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소 1109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211마리로 전기 대비 0.3%(7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9.0%(182마리) 증가하였음. -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334마리(전기 대비 3.6% 증가, 전년 대비 32.4% 증가) -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878마리(전기 대비 5.7% 감소, 전년 대비 14.1% 감소) * 25년 2월 상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7.5%(전기 대비 2.1%증가, 전년 대비 점유율이 같음)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판매가격  o ..

2025년 2월 1차(2.1. ~ 2.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5년 2월 1차(2.1. ~ 2.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9,305마리로 전기 대비 18.1%(2,051마리) 감소, 전년 대비 16.1%(1,291마리) 증가하였음.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7,432마리[전기 대비 19.8%(1,834마리) 감소, 전년 대비 14.0%(911마리) 증가]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1,873마리[전기 대비 10.4%(217마리) 감소, 전년 대비 25.5%(380마리) 증가]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전년 대비 가격 추이는 나쁘지 않으나, 상반기에는 별다른 가격 상승 요인이 없기에 한우 가격은 계속 하..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가격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20년∼2024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7,627원/kg으로 전기 대비 5.5%(922원/kg) 상승하였고, 전년 대비 6.8%(1,127원/kg) 상승함. 주: 1) 평년은 2020년∼2024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수급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29,450마리로 전기 대비 27.8%(11,320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9.1%(2,455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17,777마리로 전기 대비 25.5%(6,083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15.7%(2,414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쇠고기 평균 수입가격 상승세 지속되어 kg당 1만 3천 원 돌파  ■ 쇠고기 평균 수입가격은 2023년부터 추세적으로 상승하여 2024년 12월 kg당 1만 3,335원으로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12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1만 5,391원/kg으로 전월 대비 6.4% 상승하였고, 호주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1만 320원/kg으로 전월 대비 4.4% 추가 상승하였다. ■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미국 내 가뭄,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고, 11∼12월에는 ASG 발동으로 호주산 수입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 북미, 남미 등 목초지 가뭄으로 소 사육두수가 감소하여 쇠고기 수출량이 감소하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상승세가..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12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20.8% 감소  ■ 쇠고기 수입량은 2024년 9월과 10월에 전년 동월 대비 각각 4.8%, 19% 증가하였으나 11월에 1.2% 감소하였고, 12월에는 20.8% 급감하였다. 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단위: 톤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11월 호주산 쇠고기에 대한 농산물긴급수입제한조치(ASG)*가 발동되어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17.5% 감소하였고, 12월에는 45% 감소하였다.* 한-호주 자유무역협정(FTA)상, 한-호주 FTA 발효 첫 해에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이 15만 4,584t (2009~2011년 평균수입량의 110%)을 넘으면 농산물긴급수입제한조치..

2025년 2월 암소 사육 동향

□ 2025년 2월 암소 사육 동향 □ 암소 사육 의향 보합세, 번식 의향 느린 회복세 지속  ■ 암소 도축률이 2022년 이후 상승하다가 2024년에는 상승세가 멈추어 암소 사육 의향이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한우고기 도매가격 및 송아지 가격 상승세가 주춤함에 따라 보합세에 그치고 있다. - 한편, 인공수정률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20%p 이상 하락하였으나 2024년에는 추세적으로 상승하여 송아지 번식 의향이 느리게 회복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암소 도축률 및 인공수정률 추이주 1) 인공수정률 = ‘월간 인공수정두수/월초 1세 이상 암소두수’의 12개월 평균치에 12를 곱하여 연간으로 환산 2) 암소 도축률 = ‘월간 암소 도축두수/월초 2세 이상 암소 두수의 12개월 평균치에 12를 곱하..

2025년 2월 송아지 가격 동향

□ 2025년 2월 송아지 가격 동향 □ 1월 암송아지 가격 전월 대비 4.2% 상승, 수송아지 가격은 2.2% 하락  ■ 송아지 가격이 추세적으로 상승하다가 2024년 11월 이후 전월 대비 하락하고 있으나 하락 폭이 크지 않고, 전년 동월보다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우 송아지 가격(6∼7개월령)단위: 천 원/두주: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암송아지 가격은 2024년 12월 244만 원에서 2025년 1월 254만 원으로 상승하여 전년 동월 대비 4.0% 높고, 수송아지 가격은 동기간 366만 원에서 359만 원으로 하락하였으나 전년 동월보다는 3.8% 높은 수준이다. ■ 계절적 영향으로 송아지 입식 수요가 감소하면서 송아지 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상태지만 향후 송아지 가격..

