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9월 돼지 도매가격 전망 2020년 9월 돼지 도매가격 전망 □ 9월 돼지 도매가격 평년 대비 하락 • 돼지 도매가격 : 4,000~4,200원Kg - 전년(4,791원/Kg) 및 평년 동월(4,743원) 대비 하락 -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 등 영향으로 추석 기간에도 갈비, 햄, 소시지(2차 가공품)를 제외한 돼지고기 수요 증가는 미미 9월 돼지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9.09
2020년 9월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2020년 9월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 9월 돼지 도축마릿수 평년 대비 증가 • 도축마릿수 : 1,410~1,460천 마리 - 전년(1,240천 마리)과 평년(1,283천 마리) 대비 증가 - 평년 작업일수(19일) 대비 작업일수(21일)가 2일 증가 • 돼지고기 수입량 : 18천~20천톤 - 돼지고기 수입량은 수입 단가 상승으로 전년(22.8천 톤)과 평년(22.0천 톤)대비 감소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9.09
2020년 9월 돼지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9월 돼지 사육마릿수 전망 □ 9월 돼지 사육마릿수 평년 대비 감소 • 돼지 사육마릿수 : 11,791천 마리로 추정 - 전년(12,440천 마리) 대비 5.2% 감소, 평년 동월(11,897천 마리) 대비 0.9% 감소 - '21년 2월까지 모돈 사육의향이 감소함에 따라 사육마릿수 지속 감소 전망 • 모돈 사육마릿수 : 967천 마리로 추정 - 전년(1,004천 마리) 대비 3.7% 감소, 평년 동월(978천 마리) 대비 1.1% 감소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9.09
2020년 9월 돼지 사육의향 전망 2020년 9월 돼지 사육의향 전망 □ 내년 2월까지 모돈 사육의향 전년 대비 감소 • 표본농가(136호) 조사결과, 모돈 사육의향 전년 대비 감소 모돈 사육의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9.09
2020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2020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가임암소 증가로 송아지 생산 늘어 2023년까지 도축마릿수 증가세 지속 ❍ 2022년 한우 도축마릿수 : 89만 1천 마리(전년 대비 5.5% 증가) ❍ 2023년 한우 도축마릿수 : 92만 1천 마리(전년 대비 3.4% 증가) ❍ 한우 사육 증가로 도축마릿수 지속 증가 전망 ❍ 2020년 9~11월 송아지(6~7개월령) 입식 시 출하가 예상되는 2022년 9~11월 한우 도축마릿수 증가 전망 - 공급 증가로 도매가격 하락 예상, 신중한 입식결정 필요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2020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세 지속 ❍ 2022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31만 4천 마리(전년 대비 1.3% 증가) - 가임암소 159만 2천(0.8% 증가), 1세 미만 97만 3천(2.4% 증가) ❍ 2023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35만 5천 마리(전년 대비 1.2% 증가) - 가임암소 160만 2천(0.6% 증가), 1세 미만 99만 7천(0.6% 증가) 단위 :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2024년까지 사육마릿수 증가세 지속 ❍ 2024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36만 9천 마리(전년 대비 0.4% 증가) - 가임암소 1614만(0.5% 증가), 1세 미만 99만 8천(0.1% 증가) ❍ 한우 사육마릿수 늘어 도축 지속 증가..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추석 성수기 한우 도매가격 전망 2020년 추석 성수기 한우 도매가격 전망 □ 추석 성수기 한우고기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 2020년 추석 성수기 한우고기 전체 평균 도매가격 전년보다 10% 내외 상승한 2만원/Kg 내외 형성 단위 : 천 마리, 원/Kg2020년 추석 성수기 한우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추석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2020년 추석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추석 성수기 한우 도축 전년보다 증가, 수요 증가 ❍ 2020년 추석 성수기(추석 전 4주간, 8.31~9.29) 도축마릿수 전년(10만)보다 2~4% 증가한 10만 2천~4천 마리 - 거세우 출하예정 물량은 적으나, 암소 출하 증가 ❍ 추석 성수기 수요 증가 -해외 여행 감소로 국내 수요 증가, 과일 가격 상승으로 선물세트 대체효과 등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9월 한우 도매가격 전망 2020년 9월 한우 도매가격 전망 □ 