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소 1115

2020년 5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20년 5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만원 돌파 o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올해 들어 고공행진을 이어왔지만 5월에는 kg당 2만 588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7%나 상승하였다(표 2). 표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단위: 원/kg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 5월에 도매가격이 급등한 것은 수소 도축두수가 2.5%나 감소한 데다 코로나 사태로 외식 소비가 가정식으로 대체되면서 한우고기 수요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o 외식소비가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극도의 불안에 빠졌던 미국의 쇠고기 수급상황도 평년 수준으로 회복되어 코로나 사태로 촉발된 한우 가격 상승 요인은 상당 부분 해소된 것으로 판단된다. - 축평..

2020년 5월 한우 도축 동향

2020년 5월 한우 도축 동향 □ 5월 수소 도축두수는 전년 동기보다 2.5%나 감소 o 올 5월 도축두수가 암소는 전년 동기보다 3.3% 많았으나 수소가 2.5%나 감소하여 전체 도축두수는 5만 8,100두로 전년보다 0.3% 많은 데 그쳤다(표 1). - 4월 말일 기준 수소 총 사육두수는 전년 동기보다 4.2% 많았으나 도축 월령인 28개월령 이상은 전년보다 5.4%나 적었기 때문이다. - 수소 23〜27개월령 두수도 전년 동기보다 많지 않아 당분간 수도 도축 두수는 전년 수준을 유지하는 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표 1. 한우 도축두수 단위: 백 두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한우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5월 한우 송아지가격 동향

2020년 5월 한우 송아지가격 동향 □ 5월 한우 송아지 평균가격 전년보다 상승 o 한우 암송아지 산지가격(6~7개월령) : 345만원(전년 대비 5.3% 상승) o 한우 수송아지 산지가격 : 429만원(전년 대비 6.0% 상승) o 도매가격 상승으로 입식 및 번식의향 상승 지속 한우 산지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5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2020년 5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 3~5월 수요 증가로 한우 1등급 도매가격 강세 o 한우 도매가격(1등급/3~5월) : 1만 9,805원/kg(전년 대비 14.1% 장승) 코로나-19 발생으로 한우고기 수요 19.5% 증가 추정 - 코로나-19 발생으로 가정 소비 확대(가정내 소비 비중 약 74%) * 통계청(3월 온라인 쇼핑) 동향(전년 동기비) : 농수축산물(91.8%), 음식서비스(75.8) * 농협(66개 매장) 매출액(전년 동기비) : 2월 4주 56.5% → 3월 4주 28.3% → 4월 4주 24.1% → 5월 2주 29.0% * 정육점 1일 평균 판매량 : 2월 2주 18kg → 3월 4주 42kg → 4월 4주 39kg → 5월 2주 43kg o 육우 도매가격(1등급/3~5월) ..

2020년 5월 쇠고기 수입동향

2020년 5월 쇠고기 수입동향 □ 쇠고기 수입량 전년수준, 미국산 냉장 수입 확대 ❍ 쇠고기 수입량(1~4월) : 13만 6천톤(전년 수준) - 미국산 : 7만 6천톤(전년 대비 8.5% 증가) - 호주산 : 4만 9천톤(전년 대비 12.0% 감소) - 미국산 쇠고기 수입 점유율 56.0%로 지속적 확대 ❍ 미국산 냉장 쇠고기 수입량 : 2만 2천톤(전년 대비 33.5% 증가) - 전체 냉장 수입육 중 61.2% 차지 ❍ 5월(중순) 쇠고기 수입량 : 2만 3,608톤(전년 대비 5.9% 감소) - 냉장 수입육 9.8% 증가 쇠고기 수입 현황(검역검사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5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20년 5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3~5월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한우 도축마릿수(3~4월) : 11만 5천 마리(전년 대비 5.5% 증가) → 거세우(3.9%) 및 암소(7.7%) 도축 증가 o 한우 등급판정마릿수(5.1~22) : 4만 3,407마리(전년 대비 5.5% 증가) - 같은 기간 육우 등급판정마릿수 : 4,352마리(전년 대비 12.4% 증가) 단위 : 마리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5월 한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2020년 5월 한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0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가임암소 증가, 육우 증가 o 한육우 사육마릿수 : 316만 2천 마리(전년 대비 3.4% 증가) - 한우 : 300만 6천 마리(전년 대비 3.4% 증가) - 한우(가임암소) : 144만 5천 마리(전년 대비 4.2% 증가) - 육우 : 15만 6천 마리(전년 대비 3.4% 증가) o 한육우 사육농장수 : 9만 3,396농장(전년 대비 2.6% 감소) o 농장당 사육마릿수 : 33.9마리(전년 대비 6.1%(1.9마리)증가)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육우 연령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3월 송아지 번식동향