2025년 2월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 2025년 2월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 1만 7천 원 중반대 보합세, 도축두수 고려하면 수요는 증가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4년 11월과 12월에 각각 17,494원/kg, 17,842원/kg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2025년 1월에는 17,608원/kg으로 낮아졌고, 한우고기 도매가격단위: 원/kg주: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2월(1∼11일)에도 17,608원/kg으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이다. 명절 직전(4주간) 한우 도축두수 및 도매가격단위: 두, 원/kg- 1월에는 설 직전 4주간 한우 도축두수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한 데다 1++등급 출현율이 전월 대비 낮아져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약세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고기 도매가격 ..

2025년 2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2025년 2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설 직전 4주간 한우 도축두수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  ■ 2025년 1월 한우 도축두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8% 감소하였는데, 이는 설(1.29)이 일러 명절에 대비한 도축의 일부가 12월에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한우 도축두수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도축 두수는 판정 두수 기준임.  ■ 2025년 설 연휴 직전 4주간 한우 도축두수 합계는 전년 동기 대비 12.4%, 평년 대비 16% 증가하였다. 명절 직전(4주간) 한우 도축두수단위: 두주: 명절 연휴 시작일을 기준으로 직전 4주간 도축두수 합계임. - 한우 도축두수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2023년 추석을 기점으로 낮아지는 추세로, 2025..

2025년 2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5년 2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4년 4분기 송아지 생산두수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 추정  ■ 송아지 생산두수는 2022년 4분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가 지속되었고, 2024년에는 1분기 9.8%, 2분기 7.3%, 3분기 4.9%로 감소 폭이 줄다가 4분기에는 4.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아지 생산두수 추이단위: 백 두,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1분기는 전년 12월~2월, 2분기 3~5월, 3분기 6∼8월, 4분기 9∼11월이고, 연간 계는 전년 12월~당해 11월 합계임. 3) 올 4분기 생산두수의 통계청 잠정치는 13만 8,900두로, 과거 통계청 잠정치와 확정치의 오차를 반영하여 이를 조정함.  - 2024년 4분기에는 전..

