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 630

2017년 4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7년 4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삼삼데이, 학교급식 재개 등 돼지고기 수요 증가와 경락 마릿수 감소로 3월(23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11.1% 상승한 탕박 기준 kg 당 4,716원이었다. - 3월(첫째 주까지) 삼겹살 가격은 14,214원/kg(냉장)으로 전년 동월보다 14.2% 상승하였고, 목살은 13,186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3% 상승하였다. • 돼지고기 생산량은 증가하나,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4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한 탕박 기준 kg당 평균 4,900~5,2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7년 4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7년 4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3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2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39만 1,110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7.3% 증가하였다. - 3월(23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69,428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2.0% 증가하였다. □ 3월 일평균 도매시장 셩락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돼지 경락 마릿수 추이 • 2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0만 9,662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3.0% 감소하였다. - 3월(23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5,500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0.7%, 평년보다는 15.1% 감소하였다. 도매시장 출하 비중은 7.9%로 전년 동월 9.0% 감소하였다. □ 2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증가 수입량 ..

2017년 4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7년 4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3월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추정 모돈 및 사육 마릿수 동향 • '16년 후보돈 입식증가로 '17년 3월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증가한 99만 마리 내외로 추정된다. 모돈수 증가로 3월 돼지 총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1.7~3.7% 증가한 1,050~1,070만 마리로 추정된다. □ 2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감소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2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49만 7,876톤으로 전월보다 6.6% 감소, 전년 동월보다 3.1% 감소하였다. 모돈용 사료는 8만 9,246톤으로 전월보다 4.5% 감소, 전년 동월보다 1.9% 증가하였다. - 20kg 이하 자돈용 사료 생산량은 14만 6,602톤으로 전월보다 10.6% 감소..

2017년 4월 육우 수급동향

2017년 4월 육우 수급동향 □ (육우 사육과 가격) 육우 사육 마릿수 증가세 • 육우 사육 마릿수는 2014년 9월(8만 8천 마리)을 저점으로 증가세로 전환 - 사육 마릿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6년 12월 현재 13만 2천 마리로 전년 동월(11월 5천)보다 14.8% 증가 분기별 육우 사육 마릿수 추이 • 한우 2등급 이하 도매가격 약세로 육우 가격 또한 하락 - 2월 평균 육우 도매가격은 8,803/지육kg으로 전년 동월보다 13.5%, 평년 대비 3.8% 하락 - 3월(1~23일) 평균 육우 도매가격 8,471원/지육kg으로 평년 대비 9.1% 하락 육우 도매가격 추이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7년 4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전망

2017년 4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 (사육전망) 6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년과 비슷 • 6월은 전년 동월과 비슷한(0.5% 증가) 275만 마리(한우 262만 마리) 전망 □ (공급전망) 4~5월 국내산 쇠고기 공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출하대기 물량의 증가로 4~5월 도축은 전년보다 2.7% 내외 증가 전망 • 한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약세가 예상되지만, 청탁금지법 이후 수입육 수요 증가로 수입량은 전년보다 6% 내외 증가 전망 □ (가격전망) 4월 이후 한우 도매가격 수요 감소로 약세 전망 • 공급물량 증가와 수요 불확실성 확대로 4월 이후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약세 전망 단위 : 원/지육 kg(만 원/600kg) 3월 2017년 4월 5월 2016년 16,622(595) 3월..

2017년 4월 한육우 가격동향

2017년 4월 한육우 가격동향 □ (송아지가격 동향) 송아지 가격 전년보다 약세 • 한우 도매가격이 약세로 송아지 가격 전년보다 하락 - 3월 23일 기준 수송아지 가격 328만원, 암송아지 272만원(6~7개월령) 한우 산지가격 동향 □ (도매가격 동향) 3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전년보다 하락 • 공급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요 위축으로 1등급 이상 도매시장 가격 약세 - 3월(1~23일) 한우 1등급 도매가격 전년 동월보다 10.4% 하락한 16,622원 - 2~3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16~25% 하락한 10,908~13,520원 한우 육질 등급별 도매가격 추이 □ (등급별 소득) 1등급 이상 출현시 소득 발생 추정 • 3월 도매가격은 약세지만, 비육 소득은 1등급 이상에서 정(正)의 소득이 ..

