7월 첫째 주까지 삼겹살 가격은 16,400/㎏(냉장)으로 전년 동월(17,646원) 보다 7.1% 하락하였고, 목살은 15,900원, 전지 7,343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11.0%, 8.6% 하락하였다. •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8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5,472원) 대비 하락한 탕박 기준 ㎏당 평균 4,700~5,0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6년 8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8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7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6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24만 2,039마리로 전년 동월(122만 4,226마리) 보다 1.4% 증가하였다. • 7월(21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5만 5,698마리) 보다 4.7% 증가한 5만 8,334마리였다. □ 7월 일평균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6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1만 5,988마리로 전년 동월(11만 6,642마리) 수준이었다. • 7월(21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5,374마리로 전년 동월(5,209마리) 보다 3.2% 증가하였다. 도매시장 출하비중은 9.1%로 전년 동월 수준이었다. □..

2016년 8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6년 8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6월 돼지 사육 마릿수 14,036만 마리 모돈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6월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94만 8천 마리) 보다 3.5% 증가한 98만 1천 마리였다. • 모돈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로 6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1,002만 마리)보다 3.4% 증가한 1,036만 마리였다. • 돼지 사육 가구수는 4,666호로 전년 동월(4,966호) 보다 6.0% 감소하였다.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2,017마리) 보다 10.0% 증가한 2,219마리였다. □ 6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증가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6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49만 3,415톤으로 전월보다 2.8% 감소하였으나, 전년 동월보다 2...

2016년 8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2016년 8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 (사육전망) 9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년 동월 대비 감소 예상 • 9월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275만 마리)보다 감소한 273만 마리 전망 □ (공급전망) 8~9월 쇠고기 공급량 전년 동기간보다 감소 전망 • 사육 마릿수 감소로 8~9월 도축은 전년보다 10~15% 감소 전망 • 쇠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5% 내외 증가 전망 □ (가격전망) 8월 한우 도매가격 전년 동월 대비 강세 전망 • 추석(9월 15일) 대비 수요 증가와 한우고기 공급 감소로 8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전년 동월보다 상승한 19,000~21,000원/㎏(지육) 전망 - 9월 중ㆍ하순 한우 도매가격은 8월 대비 약세로 전환될 전망 단위 : 원/지육 kg(만 원/600kg) 7월 8월 9..

2016년 7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6년 7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8~12월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6년 7~10월 등급판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3~5월 생산된 자돈용 사료는 전년 동기보다 5.8% 증가하였다. • 8~12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696만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8~12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1.4% 증가한 36만 9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합계 2016년(A) 69.2 63.4 69.1 81.1 75.9 79.2 437.9 2015년(B) 68.2 62.0 67.4 80.1 75.6 78.6 432.0 평년(C) 63.0 62.6 63.6 76.9 73.6 72.2 4..

2016년 7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7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7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보다 하락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6월(23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 같은 기간(5,735원) 보다 1.4% 하락한 탕박 기준 kg당 5,655원이었다. • 6월 셋째 주까지 삼겹살 가격은 18,405원/kg(냉장)으로 전년 동월(18,336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목살은 18,091원, 전지 7,748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1.7%. 2.5% 하락하였다. •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7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5,664원) 대비 하락한 탕박 기준 kg당 평균 5,100~5,4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6년 7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7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6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5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34만 9,247마리로 전년 동월(118만 6,805마리)보다 13.7% 증가하였다. • 6월(23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5만 5,325마리)보다 9.2% 증가한 6만 436마리였다. □ 6월 일평균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5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1만 6,468마리로 전년 동월 10만 8,250마리 보다 7.6% 증가하였다. • 6월(23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5,573마리로 전년 동월(5,322마리)보다 4.7% 증가하였다. 도매시장 출하 비중은 9.1%로 전년 동월 수준이었..

2016년 7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6년 7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6월 사육 마릿수 1,030~1,050만 마리 전망 모돈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2015년 후보돈 입식 마릿수 증가로 6월 모돈 마릿수는 97만 마리 내외로 전망된다. 모돈수 증가로 6월 돼지 총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2.8~4.8% 증가한 1,030~1,050만 마리로 전망된다. □ 5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증가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5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0만 7,427톤으로 전월 수준이었으나, 전년 동월보다 7.0% 증가하였다. 모돈용 사료는 8만 8,909톤으로 전월과 비슷하였으며, 전년 동월보다는 5.1% 증가하였다. • 20kg 이하 자돈용 사료 생산량은 14만 7,051톤으로 전월보다 1.6%, 전년 동월보다 6.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