2021년 한우고기 전체 평균 도매가격 금년보다 하락 ❍ 2020년 9~11월 도매가격(전체 평균) : 1만 9,000~1만 9,500원(전년 대비 3~7% 상승) ❍ 추석 성수기 수요 증가, 거세우 도축 감소 등 ❍ 2021년 2월 이후 도매가격 도축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세 전환 ❍ 2021년 전체 평균 도매가격 : 1만 7,500~1만 8,500원으로 전년보다 하락 - 2020년 12월~2021년 2월 : 1만 8,000~1만 8,500원(전년 대비 2~6% 하락) 단위 : 천 마리, %한우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2020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 2020~21년 한우 도축마릿수 전년과 평년보다 증가 ❍ 2020년 도축마릿수 : 78만 3천 마리(전년 76만 5ㅊ너, 평년 74만 8천) ❍ 2020년 9~11월 : 21만 6천 마리(전년 대비 18.3% 증가) - 추석 시기 차이로 6~8월 도축마릿수 감소, 9~11월 증가폭 확대 ❍ 2021년 도축마릿수 : 84만 5천 마리 ❍ 2020년 12월~2021년 2월 : 22만 3천 마리(전년 대비 5.3% 증가) 단위 : 천 마리,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세 지속 ❍ 2020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20만 3천 마리(전년 대비 4.0% 증가) - 가임암소 154만 2천(3.9% 증가), 1세 미만 94만 2천(3.9% 증가) ❍ 2021년 12월 : 327만 2천 마리(전년 대비 2.2% 증가) - 가임암소 157만 8천(2.3% 증가), 1세 미만 95만 1천(1.0% 증가) 단위 :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8
2020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10월경부터 도축 증가 본격화 전망 ❍ 한우 수소 사육두수 중 7월 말 기준으로 26개월령 이상은 작년 동기보다 적지만 18〜25개월령은 전년 동기보다 10% 내외나 많으므로 10월경부터 도축두수가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 암소는 그동안 도태를 미루어 온 결과 5세 이상 두수가 증가하였으므로 한우 가격이 약세를 보이기 시작하면 다산우 중심으로 도축이 증가하여 전체 도축 증가율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9.01
2020년 8월 20일~9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8월 20일~9월 20일 한우시황 소비·공급 모두 증가…산지·도매가 호조세 송아지 암·수 가격도 보합 내지 약강세 2020년 8월 20일~9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7월 한육우 시세는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와 재난지원금 소진으로 인한 외식시장 소비 감소에도 불구하고, 군급식, 일부 등교 개학으로 학교급식재개, 코로나 19 영향의 가정소비 증가, 유통업체 추석선물세트 준비 등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7월 경락가격을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102.6%로(암소 100.4%, 수소 92.4%, 거세 102.8%) 약강세를 보였으며, 암소는 보합세, 수소는 약세, 거세우는 약강세를 보였다. 2020월 7월(1일~31일) 전월대비 산지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생체 .. 축산물 월간 전망/한우시황 2020.08.20
2020년 7월 20일~8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7월 20일~8월 20일 한우시황 공급량 늘고 소비 감소…시세 변동 미미할 듯 거세우·암수 송아지 가격 모두 보합 또는 약보합세 2020년 7월 20일~8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6월 한육우 시세는 군 급식과 일부학교의 개학에 따른 학교급식재개, 정부 재난지원금지급,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가정소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 증가로 공급량 증가와 가정의 달 이후 비수기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6월 경락가격을 보면, 한우는 전월대비 96.3%로(암소 97.1%, 수소 93.6%, 거세 96.4%)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암소와 거세우, 수소 모두 약보합세를 보였다. 2020월 6월(1일~30일) 전월대비 산지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생체 600kg)는 송아지 가격상승으로 영.. 축산물 월간 전망/한우시황 2020.07.24