2017년 4월 한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2017년 4월 한육우 도축과 수입 동향 □ (도축동향) 1~2월 한우 도축 마릿수 전년 동월보다 6.3% 증가 • 암소 출하는 감소하였으나, 거세우의 출하량이 증가하여 1~2월 한우 도축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6.3% 증가한 4만 3천 마리 - 한우 암소 1만 8천 마리(전년 동월 대비 11.4% 감소), 수소 2만 5천 마리(24.0% 증가) - 3월(1~23일)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40,394마리로 전년 같은 기간(42,861마리)보다 5.8% 감소 한우 도축 마릿수 추이 □ (등급출현율) 월별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전년보다 상승 • 거세우 비중[거세/(거세+비거세)]은 95.1%로 수소는 대부분 거세우로 출하 - 1등급 이상 출현율(2017년 2월까지)은 2016년보다 3.4%p 상승한 ..

2017년 4월 한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2017년 4월 한육우 사육과 번식 동향 □ (사육동향) 12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1.5% 증가 •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1.5% 증가한 271만 7천 마리 - 가임 암소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8천 마리(0.7%) 감소한 110만 7천 마리 - 한우 258만 5천 마리, 육우 13만 2천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0.9%, 14.2% 증가 한육우 사육 마릿수 □ (번식동향) 1~2월 한우정액 전년보다 15.4% 감소한 18만 8천 스트로 • 1~2월 한우 정액판매량 전년 같은 기간(22만 2천)보다 15.4% 감소한 18만 8천 스트로 - 2월 판매량 급감은 구제역 발생으로 인한 실질 정액공급일 감소(8일간) 때문 한우 정액판매량 추이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

2017년 3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7년 3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4~8월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7년 3~6월 등급판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16년 11월~'17년 1월 생산된 자돈용 사료는 전년 동기보다 3.1% 증가하였다. • 4~8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659만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4~8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2.2% 증가한 34만 9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합계 2017년(A) 80.4 72.2 70.9 66.1 67.9 72.3 429.8 2016년(B) 79.6 71.8 71.8 65.7 64.7 68.0 421.6 평년(C) 72.4 72.4 66.9 61.4 65.2 6..

2017년 3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7년 3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3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보다 상승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경락 마릿수 감소, 이동제한 등으로 2월(23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15.0% 상승한 탕박 기준 kg당 4,507원이었다. • 2월(첫째 주까지) 삼겹살 가격은 14,143원/kg(냉장)으로 전년 동월보다 12.1% 상승하였고, 목살은 13,143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8.7% 상승하였다. • 돼지고기 생산량은 증가하나, 3.3day, 학교급식, 나들이 수요 증가로 3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 대비 상승한 탕박 기준 kg당 평균 4,400~4,7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7년 3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7년 3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2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 수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1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36만 9,868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2.9% 감소하였다. • 2월(23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 수준인 7만 1,031마리였다. □ 2월 일평균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1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2만 808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8.7% 감소하였다. • 2월(23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5,528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21.1% 감소, 평년보다는 17.5% 감소하였다. 도매시장 출하 비중은 8.1%로 전년 동월 9.7%보다 감소하였다. □ 1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증가 수입량 동..

2017년 3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7년 3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16년 12월 사육 마릿수 1,037만 마리 모돈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16년 12월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1.7% 증가한 97만 4천 마리였다. • 모돈 증가로 자돈 생산이 증가해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1.8% 증가한 1,037만 마리였다. • 돼지 사육 가구수는 4,574호로 전년 동월보다 6.8% 감소하였다.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2,266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9.2% 증가하였다. □ 1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증가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3만 3,012톤으로 전월보다 4.8% 감소, 전년 동월보다 0.6% 증가하였다. 모돈용 사료는 9만 3,495톤으로 전월보다 2.7% 감소, ..

2017년 3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2017년 3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 고기소 가격 약세로 송아지 가격 전년보다 하락 한우 산지가격(우시장) 동향 • 한우 도매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송아지 가격 또한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2월(1~23일) 6~7개월령 암송아지는 238만 원, 수송아지는 301만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1.6%, 8.0% 하락하였다. • 2월(1~23일) 전국 우시장 평균 암소(600kg 기준) 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22.7% 하락한 446만 원이었다. □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약세 한우 등급별 도매가격과 육우 가격 동향 • 한우고기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수요 위축으로 1등급 이상 도매시장 가격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2월(1~23일) 한우 1++ 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19,993원(지육kg)으..