2020년 3월 송아지 번식동향 □ 번식의향 및 암소 사육의향도 하락 국면에 진입할 듯 o 인공수정액 판매량으로부터 추정한 인공수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가 작년 9월까지 상승한 후 완만하게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표 4, 그림 6). 표 4. 한우 인공수정액 판매량 단위: 천 st 주 1)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 2) 2017년 2월, 2018년 4월 및 2019년 2월에는 구제역으로 인공수정액 판매량이 적었음. o 한편, 암소 도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는 2014년 초 36% 수준에서 점차 하락하여 작년 2월에 22% 초반 수준으로 낮아진 후 같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그림 6). 그림 6. 인공수정률과 암소 도축률 주 1) 인공수정률 = ‘월별 ..

2020년 3월 송아지 입식동향

2020년 3월 송아지 입식동향 □ 송아지 입식의향은 감소 국면 진입한 듯 o 도매가격과 송아지 가격을 이용하여 추정한 송아지가격 배율을 보면, 2013년 초 이후 상승추세가 이어졌으나 작년 7월부터 올 2월까지 8개월 동안 뚜렷한 하강세를 보여 송아지 입식의향 상승세가 꺾인 것으로 보였다(그림 4). 그림 4. 송아지가격 배율 동향 o 그러나 올 3월에 송아지가격 배율이 다시 급등하여, 2017년 7월 이후 8개월 동안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8년 3월부터 다시 상승하였던 계절 패턴이 반복될 가능성이 있다. o 계절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전년 동월 대비 증감을 보면, 2017년 하반기 이후 증가폭이 점차 축소되어 작년 말에는 감소 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된다(그림 5). 그림 5. 송아지가격 배율..

2020년 3월 송아지 가격동향

2020년 3월 송아지 가격동향 □ 송아지 가격이 3월에 반등하며 역대 동월 최고치를 경신 o 송아지 가격은 2015년 초 이후 전년 동기보다 상승하는 추세가 이어졌다. 작년에도, 전년보다 소폭 낮았던 4월과 9월을 제외하면, 연중 전년 동기보다 상승하여 동월가격으로는 최고 수준을 보였다(그림 3). 그림 3. 송아지 산지가격 동향(6~7개월령) - 작년 12월에는 6개월령 암송아지가 두당 322만 원, 수송아지가 390만 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5.5%, 9.9% 높았다(표 3). 표 3.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 단위: 천원/두 주 1) 2020년 3월 송아지 가격은 1~15일 평균가격임. 2) ( )안은 전년 동월대비 등락률(%)임. o 올 1〜2월에는 송아지 가격 상승세가 다소 주춤하였..

2020년 3월 한우 도축두수와 도매가격 동향

2020년 3월 한우 도축두수와 도매가격 동향 □ 작년 6월 이후 12월까지 한우고기 수요가 점점 더 증가 o 도축두수와 도매가격의 관계를 보면, 작년 6월부터 도축두수가 전년 동월보다 증가하였음에도 도매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 계속되었다(그림 2). - 작년 6월 이후 도축두수 증가율이 점점 더 높아지는데도 도매가격 상승률이 더 높아져, 작년 12월에는 도축두수가 전년 동월보다 21.5%나 증가하였음에도 도매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7%나 높았다. - 도축두수가 증가함에도 도매가격이 상승한 것은 한우고기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였음을 의미하고, 이러한 수요증가가 도매가격을 견인하면서 작년 하반기에 도축두수는 증가하고 도매가격은 상승하는 한우산업 호황을 이끌었다고 판단된다. o 그러나 올 1〜2월에는 도축..

2020년 3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20년 3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3월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동월보다 7.1% 높은 수준 o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4월 이후 상승추세를 보여 12월에는 1만 8,488원/kg으로 전년 동월보다 7% 높았고, 올 1월에는 1만 9,423원/kg으로 전월 대비 5.1%나 급상승하여 작년 동월보다 10.1%나 높았다(표 2). 표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단위: 원/kg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 올 2월에는 1만 8,704원/kg으로 전월 대비 3.7% 하락하고 3월에는 1만 8,642원/kg로 보합세를 보였으나 전년 동월보다는 6〜7% 높은 수준이다(그림 1). o 1〜2월에 도매가격이 작년 동기보다 6〜10%나 높았던 것은 앞에서 본 ..

2020년 3월 한우 도축 동향

2020년 3월 한우 도축 동향 □ 올 1〜2월 도축 두수는 전년 동기보다 5% 감소 o 올 1〜2월 도축두수는 13만 4,900두로 작년 동기보다 5%나 적었다. 암소 도축두수는 5만 8,800두로 전년 동기보다 2.6% 감소하였으나 수소가 7만 6,100두로 6.7%나 감소하여 전체 도축두수 감소폭이 5%로 확대되었다(표 1). - 작년 7월 이후 도축두수가 전년 동기보다 증가하는 추세가 이어졌으나 설 수요가 있는 1〜2월에는 도축두수가 전년 동기보다 5%나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표 1. 한우 도축두수 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한우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o 1〜2월 도축두수가 작년보다 5%나 감소한 것은 작년 12월에 한우고기 수요가 큰 폭으로 ..