2025년 2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 2025년 2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 2024년 12월 한우 총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3.9% 감소 추정  ■ 한우 총사육두수는 2016년 9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다가 2023년 12월에 감소세로 전환된 후 점차 감소 폭이 커져 2024년 9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4.2% 감소하였고, 12월에는 3.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우 암수별 총사육두수단위: 천 두, %주 1) 2024년 12월 1일 기준 통계청 잠정치는 암소 211만 두, 수소 123만 1천 두였으나, 출생신고 지연으로 과거 12월의 1세 미만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암수 각각 2.8%, 3.1%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1세 미만 두수 조정 후 총사육두수를 추정함. 2)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 암..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2개소 일반음식점의 한우고기 총 매입량은 5,860kg으로 전기 대비 6.7%(369kg)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80.9%(2,621kg) 증가하였음. - 구이류 : 5,269kg[전기 대비 6.1%(301kg) 증가, 전년 대비 84.7%(2,417kg) 증가] - 정육류 : 591kg[전기 대비 13.0%(68kg) 증가, 전년 대비 52.7%(204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89.9%(▼0.6% / ▲1.8%), 정육류 10.1%(▲0.6% / ▼1.8%)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마리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3,797kg으로 전기 대비 29.9%(874kg) 증가하였음. - 등심 : 1,101kg[전기 대비 22.5%(202kg) 증가] - 갈비 : 746kg[전기 대비 66.1%(297kg) 증가] - 우둔 : 868kg[전기 대비 18...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218마리로 전기 대비 45.6%(1,862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47.6%(2,017마리) 감소하였음.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287마리(전기 대비 41.5% 감소, 전년 대비 49.5% 감소)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931마리(전기 대비 50.5% 감소, 전년 대비 44.8% 감소) * 25년 1월 하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5.4%(전기 대비 0.6%감소, 전년 대비 0.4% 감소)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2025년 1월 2차(1.16. ~ 1.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5년 1월 2차(1.16. ~ 1.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1,356마리로 전기 대비 39.8%(7,520마리) 감소, 전년 대비 40.9%(7,872마리) 감소하였음.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9,266마리[전기 대비 38.5%(5,799마리) 감소, 전년 대비 41.8%(6,657마리) 감소]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2,090마리[전기 대비 45.2%(1,721마리) 감소, 전년 대비 36.8%(1,215마리) 감소]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설 명절 기간이 길어 거래 두수가 감소하였고, 명절이 다가올수록 가격이 하락하였음.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가격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20년∼2024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6,705원/kg으로 전기 대비 7.9%(1,436원/kg) 하락하였고, 전년 대비 8.3%(1,287원/kg) 상승함.  주: 1) 평년은 2020년∼2024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수급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40,770마리로 전기 대비 39.3%(26,391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43.8%(31,769마리) 감소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23,860마리로 전기 대비 41.4%(16,861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44.7%(19,304마리) 감소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2개소 일반음식점의 한우고기 총 매입량은 5,491kg으로 전기 대비 30.5%(1,283kg)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24.9%(1,096kg) 증가하였음. - 구이류 : 4,968kg[전기 대비 34.2%(1,266kg) 증가, 전년 대비 27.6%(1,076kg) 증가] - 정육류 :523kg[전기 대비 3.4%(17kg) 증가, 전년 대비 4.0%(20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90.5%(▲2.5% / ▲1.9%), 정육류 9.5%(▼2.5% / ▼1.9%)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마리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923kg으로 전기 대비 10.3%(0,272kg) 증가하였음. - 등심 : 899kg[전기 대비 6.9%(58kg) 증가] - 갈비 : 449kg[전기 대비 29.8%(103kg) 증가] - 우둔 : 732kg[전기 대비 5.9%(4..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4,080마리로 전기 대비 18.4% (633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23.1%(765마리) 증가하였음. -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2,199마리(전기 대비 0.9% 감소, 전년 대비 12.2% 증가) -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1,881마리(전기 대비 53.2% 증가, 전년 대비 38.8% 증가) * 25년 1월 상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6.1%(전기 대비 0.3%감소, 전년 대비 0.4% 감소)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

2025년 1월 1차(1.1. ~ 1.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5년 1월 1차(1.1. ~ 1.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8,876마리[전기 대비 32.6%(4,644마리) 증가, 전년 대비 33.3%(4,716마리) 증가]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15,065마리[전기 대비 30.1%(3,488마리) 증가, 전년 대비 32.8%(3,718마리) 증가]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3,811마리[전기 대비 43.5%(1,156마리) 증가, 전년 대비 35.5%(998마리) 증가]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설 명절 기간 다른 성수품의 가격이 많이 오르며 상대적으로 한우 소비가 늘어나 수요가 늘었음.  o..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가격 동향

□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8,141원/kg으로 전기 대비 2.2%(396원/kg) 상승하였고, 전년 대비 3.1%(551원/kg) 상승함. 주: 1)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수급 동향

□ 2025년 1월 1차(1.1. ~ 1.15.)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67,161마리로 전기 대비 23.9%(12,934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31.0%(15,892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40,721마리로 전기 대비 28.0%(8,915마리)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35.7%(10,705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12월 2차(12.16. ~ 12.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12월 2차(12.16. ~ 12.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0개소의 총 매입량은 4,208kg으로 전기 대비 1.6%(67kg)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19.9%(1,046kg) 감소하였음. - 구이류 : 3,702kg[전기 대비 0.5%(20kg) 감소, 전년 대비 22.1%(1,052kg) 감소] - 정육류 : 506kg[전기 대비 8.5%(47kg) 감소, 전년 대비 1.2%(6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88.0%(▲0.9% / ▼2.5%), 정육류 12.0%(▼0.9% / ▲2.5%)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판매량  o 조사 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