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 630

2015년 3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2015년 3월 한우 가격 동향 및 전망 * 송아지 가격 상승세 일시적으로 주춤 한우 산지가격(우시장) 동향 주: 송아지 가격은 6-7개월령 기준 • 지난 2012년 말 이후 송아지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어 2월(1~26일) 6-7개월령 암송아지 평균가격은 전년 동월(163만 원)보다 13.7% 상승한 185만 원, 수송아지 가격은 전년(222만 원)보다 3.8% 상승한 230만 원이었다. • 2월 26일 현재 암송아지는 평균 202만 원, 수송아지는 238만 원을 기록하였다. * 한우 1++등급 도매가격 전년대비 하락 한우 등급별 도매시장 경락가격 동향 • 구이용 선호부위인 한우 등심 재고 증가로 2월(1~26일)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16,619원(지육kg)으로 전년 동월보다 0.8% 하락하..

2015년 3월 소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5년 3월 소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2014년 한우 등급판정 전년보다 4.1% 감소 한우 암수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암소 출하 감소로 2014년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는 92만 마리로 2013년보다 4.1% 감소하였다. 소규모 번식농가 FTA 폐업 보상에 따라 등급판정 마릿수 중 암소비중이 평년(47.4%)보다 높은 48.7%를 기록하였다. 한우 1등급 출현률 동향 • 거세우 도축이 증가하여 한우 1등급 이상 출현률은 2013년보다 3.7%p 상승한 65.0%였다. * 3~5월 도축 전년보다 13.1% 감소 전망 • 거세우 출하 대기물량도 적고 번식의향이 높아 암소 출하도 감소할 것으로 보여 3~5월 도축은 전년(23만 2천 마리)보다 13.1% 감소한 20만 1천 마리로 전망된다. * 20..

2015년 3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2015년 3월 한육우 사육 동향 및 전망 * 작년 12월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5.4% 감소 한육우 사육 동향 • 1세 미만 송아지 마릿수가 전년보다 감소하여 작년 12월 한육우 사육 마릿수는 276만 마리로 전년 동월보다 15만 9천 마리(5.4%), 지난 9월 282만마리보다는 6만 마리(2.2%) 감소하였다. 그 중 한우 사육 마릿수는 267만 마리(전년대비 5.0% 감소)였으며, 육우 사육 마릿수는 8만 9천 마리(17.6% 감소)였다. • 가임 암소 마릿수는 112만 3천 마리로 전년 동기에 비해 4만 3천 마리(3.7%) 감소하였다. 한육우 사육 가구수는 10만 4천 가구로 전년보다 2만 가구(16.4%) 감소하였으며,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26.6마리로 전년에 비해 3.1마리(13.2%) ..

2014년 3월 돼지 시세전망

2014년 3월 돼지 시세전망 육가공의 작업량이 늘면서 경매분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최근 도축 수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그 원인은 유행성 설사병으로 모돈 및 자돈의 감축때문인 것으로 유추됩니다. 3월부터는 계절적 수요의 증가 및 급식의 시행 등으로 인하여 수요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량의 감소로 인하여 가격은 평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축산월보에 따르면 3월과 4월의 돼지 시세는 4,000원 정도로 추정하고 있었으나, 이미 탕박 기준 경매 평균 가격은 4,678원으로 5,000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향후 추가적인 가격상승이 예상되니 이에 대비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일반 소비가 늘어나지 않고 있으므로 지육보다는 부분육으로 매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나, 부분육 가격도 ..

2013.12월~2014.2월 한육우 및 돼지 2014.1월 시세전망

2013.12월 ~ 2014.2월 한육우 및 돼지 2014.1월 시세전망 한 우 ■ 12월∼내년 2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 14,000∼15,000원 전망 ● 국내 생산 감소가 커 12월∼내년 2월 공급량 전년보다 감소 예상 - 거세우 출하 대기물량이 여전히 많지만, 암소도축 감소폭이 더 커 12월~내년 2월 도축은 전년 27만 마리보다 7.6% 감소한 24만 8천 마리 전망 - 설 명절 대비 위해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간 6만 9천 톤보다 1.7% 증가한 7만 톤 예상 ● 공급량 감소로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 전년보다 강세 전망 - 도축 마릿수 감소와 수산물 대체 수요 증가로 큰 소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 동기(13,037원)보다 7∼15% 상승한 kg당 14,000~15,000원(큰 소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