2017년 3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7년 3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2016년 한우 등급판정 전년보다 17.8% 감소 한우 암수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암소와 거세우 출하 감소로 2016년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보다 17.8% 감소한 73만 7천 마리였다. • 2017년 1월 한우 등급 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보다 12.6% 감소한 90,114마리였다. 2월(1~23일)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 기간보다 7.0% 증가한 36,277마리였다.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동향 • 2016년 한우 1등급 이상(1++, 1+, 1등급)출현율은 전년보다 높은 69.3%였으나, 유통업체 수요가 많은 1등급 출현율은 평균 29.4$로 전년 31.4%보다 낮았다. □ 3~5월 도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전망 • 출하대기 물량의..

2017년 3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2016년 3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 12월 한육우 사육 272만, 한우 259만 마리 한육우 사육 동향 • 12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71만 7천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4만 마리(1.5%) 증가하였으나, 전분기보다는 5만 1천마리(1.8%) 감소하였다. • 이중 한우 사육 마릿수는 258만 5천 마리, 육우 사육 마릿수는 13만 2천 마리로 전년 동월 대비 각각 0.9%, 14.2% 증가하였다. 가임 암소 마릿수는 110만 7천 마리로 전년 동월에 비해 8천 마리(0.7%) 감소하였다. • 한육우 사육 가구수는 9만 가구로 전년 동월보다 4천 4백 가구(4.7%) 감소하였으며, 이중 한우 사육 가구수는 8만 5천 가구였다.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30.2마리로 전년 동월에 비해 1.9마리(6..

2017년 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2017년 1월 한육우 사육과 가격 전망 □ (사육전망) 내년 3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 올해와 비슷할 전망 • 내년 3월은 전년 동월(260만 마리)과 비슷한 260만 마리(한우 247만 마리) 전망 □ (공급전망) 내년 1~2월 국내산 쇠고기 공급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사육 마릿수 감소로 1~2월 도축은 전년보다 7% 내외 감소 전망 • 쇠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6% 내외 증가 전망 □ (가격전망) 1월 이후 한우 도매가격 수요 감소로 약세 전망 • 한우고기 공급이 감소하나 수요 불확실성 확대로 내년 1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12월과 비슷한 수준 전망 단위 : 원/지육 kg(만 원/600kg) 12월 2017년 1월 2월 2016년 15,668(561) 12월 대비 보합(전년대비 약세) 1월 대비 약..

2016년 12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12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11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10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45만 5,145마리로 전년 동월(150만 6,102마리)보다 3.4% 감소하였다. • 11월(23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68,024마리)보다 4.6% 증가한 71,143마리였다. □ 11월 일평균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 수준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10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2만 6,067마리로 전년 동월(14만 1,413마리)보다 10.9% 감소하였다. • 11월(23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6,100마리로 전년 동월(6,160마리) 수준이었다. 도매시장 출하비중은 8.6%로 전년 동월 수준이었다. □ ..

2016년 12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6년 12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9월 돼지 사육 가구수 전년 동월보다 감소 사육 가구수 및 가구당 사육 마릿수 동향 • 9월 사육 가구수는 4,622호로 전년 동월(4,973호)보다 7.1% 감소하였다. • 농가 규모화가 진행됨에 따라 9월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2,308마리로 전년 동월(2,078마리)보다 230마리(11.1%) 증가하였다. • 5천 마리 이상 사육 가구수는 424호로 전년 동월(393호)보다 7.9% 증가하여 규모화가 지속되고 있다. 규모별 사육 가구수 동향 □ 10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감소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10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4만 5,206톤으로 전월보다 1.8% 증가하였으나, 전년 동월보다 1.6% 감소하였다. 모돈용 사료는 8만 7,..

