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7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
□ 6월 한우 총사육두수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에 그쳐
o 한우 총사육두수는 2016년 9월 이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올해 들어 증가폭이 줄어 올 3월에 작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였고, 6월에는 0.6% 증가한 데 그쳤다.
- 6월에 암소는 전년 동기보다 0.2% 감소하고, 수소는 2.1% 감소하였다.
* 올 6월 통계청 잠정치는 암소가 223만 2천두, 수소가 130만 4천 두였으나 출생신고 지연으로 과거 6월의 1세 미만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암수 각각 5.8%, 6.0%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6월 1세 미만 두수와 총사육두수를 추정하였다.
한우 암수별 총사육두수
단위: 천 두, %
주 1) 2023년 6월 1일 기준 통계청 총사육두수 잠정치는 353만 6천 두로, 그중 1세 미만 두수는 90만 8천 두지만 과거 6월의 1세 미만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암수 각각 5.8%, 6.0%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해 1세 미만 두수를 조정하여 총사육두수 추정치를 산출함.
2)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 가임 암소 두수의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도 2.7%로 낮아지고, 1세 이상 수소 두수 증가율 상승세도 멈춰
o 가임암소 두수는 2016년 12월부터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이 점점 더 높아져 작년 3월에 5.7%까지 상승하였으나 이후 낮아져 올 6월 증가율은 2.7%에 그쳤다.
* 가임암소란, 2017년 3/4분기까지는 2세 이상 암소 두수에 1∼2세 두수의 1/2을 합산하여 추계한 것이고, 2017년 4/4분기 이후에는 이력제 월령별 두수 통계의 15개월령 이상 암소 두수로 추정함.
o 1세 이상 수소 사육두수도 2020년부터 전년 동기 대비 증가폭이 커져 작년 3월에 증가율이 7.9%로 정점을 찍고 기복은 있으나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추정된다.
- 송아지 생산두수 증가세가 작년부터 완화되어 올해는 감소세에 접어들었으므로 1세 이상 수소 두수 증가폭도 점차 줄어들 것이다.
가임암소 및 1세 이상 수소 사육두수 전년 동기 대비 증감율 추이
주: 가임암소는 축평원 이력제 월령별 두수 데이터 15개월령 이상 두수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동향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7월 송아지 입식 동향 (0) | 2023.07.31 |
---|---|
2023년 7월 송아지 가격 동향 (0) | 2023.07.31 |
2023년 7월 한우고기 수요동향 (0) | 2023.07.31 |
2023년 7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0) | 2023.07.31 |
2023년 7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0) | 2023.07.31 |
2023년 6월 2차(6.16. ~ 6.30.)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0) | 2023.07.16 |
2023년 6월 2차(6.16. ~ 6.30.)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0) | 2023.07.16 |
2023년 6월 2차(6.16. ~ 6.30.)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0) | 2023.07.16 |
2023년 6월 2차(6.16. ~ 6.30.)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0) | 2023.07.16 |
2023년 6월 2차(6.16. ~ 6.30.) 한우 가격 동향 (0) | 2023.07.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