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 630

2020년 5월 20일~6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5월 20일~6월 20일 한우시황 쇠고기 공급량 감소…비수기 영향 수요도 줄 듯 거세우 경락가·송아지 가격 약보합세 지속 2020년 5월 20일~6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4월 한육우 시세는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군급식,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가정소비 증가, 한우 자조금 관리위원회 가정의 달 한우 할인 판매 행사, 유통업체 5월 초 연휴 소비물량 준비로 인하여 전월대비 강보합세를 보였다. 4월 경락가격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105.9%로(암소 105.3%, 수소 108.1%, 거세 106.5%) 강보합세를 보였다. 그러나 육우는 전월대비 102.9%로(암소 102.6%, 수소 95.8%, 거세 102.0%) 약강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

2020년 4월 20일~5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4월 20일~5월 20일 한우시황 공급·수요 증가…도매시장 경락가 약강세 지속 학교 급식시장 재개 여부 따라 소비량에 영향 2020년 4월 20일~5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3월 한육우 시세는 군급식, 코로나 19 영향으로 인한 가정소비 증가와 한우자조금 봄철 건강을 위한 한우의 특별한 기획전 소비촉진행사에 따른 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월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이는 전월대비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3월 경락가격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99.6%로(암소 99.1%, 수소 105.3%, 거세 101.7%)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는 보합세, 수소는 강보합세, 거세는 약강세를 보였다. 2020월 3월(1일~31일) 전월대비 산..

2020년 3월 20일~4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3월 20일~4월 20일 한우시황 코로나 한파에도 도매시장 경락가 강세 유지 도축두수·수입량 모두 ↑…급식·가정시장 중심 소비도 증가 2020년 3월 20일~4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2월 한육우 시세는 도축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와 군 급식,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인한 가정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학교방학으로 인한 학교 급식량 감소,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외식소비량 감소, 설 명절이후 소비 비수기 영향으로 인하여 전월대비약보합세 내지 약세를 보였다. 2월 경락가격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96.2%로(암소 95.5%, 수소 88.3%, 거세 96.5%)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와 거세는 약보합세, 수소는 약세를 보였다. 또한 육우도 전월대비 98...

2020년 3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2020년 3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 올해 3월까지 돼지 도축마릿수 전년과 평년보다 증가 전망 • 3월 사육마릿수는 모돈마릿수가 줄어 전년(1,120만 마리)보다 1.1% 감소한 1,108만 마리, 모돈은 전년(106만 3천 마리)보다 1.1% 감소한 105만 1천 마리로 전망된다. - 3월 모돈마릿수는 전년보다 적지만 평년(102.4마리)보다는 많은 수준이다. • 3월 도축마릿수는 작업일수가 많고 비육돈 생산성이 향상되어 전년 동월(144만 마리)과 평년(147만 마리)보다 증가한 155~160만 마리로 전망된다. □ 3월 돼지도매가격은 전년과 평년보다 하락 전망 • 3월 평균 돼지도매가격은 돼지고기 생산량증가로 전년 동월(3,768원/kg)과 평년(4,157원/kg)보다 낮은 3,400~3..

2020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2020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도축마릿수 증가세 지속 ❍ 2020년 3월 송아지(6~7개월령) 입식시 출하가 예상되는 2022년 3~5월 도축마릿수는 19만 마리로 평년에 비해 11.9%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 한우 도축마릿수는 2021년 83만 마리 내외, 2022년 86만 마리 내외로 전망되어 분기별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2020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사육마릿수 지속 증가 ❍ 가임암소가 증가로 송아지 생산이 늘어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세는 대규모 농가 중심으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21년에는 3월 306만 6천 마리(전년 동월 대비 1.4% 증가)에서 12월 324만 3천 마리(2.4% 증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2년 3월 315만 8천 마리(3.0% 증가)에서 12월 329만 9천 마리(1.7% 증가)까지 증가하고, 2023년 3월에는 321만 8천 마리(1.9% 증가)가 될 것으로 분석된다. □ 가임암소와 송아지 생산 증가 ❍ 한우 가임암소마릿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 12월 154만 3천 마리(0.4% 증가), 2022년 155만 1천 마리(0.5% 증가)까..