2020년 2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20년 2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2020년 1~2월 한우 평균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o 1~2월(1~24일)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10.2% 상승한 19,398원/지육kg이었다. - 이는 1월 명정수요와 함께 구이류, 온라인 등 수요가 지속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o 1~2월 육우 도매가격은 도축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3.6% 하락한 10,661원/지육kg이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2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20년 2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2020년 1~2월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전년 동기보다 감소 o 2020년 1~2월(1~24일)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12만 3천 마리로 전년(13만 2천)보다 6.9% 감소하였다. - 이른 설 명절로 인해 성수기 도축물량이 작년 12월(7만 7천 마리)로 앞당겨져서 전년 동월(6만 3천)보다 21.5%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o 1~2월 육우 등급판정마릿수는 1만 1,424마리로 전년(1만 1,151마리) 보다 2.5% 증가하였다. 단위 : 마리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2월 한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2020년 2월 한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19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가임암소 증가, 육우 사육 증가 o 12월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321만 1천 마리로 전년보다 3.2% 증가하였다. - 이 중 한우마릿수는 305만 5천 마리로 가임암소를 비롯한 전반적인 사육이 늘어 전년(296만 2천 마리)보다 3.2%(9만 4천 마리) 증가하였다. - 가임암소 마릿수(한우)는 148만 9천 마리로 전년보다 3.8% 증가하였다. o 증가한 9만 4천마리 중 6만 5천마리(69.4%)는 100마리 이상 대규모 농가의 사육마릿수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o 육우 사육마릿수는 15만 6천 마리로 전년보다 2.9% 증가하였다.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육우 연령별,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

2019년 12월 쇠고기 수입동향

2019년 12월 쇠고기 수입동향 □ 1~11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증가 ❍ 1~11월 쇠고기 수입량은 39만 4천 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2.7% 증가하였다. - 상반기에는 수입업체들의 쇠고기 국제가격 상승을 우려한 가수요 증가로 수입량이 크게 늘어난 반면, 8월 이후에는 누적 수입량 증가와 수입단가 상승으로 감소하였다. ❍ 12월 중순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5.0% 감소한 21,864천 톤이었다. 쇠고기 수입 현황(검역검사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2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19년 12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1~12월 한우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1~11월 한우도축마릿수는 거세우와 암소 도축이 증가하면서 전년(67만 3천 마리)보다 2.3% 증가한 68만 6천 마리였다. o 12월(1~26일) 한우등급판정마릿수는 6만 4천 마리로 전년(5만 8천 마리)보다 9.4% 증가하였다. 월별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 한우등급제 개편 이후 1++등급 출현율 상승 o 12월 1일 개편된 한우등급제 시행으로 1++등급 정육생산량은 증가하고, 1+등급과 1등급 생산량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o 12월(1~26일) 1++등급 출현율은 전월보다 4.2%p, 전년동월보다 8.0%p 상승하였다. 반면, 한우 1+등급과 1등급 출현율은 전월보다 각각 5.8%p, 2.7%p 전년동월..

2019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2019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 12월 한우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12월 한우사육마릿수는 305만 5천 마리로 전년(296만 2천 마리)보다 3.2%(9만 4천 마리) 증가하였다. - 가임암소마릿수는 전년보다 4.1% 증가한 148만 6천 마리였다.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o 한우사육농장수는 9만 농장으로 전년보다 2.8%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6.2%(2.0마리) 증가한 34.1마리였다.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우 연령별,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1월 한우 정액판매량 동향

2019년 11월 한우 정액판매량 동향 □ 1~10월 한우 정액판매량 전년보다 증가 o 1~10월 한우 정액판매량은 176만 1천 스트로로 농가의 번식의향이 높아지면서 전년 동기보다 1.8% 증가하였다. o 지난 해 하반기 이후 누적 정액판매량이 전년보다 증가하여 송아지 생산잠재력은 높게 나타났다. 이에 내년 상반기까지 송아지 생산마릿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우 정액판매량 현황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1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11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 11월 한우 평균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o 11월(1~22일) 한우1등급 평균도매가격은 전년보다 1.7% 상승한 18,030원/지육kg이었다. - 도축마릿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11월 1일 한우의 날 행사를 비롯한 대형 유통업체 할인행사에 따른 소비 증가로 한우 도매가격은 상승하였다. o 11월 육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9.0% 하락한 9,928원/지육kg이었다. 한우 1등급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