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축산뉴스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9년 4월 2주차)

오늘도힘차게 2019. 4. 15. 04:02
728x90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9년 4월 2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4월1일~4월5일) (농민신문 - 2019.4.10.)


봄나들이 계절을 맞아 야외활동이 늘면서 식당소비가 증가해 소값은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대형 유통업체의 구매증가도 소값 상승에 한몫했다.

다만 앞으로 출하물량이 늘 것으로 보여 지속적인 상승세로 이어지긴 어려울 전망이다.

한우는 지난주 대비 4.3% 증가한 7446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의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1만9256원으로 472원 상승했다.

1㎏당 경락값은 ▲1++A 등급은 570원 상승한 2만3258원 ▲1++B 등급은 765원 오른 2만2321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모두 507마리가 거래됐다. 1㎏당 경락값은 339원 상승한 1만985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4월1일~4월5일) (농민신문 - 2019.4.10.)


돼지 산지 출하물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면서 돼지값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도매시장 상장마릿수가 줄어든 점도 경락값이 급격하게 오르는 데 영향을 미쳤다. 앞으로도 출하량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가격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돼지는 지난주보다 1% 감소한 2만298마리가 경매됐다. 1㎏당 지육값(탕박 기준, 등외 제외)은 4616원으로 지난주보다 231원 올랐다. 모돈(박피)은 모두 2226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가격은 17원 상승한 1773원이었다.



⦿ 한우 경쟁력 갖추려면 사육마릿수↑ 도매값↓ (농민신문 - 2019.4.15)


한우가 경쟁력을 갖추려면 사육마릿수를 늘리고 도매값은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민간연구기관인 GS&J 인스티튜트는 9일 ‘한우산업의 지속가능조건, 송아지생산안정제’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GS&J에 따르면 수입 쇠고기가격이 관세감축에 따라 2025년에는 지금보다 15.4% 하락할 전망이다. 한우고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선 지육 1㎏당 1만6100원을 목표가격으로 설정해 2025년까지 도축마릿수 96만마리, 총 사육마릿수 348만마리가 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가 이뤄지려면 송아지생산안정제의 대대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GS&J는 덧붙였다. 송아지생산안정제란 송아지(6~7개월령) 평균값이 안정기준값보다 낮을 때 차액 일부를 보전해주는 제도다. 현재는 안정기준값이 185만원, 최대 보전금은 40만원이다. GS&J가 내놓은 안은 안정기준값 252만원, 최대 보전금 50만원이다.

GS&J는 한우고기값이 하락하더라도 송아지값 역시 떨어져 비육농가의 채산성이 유지되고, 번식농가도 50만원의 보전금을 받게 돼 손해를 막을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오히려 가격이 낮아짐으로써 소비자들이 더 많은 한우고기를 소비해 한우산업 성장에 도움될 것이란 풀이다. 이어 GS&J는 보고서를 통해 “현 한우산업은 수입육의 고급화·다양화 때문에 장기적으로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며 “가격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농가들도 함께 살려면 송아지생산안정제 개편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ASF 아시아에 급속 확산…국내유입 ‘비상’ (농업인신문 - 2019.4.12)


아프리카와 유럽에서만 발생하던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난해부터 중국,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어 국내 한돈농가와 방역당국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돼지에서만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감염 시 치사율이 매우 높고 구제역과 달리 예방 백신이 없어 발생할 경우 막대한 국가적인 피해를 가져올 수 있다.

그동안 아프리카나 유럽에서 주로 발생했지만 지난해 8월 중국에서 처음 발병한 뒤 중국 112건, 몽골 11건, 베트남 221건, 캄보디아에서도 1건 등이 발생해 아시아 인접 국가로 급속히 퍼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발생되지 않았지만 안전한 상황은 아니다. 발생국가와 인적.물적 교류가 많아 언제라도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국내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 등을 다녀온 여행객이 가져온 돼지고기 가공식품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전자가 14건이 검출되기도 했다. 이렇게 바이러스가 든 음식을 돼지가 먹을 경우 감염될 우려가 높다.

이에 국내 방역당국이 비상태세에 돌입했다. 농림축산식품부 이개호 장관은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외교부, 법무부, 환경부, 관세청 등 정부 10개부처와 합동 담화문을 발표하고 국경 검역과 방역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날 이개호 장관은 “발생국가의 사례를 보면 감염된 돼지 또는 야생멧돼지의 이동, 오염된 돼지 생산물의 반입 등이 원인이며, 우리나라는 불법 휴대축산물로 인한 발생이 가장 우려된다”면서 “특히 우리나라는 이들 국가와 인적·물적 교류가 많아 언제라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로 유입될 위험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에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국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축산물이 반입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발생국의 선박·항공기 운항노선에 검역탐지견을 집중투입하고, 휴대 수하물에 대해 X-ray 검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전국 6,300여 돼지농가에 대해 전담공무원을 지정해 집중관리하고, 남은음식물을 먹이는 것을 제한, 야생멧돼지 관리, 농가지도·홍보 등 국내 차단 방역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장관은 “남은음식물을 먹이는 양돈농가는 가급적 일반사료로 전환하고, 부득이 남은음식물 사료를 먹이는 경우에는 반드시 80℃이상에서 30분 이상 열처리 한 후에 먹여야 한다”며 “또한 야생멧돼지와 접촉을 금지하는 등 차단방역을 철저히 학, 돼지가 고열이나 갑자니 폐사하는 등 의심증상이 발견될 때는 반드시 방역기관에 신속하게 신고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한돈협회 관계자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 유입될 경우 국내 한돈산업 뿐만 아니라 축산업 전반에 엄청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며, 식량 안보마저 흔들리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면서 “혹시 모를 국경검역의 허점을 방지하기 위해선 한돈농가의 3대 요구사항을 조속히 법제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