2020년 3월 한우 도매가격 전망

2020년 3월 한우 도매가격 전망 □ 한우 1등급 도매가격 상반기 상승, 하반기 하락 ❍ 2020년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2분기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은 1분기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도매가격은 도축마릿수 증가로 소폭 하락하여 1만 7,500/kg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 도축량 증가에도 거세우 가격은 생산비 이상에서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단위 : 천 마리, 원/kg, %한우 도축마릿수 및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2020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 2020년 도축마릿수 전년과 평년보다 증가 ❍ 2020년 도축마릿수는 사육 증가로 전년(76만 5천)과 평년(74만 8천)보다 증가한 79만 마리 수준으로 전망된다. - 1분기(12~2월) 도축마릿수는 20만 8천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후 도축마릿수는 증가하여 4분기(9~11월) 도축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3.1% 증가한 20만 7천 마리로 예상된다. 단위 : 천 마리, 원/kg, %한우 도축마릿수 및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0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2020년 한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2020년 한우 사육마릿수는 가임암소 마릿수와 1세 미만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올해 1월에도 정액 판매가 늘어나 농가의 번식의향이 여전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지낸 해 하반기 이후 누적 정액 판매량이 전년보다 2.0% 증가하여 송아지 생산잠재력이 높아졌으며, 금년 송아지 생산마릿수는 2.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20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3.7% 증가한 316만 7천 마리로 분석된다. - 1세 미만은 2.2% 증가한 90만 2천 마리, 가임암소는 전년보다 3.3% 증가한 153만 8천 마리로 전망된다. 단위 :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2020년 2월 20일~3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2월 20일~3월 20일 한우시황 ‘코로나19’ 여파 소비위축…공급량도 감소 큰 소 경락가 약세 불가피…송아지는 약보합세 예상 2020년 2월 20일~3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1월 한육우 시세는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와 학교방학으로 인한 학교 급식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군급식, 각종 신년모임 행사, 한우 설맞이 할인 판매 행사, 설 명절 등으로 인한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전월대비 강보합세를 보였다. 1월 경락가격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105.1%로(암소 102.2%, 수소 99.2%, 거세 106.8%) 강보합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는 약강세, 수소는 보합세, 거세는 강보합세를 보였다. 또한 육우도 전월대비 108.0%로(암소 113.1%, 수소 9..

2020년 1월 20일~2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1월 20일~2월 20일 한우시황 도축두수 줄고 쇠고기 수입량도 감소 학교 방학 따른 급식수요 줄어들어…보합 내지 약보합 시세 2020년 1월 20일~2월 20일 한우시황 2019년 12월 한육우 시세는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학교급식,군급식, 연말 각종 행사, 유통업체 설 선물세트 준비 등으로 인해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12월 경락가격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101.4%로(암소 101.1%, 수소105.4%, 거세 101.9%) 약강세 내지 강보합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와 거세는 약강세, 수소는 강보합세를 보였다. 그러나 육우는 전월대비 100.7%로(암소 99.1%, 수소 95.9%, 거세 101.2%) 보합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2020년 1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2020년 1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 2020년 1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전월보다 감소 전망 • 2020년 1월 사육마릿수는 전년(1,119만 마리)보다 0.3% 감소한 1,116만 마리, 모돈은 전년(106만 5천 마리)보다 0.5% 감소한 106만 마리로 전망된다. • 20250년 1월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월(158만 마리)과 전년 동월(173만 마리)보다 감소한 152~157만 마리로 전망된다. • 재고량(수입량 포함) 중 2020년 1월 공급 예상물량은 수입량이 줄어 전년보다 감소가 예상된다. •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제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4만 8천 톤)보다 31.2% 감소한 3만 3천 톤으로 전망된다. □ 2020년 1월 돼지 도매가격은 2019년 12월과 비..

2020년 1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1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2021년 한우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전망 ❍ 2020~21년 분기별 한우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생산과 가임암소 증가로 전년 동분기 대비 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0~21년 한우도축마릿수는 사육증가로 전년 대비 3~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명절 시기에 따라 전년과 증감차이를 보이겠으며, 추석 전후로 도축마릿수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장기 한우사육마릿수 증가세 지속 전망 ❍ 한우도매가격이 평년에 비해 강세를 보이며 농가의 번식 및 입식의향이 증가하여 한우사육마릿수 증가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 중장기 한우사육마릿수는 가임암소수와 송아지 생산마릿수가 증가하여 2021년 324만 마리, 2022년 326만 마리까지 증가할 것으..

2020년 1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2020년 1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 설 성수기 한우도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이력제 자료를 이용한 향후 출하가능 마릿수 추정 결과, 내년 1월 출하예정마릿수가 전년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2020년 설이 금년보다 빨라 12월 중순 이후 설 대비 도축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1월 도축마릿수는 작업일수 감소와 설 이후 도축감소로 전년보다 적은 9만 4천~9만 5천 마리로 전망된다. ❍ 설 성수기(3주 전) 한우도축마릿수는 7만 4천~7만 6천 마리로 전년 동기(7만 1천 마리)보다 6~8%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1월 20일~12월 20일 한우시황

2019년 11월 20일~12월 20일 한우시황 수요·공급 모두 증가…산지시세 약강세 예상 전월대비 암·수 송아지 공급량도 늘어나 보합세 지속 2019년 11월 20일~12월 20일 한우시황 2019년 10월 한육우 시세는, 군급식과 학교급식, 가을철 단풍 행락철,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전국 할인판매 행사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영향으로 인한 각종 지역축제 취소 영향으로 인하여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10월 경락가격을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97.9%로(암소 98.4%, 수소 86.7%, 거세 97.0%)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성별로 보면 암소와 거세는 약보합세, 수소는 약세를 보였다. 그러나 육우는 전월대비 100.2%로(암소 9..

