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4주차)
⦿ 한우 우량암소 보유두수 빠르게 증가 (축산신문 - 2021.9.24.)
한우우량암소 보유두수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종축개량협회(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올해 3/4분기 한우우량암소는 전체 6천418농가에서 1만1천537두가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전년 동기대비 농가수는 574농가, 두수로는 1천640두가 늘어난 것으로 전년대비 증가율은 116.6%다.
지역별로는 충남의 경우 증가율이 123.1%로 전국(광역시, 특별자치시 제외)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우사육두수가 가장 많은 경북 역시 증가율이 121.1%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량암소 보유두수가 가장 많은 곳은 경남으로 1천391농가, 2천557두다. 경남도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118.8%다.
증가율이 가장 낮은 곳은 전북도로 105.8%에 그쳤다.
종축개량협회 한우개량부 김병숙 부장은 “유전능력에 대한 가치가 시장가치로 반영되면서 생산현장에서 우량암송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또한, 우량암소의 보유량이 지역의 한우산업 경쟁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지한 지자체들도 각종 지원책을 만들어 농가들을 독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종축개량협회는 등록된 번식우 가운데 후대검정을 통해 우수한 성적을 낸 개체만을 선별해 우량한우(ELITE COW), 초우량한우(SUPER ELITE COW)로 선정해 관리하고 있다.
⦿ 돈가, 추석 지나고 하락 전망…조기출하 당부 (농축유통신문 - 2021.9.17.)
10월부터 도축 마릿수 증가에 따라 5,000원대로 강세를 달려오던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오는 10월 돼지도축두수를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1.2~3.8% 증가한 156만~160만 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여름철 폭염으로 돼지 성장이 느려져 지연됐던 물량이 10월로 밀려나는 계절성에 따른 추세와 함께, 10~12월 사육 마릿수가 평년 수준임에도 생산성 향상으로 도축 마릿수는 늘어날 것으로 분석됨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 금지 여파 지속과 코로나19 확산, 물류선적 문제, 중국 ASF 발생으로 인해 상승한 국제 돼지고기 가격이 ASF 회복에 따른 중국의 수입감소로 하락한 상황과 국내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한 것이 맞물리며 돼지고기 수입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전체적인 국내 돼지고기 공급량 증가 또한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8월 돼지고기 수입 검사물량은 2만 7,000톤으로 전달 2만 8,000톤에 비해 3.6% 감소했지만 작년 동기간 2만 1,000톤에 비해 26.7% 증가했다.
전년 동월 수입량을 넘어선 지난 6월과 비교해도 확연히 다른 추이를 보인다.
율 5월까지 전년 대비 7~23% 감소세를 보였던 수입량이 6월 처음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해 7월에는 작년 수준(전년 동월 대비 1%↓)을 보였으나 8월은 6월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상반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4분기 돼지 도매가격은 하락세가 전망된다.
10월과 11월엔 평년 3,953원, 4.065원 보다 소폭 높은 3,900~4,100원과 4,100~4,300원으로 전망되며, 12월의 경우 3,800~4,000원에 그쳐 3,973원이었던 평년보다 시세가 낮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 올 4분기 한우 공급량 20% 증가 전망 (축산신문 - 2021.9.15.)
추석 이후 한우 공급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농협한우국(국장 윤용섭)은 한우레포트 9월호를 통해 추석 명절 이후 4분기 도축두수가 전년대비 18.1~20.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협은 올해 4분기 도축두수가 20만9천~21만3천 두로 예상되며, 올해 전체 도축두수는 82만4천~83만2천 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량 증가에도 소비 여력이 높아 도매가격은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분기 도매가격은 kg당 평균 2만원~2만5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소폭(0.6~1.9%)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 전문가는 “공급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추석 전에 국민지원금이 풀리면서 소비량 증가가 도매가격을 상당 부분 지지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장기적 관점에서 사육두수 증가로 인한 가격 하락이 거의 분명해 보이는 만큼 저능력 암소 도태와 송아지 생산 조절에 농가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송아지 가격 하락세…추석 이후 동향에 주목 (축산신문 - 2021.9.15.)
최근 송아지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GS&J의 한우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한우 송아지 가격은 7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송아지 평균 가격은 4월부터 매월 최고 가격을 경신하며 6월에는 두당 443만원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7월 이후 하락하면서 8월에는 두당 422만원으로 낮아졌다.
암송아지 가격은 7월 387만원까지 상승한 후 8월에는 372만원으로 하락했고, 수송아지는 6월 500만 원까지 상승 후 8월에는 471만 원으로 하락했다.
송아지 생산두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 도매가격이 하락해 송아지 입식열기가 식기 시작하면 송아지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GS&J는 분석했다.
암소 사육의향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인공수정률은 올 3월 80.4%까지 상승했고, 8월에는 79.4%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암소 도축률은 2019년 2월 이후 30% 초반대를 유지하다가 작년 말부터 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암소 도축이 늘면서 8월 도축률이 높아졌지만 그 수준이 30% 이하로 암소 사육의향은 여전히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5주차) (0) | 2021.10.31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4주차) (0) | 2021.10.24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3주차) (0) | 2021.10.1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2주차) (0) | 2021.10.1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1주차) (0) | 2021.10.0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3주차) (0) | 2021.09.1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2주차) (0) | 2021.09.1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1주차) (0) | 2021.09.0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8월 4주차) (0) | 2021.08.2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8월 3주차)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