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3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9월6일~9월10일) (농민신문 - 2021.9.15.)
한우 경락값은 추석(9월21일) 대목을 맞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국 대부분 도매시장이 토요일(11일)에도 정상 운영함에 따라 출하량이 크게 늘었지만 명절맞이 선물세트 준비물량이 크게 늘면서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한우는 전국 도매시장에서 전주 대비 25.69% 증가한 1만5794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2만4165원으로, 전주 대비 425원 상승했다. 1++A 등급은 607원 상승한 1㎏당 2만7539원, 1++B 등급은 595원 오른 2만6070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1283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경락값은 549원 상승한 1만2640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9월6일~9월10일) (농민신문 - 2021.9.15.)
돼지 경락값도 전주 대비 상승세를 보였다. 추석 대목을 맞아 산지 출하량이 크게 증가했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가정 소비가 증가하며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 것이다. ‘국민지원금’으로 인해 수요가 늘어난 것도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돼지는 지난주 전국 도매시장(탕박 기준, 제주·등외 제외)에서 전주 대비 31.01% 증가한 1만4625마리가 경매됐다. 지육 1㎏당 평균 경락값은 5815원으로 전주 대비 221원 상승했다.
모돈 1㎏당 가격(박피)은 18원 오른 1982원이었다.
⦿ 돈가, 추석 지나고 하락 전망…조기출하 당부 (농축유통신문 - 2021.9.17.)
10월부터 도축 마릿수 증가에 따라 5,000원대로 강세를 달려오던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오는 10월 돼지도축두수를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1.2~3.8% 증가한 156만~160만 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여름철 폭염으로 돼지 성장이 느려져 지연됐던 물량이 10월로 밀려나는 계절성에 따른 추세와 함께, 10~12월 사육 마릿수가 평년 수준임에도 생산성 향상으로 도축 마릿수는 늘어날 것으로 분석됨에 따른 것이다.
여기에 독일산 돼지고기 수입 금지 여파 지속과 코로나19 확산, 물류선적 문제, 중국 ASF 발생으로 인해 상승한 국제 돼지고기 가격이 ASF 회복에 따른 중국의 수입감소로 하락한 상황과 국내 돼지고기 가격이 상승한 것이 맞물리며 돼지고기 수입량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전체적인 국내 돼지고기 공급량 증가 또한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됐다.
실제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8월 돼지고기 수입 검사물량은 2만 7,000톤으로 전달 2만 8,000톤에 비해 3.6% 감소했지만 작년 동기간 2만 1,000톤에 비해 26.7% 증가했다.
전년 동월 수입량을 넘어선 지난 6월과 비교해도 확연히 다른 추이를 보인다.
율 5월까지 전년 대비 7~23% 감소세를 보였던 수입량이 6월 처음으로 전년 대비 8% 증가해 7월에는 작년 수준(전년 동월 대비 1%↓)을 보였으나 8월은 6월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상반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4분기 돼지 도매가격은 하락세가 전망된다.
10월과 11월엔 평년 3,953원, 4.065원 보다 소폭 높은 3,900~4,100원과 4,100~4,300원으로 전망되며, 12월의 경우 3,800~4,000원에 그쳐 3,973원이었던 평년보다 시세가 낮을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 올 4분기 한우 공급량 20% 증가 전망 (축산신문 - 2021.9.15.)
추석 이후 한우 공급량이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농협한우국(국장 윤용섭)은 한우레포트 9월호를 통해 추석 명절 이후 4분기 도축두수가 전년대비 18.1~20.3%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농협은 올해 4분기 도축두수가 20만9천~21만3천 두로 예상되며, 올해 전체 도축두수는 82만4천~83만2천 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공급량 증가에도 소비 여력이 높아 도매가격은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4분기 도매가격은 kg당 평균 2만원~2만500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소폭(0.6~1.9%)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한 전문가는 “공급량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지만 추석 전에 국민지원금이 풀리면서 소비량 증가가 도매가격을 상당 부분 지지해 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장기적 관점에서 사육두수 증가로 인한 가격 하락이 거의 분명해 보이는 만큼 저능력 암소 도태와 송아지 생산 조절에 농가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송아지 가격 하락세…추석 이후 동향에 주목 (축산신문 - 2021.9.15.)
최근 송아지 가격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GS&J의 한우동향 분석자료에 따르면 한우 송아지 가격은 7월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송아지 평균 가격은 4월부터 매월 최고 가격을 경신하며 6월에는 두당 443만원까지 상승했다. 하지만 7월 이후 하락하면서 8월에는 두당 422만원으로 낮아졌다.
암송아지 가격은 7월 387만원까지 상승한 후 8월에는 372만원으로 하락했고, 수송아지는 6월 500만 원까지 상승 후 8월에는 471만 원으로 하락했다.
송아지 생산두수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라 도매가격이 하락해 송아지 입식열기가 식기 시작하면 송아지 가격이 급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GS&J는 분석했다.
암소 사육의향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인공수정률은 올 3월 80.4%까지 상승했고, 8월에는 79.4%를 기록하면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암소 도축률은 2019년 2월 이후 30% 초반대를 유지하다가 작년 말부터 다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석을 앞두고 암소 도축이 늘면서 8월 도축률이 높아졌지만 그 수준이 30% 이하로 암소 사육의향은 여전히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4주차) (0) | 2021.10.24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3주차) (0) | 2021.10.1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2주차) (0) | 2021.10.1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10월 1주차) (0) | 2021.10.0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4주차) (0) | 2021.09.2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2주차) (0) | 2021.09.1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9월 1주차) (0) | 2021.09.0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8월 4주차) (0) | 2021.08.2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8월 3주차) (0) | 2021.08.2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21년 8월 2주차) (0) | 202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