2019년 12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9년 12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내년 5월까지 모돈사육의향 감소 • 표본농가 조사 결과, 모돈 사육의향은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돼지고기가격이 평년에 비해 낮게 형성되고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표본농가 모돈 사육의향 □ 내년 3월 돼지사육마릿수 올해 동월 대비 감소 전망 • 내년 3월 모돈사육마릿수는 돼지도매가격이 평년에 비해 낮아 모돈사육의향이 줄어 올해보다 감소한 105만 마리로 전망되며, 모돈 수 감소로 전체 사육마릿수도 올해보다 감소한 1,103만 마리로 전망된다. - 이후 사육마릿수는 계절적으로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돼지 사육 마릿수 전망단위 : 만 마리,% □ 내년 등급판정마릿수 감소 전망 • 내년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줄어 올해..

2019년 12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2019년 12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 12월 돼지등급판정마릿수 전월보다 감소 전망 • 12월 사육마릿수는 전년(1,133만 마리)보다 2.1% 감소한 1,109만 마리, 모돈은 전년(106만 마리)보다 1.9% 감소한 104만 마리로 전망된다. • 12월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월(164만 마리)과 전년 동월(153만 마리)보다 감소한 148~151만 마리로 전망된다. • 재고량(수입량 포함)중 12월 공급 예상물량은 수입량이 줄어 전년보다 감소가 예상된다. □ 12월 돼지도매가격은 11월과 비슷할 전망 • 12월 평균 돼지도매가격은 11월과 비슷한 3,600~3,900원대/kg으로 전망된다. - 전년 동월(3,597원)에 비해서는 공급량이 감소해 소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19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19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2020년 3월 한우사육마릿수 또한 올해보다 증가 전망 ❍ 최근의 송아지 가격과 번식의향을 고려하면 2020년에도 송아지 생산마릿수는 2019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향후 한우사육은 송아지 생산잠재력이 높아 1세 미만 마릿수가 증가하고, 1~2세 마릿수와 가임암소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내년 3월 한우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3.2% 증가한 300만 1천 마리로 전망된다. ❍ 6월 한우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4.3% 증가한 317만 8천 마리, 9월은 3.9% 증가한 320만 5천 마리로 전망된다. □ 2022년까지 한우가임암소 마릿수와 1세 미만 사육 증가 전망 ❍ 농가의 번식의향 유지로 2020년 가임암소 마릿수는 153만 5천 마리, 2021..

2019년 12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2019년 12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 12월~내년 2월 도축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 전망 ❍ 12월 사육마릿수는 1세 미만 마릿수와 가임암소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2.8% 증가한 304만 5천 마리로 전망된다. ❍ 이력제 자료를 이용한 12월 도축마릿수는 전년보다 1.4~4.5% 증가한 6만 7천~6만 9천 마리로 예상되며, 내년 1~2월은 전년보다 1.6~3.8% 증가한 14만 1천~14만 4천 마리로 전망된다.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단위 : 천 마리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1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9년 11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12월 돼지 사육마릿수 전년 동월 대비 감소 전망 • 12월 모돈 사육마릿수는 살처분, 수매, 도태 영향으로 전년보다 감소한 103~105만 마리로 전망되며, 모돈 수 감소로 전체 사육마릿수도 전년보다 감소한 1,110~1,130만 마리로 전망된다. 돼지 사육 마릿수 전망단위 : 만 마리,% □ 12월~내년 4월 등급판정마릿수 감소, 돼지고기 수입량 감소 전망 • 12월~내년 4월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줄어 전년보다 1.1% 감소한 740만 마리로 전망된다. - 12월~내년 4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등급판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동기보다 적은 40만 9천 톤 내외로 전망된다. • 12월~내년 4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제가격 강세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기보다 감소한..

2019년 11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2019년 11월 돼지 수급 및 도매가격 전망 □ 11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전월보다 감소 전망 • 아프리카 돼지열병에 따른 살처분 및 수매, 도태 등을 감안한 마릿수는 약 37만 마리로 설정하였다. • 11월 등급판정마릿수는 아프리카 돼지열병으로 인한 살처분 영향 등으로 전월(169만) 및 전년 동월(166만)보다 감소한 161만 마리로 전망된다. • 재고량(수입량 포함) 중 11월에 공급 예상물량은 당월 수입량 감소로 전년보다 감소가 예상된다. □ 11월 돼지 도매가격은 10월 대비 상승 전망 • 11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전월에 비해 도축이 감소하여 10월보다 상승한 3,400~3,600원/kg으로 전망된다. - 11월 도매가격은 전년에 비해 공급량은 감소하나, 소비 감소 영향으로 전년보다 소폭 ..

2019년 11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19년 11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12월 한우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전망 ❍ 향후 한우 사육마릿수는 송아지 생산잠재력이 높아 1세 미만 마릿수가 증가하겠으며, 지난해 늘어난 1세 미만 마릿수의 영향으로 올해 1~2세 마릿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12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3.0% 증가한 305만 2천 마리로 전망된다. - 장기적으로 사육이 늘고 도축이 증가하면 한우 도매가격 약세 전환이 예상되어 저능력 암소 도태 등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 단위 :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