2016년 12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12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 고기소 가격 약세로 송아지 가격 전년보다 하락 한우 산지가격(우시장) 동향 • 도매가격 약세로 11월(1~23일) 6~7개월령 암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 동월(255만 원)보다 2.0% 하락한 249만 원, 수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315만 원)보다 2.0% 하락한 309만 원이었다. • 11월 암소 평균가격(600kg)은 전년 동월(581만 원)보다 3.9% 하락한 558만 원이었다. □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약세 한우 등급별 도매가격과 육우 가격 동향 • 한우고기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1등급 이상 한우 도매가격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11월(1~23일) 한우 1++ 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월보다 2.6% 하락한 20,260..

2016년 12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12월 쇠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1~10월 한우 등급판정 전년보다 19.1% 감소 한우 암수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암소와 거세우 출하 감소로 1~10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보다 19.1% 감소한 60만 9천 마리였다. 11월(1~22일)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보다 2.0% 증가한 41,671마리였다. 한우 1등급 이상 출현율 동향 • 1~10월 한우 1등급 이상(1++,1+,1등급) 출현율은 전년과 비슷한 68.7%였으나, 유통업체 수요가 많은 1등급 출현율은 평균 29.9%로 전년 31.4%보다 낮았다. □ 12월~내년 2월 도축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전망 • 암소 출하 예정물량이 적어 12월~내년 2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 동기간보다 6.5% 감소한 21만..

2016년 12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2016년 12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 9월 한육우 사육 277만, 한우 264만 마리 한육우 사육 동향 • 육우 마릿수가 증가하여 9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76만 8천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만 5천 마리(0.5%) 증가하였다. • 그 중 한우 사육 마릿수는 264만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0.3% 감소하였으나, 육우 사육 마릿수는 12만 8천 마리로 20.5% 증가하였다. 가임 암소 마릿수는 112만 8천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8천 마리(0.7%) 감소하였다. • 한육우 사육 가구수는 9만 1천 가구로 전년 동월보다 5천 4백 가구(5.6%) 감소하였으며,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30.4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9마리(6.5%) 증가하였다. □ 1~10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보다 1.5% 감..

2016년 11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6년 11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16년 12월~'17년 4월 돼지고기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6년 11월~'17년 2월 등급판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7~9월 생산된 자돈용 사료는 전년 동기보다 2.8% 증가하였다. • 12월~내년 4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715만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로 12월~내년 4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전년 동기보다 1.3% 증가한 37만 9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단위: 천 톤, %) 구분 11월 12월 1월 2월 3월 4월 합계 2016~17년(A) 77.5 79.7 75.7 74.8 75.4 73.4 456.6 2015~16년(B) 75.6 78.6 74.9 69.1 79.6 71.8 449.5 평..

2016년 11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6년 11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11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 수준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10월(24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4,313원)보다 상승한 4,403원/탕박kg이었다. • 9월 삼겹살 가격은 15,789원/kg(냉장)으로 전년 동월(14,617원)보다 8.0% 상승하였고, 목살은 15,582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1.3% 상승하였다. • 등급판정 마릿수는 증가하나, 돼지고기 수요 증가로 11월 지육가격은 전년 동월(4,745원) 수준인 탕박 기준 kg당 평균 4,500~4,8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6년 11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6년 11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10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9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30만 9,193마리로 전년 동월(127만 6,130마리)보다 2.6% 증가하였다. • 10월(21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 동월(7만 1,719마리)보다 2.2% 증가한 7만 3,331마리였다. □ 10월 일평균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9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3만 6,829마리로 전년 동월(14만 364마리)보다 2.5% 감소하였다. • 10월(21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6,475마리로 전년 동월(6,734마리)보다 3.8% 감소하였다. 도매시장 출하비중은 8.9%로 전년 동월 수..

2016년 11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6년 11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9월 돼지 사육 마릿수 1,067만 마리 모돈 및 사육 마릿수 동향 • 9월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94만 3천 마리)보다 4.4% 증가한 98만 4천 마리였다. • 모돈수 증가로 자돈 생산이 증가해 9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1,033만 마리)보다 3.3% 증가한 1,067만 마리였다. • 돼지 사육 가구수는 4,622호로 전년 동월(4,973호)보다 7.1% 감소하였다.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2,308 마리로 전년 동월(2,078마리)보다 11.1% 증가하였다. □ 9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 동월보다 증가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9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3만 5,562톤으로 전월보다 8.1%, 전년 동월보다 4.1% 증가하였다. 모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