2020년 6월 20일~7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6월 20일~7월 20일 한우시황 공급량 증가…외식소비 줄며 수요량 감소 거세 경락가·산지시세 약보합…송아지값은 약강세 2020년 6월 20일~7월 20일 한우시황 2020년 5월 한육우 시세는 도축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 군급식, 코로나19 영향으로 인한 가정소비 증가,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 가정의 달 한우 할인판매 행사, 5월 가정의 달 등으로 인한 소비량 증가로 인해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2020월 5월(1일~31일) 전월대비 산지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생체 600kg)와 한우 수소(생체 600kg) 모두 약강세를 보였다. 송아지(6개월령~7개월령)시세도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모두 약강세를 보였다. 쇠고기 공급적인 측면을 보면 5월 도축두수는 67,827두로.. 축산물 월간 전망/한우시황 2020.06.25
2020년 돼지 도매가격 중기 전망 2020년 돼지 도매가격 중기 전망 • (수요) 하반기 이후 어려운 경제여건과 코로나19 특수상황에 따른 수요 상승요인이 사라지면서 가격은 큰 폭으로 하락할 가능성 존재 • (가격) 6월 이후 도매가격은 지속 하락하여 10월부터는 생산비(3,698원/kg, '19)이하 수준으로 낮아질 가능성 존재 2020년 돼지 도매가격 전망 단위 : 원/kg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6.05
2020년 돼지 도축마릿수 중기 전망 2020년 돼지 도축마릿수 중기 전망 • 2020년 하반기 도축마릿수 : 8,796천마리 전망 - 전년 동기간(9,098천마리)보다 3.3% 감소하나, 평년 동기간(8,522천마리)보다 3.2% 많은 수준 • 2021년 상반기 도축마릿수 : 8,983천마리 전망 - 전년보다 1.7% 감소하나, 평년 동기간(8,301천마리)보다 8.2% 많은 수준 2020년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단위 : 천마리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6.05
2020년 돼지 사육마릿수 중기 전망 2020년 돼지 사육마릿수 중기 전망 • 2020년 12월 돼지 사육마릿수 : 11,423천마리 전망 - 전년(11,861천마리)보다 3.7%, 평년(11,541천마리)보다 1.0% 감소 전망 • 2021년 6월 돼지 사육마릿수 : 12,174천마리 전망 - 20년 동월(11,786천마리)보다 3.3%, 평년(11,775천마리)보다 3.4% 증가 전망 - 20년 6월 이후 후보모돈 입식이 증가할 경우, 21년 상반기 자돈 사육마릿수 증가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6.05
2020년 6월 돼지 도매가격 전망 2020년 6월 돼지 도매가격 전망 □ 6월 돼지 도매가격 평년보다 하락 전망 • 6월 돼지 도매가격 : 4,600~4,800/kg 전망 - 전년(4,200원/kg) 대비 상승, 평년 동월(5,243원) 대비 하락 전망 - 평년의 돼지고기 소비량 대비 공급량이 많은데 기인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6.05
2020년 6월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2020년 6월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 6월 돼지 도축마릿수 평년보다 증가 전망 • 6월 도축마릿수 : 1,290~1,390천마리 전망 - 전년(1,278천마리)과 평년(1,273천마리)보다 증가 전망 - 올해는 평년 작업일수(19일)보다 작업일수(22일)가 3일 많은데 기인 • 6월 돼지고기 수입량 : 31천~33천톤 전망 - 6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제가격 상승으로 전년(35천톤)과 평년(34천톤)보다 감소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6.05
2020년 6월 돼지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6월 돼지 사육마릿수 전망 □ 6월 돼지 사육마릿수 평년보다 증가 전망 • 6월 돼지사육마릿수 : 11,786천마리로 추정 - 전년(12,124천마리) 대비 2.8% 감소, 평년 동월(11,775천마리) 대비 0.1% 증가 전망 • 6월 모돈 사육마릿수 : 985천마리로 추정 - 전년(1,013천마리) 대비 2.7% 감소, 평년 동월(983천마리) 대비 0.2% 증가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020.06.05
2020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2020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2년까지 도축마릿수 증가 ❍ 2021년 한우 도축마릿수 : 84만 마리 내외(전년 대비 6~8% 증가) ❍ 2022년 한우 도축마릿수 : 91~92만 마리(전년 대비 8~10% 증가) ❍ 한우 사육 증가로 도축마릿수 지속 증가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6.02
2020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2020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세 지속, 가임암소, 송아지 증가 ❍ 2021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29만 1천 마리(전년 대비 3.3% 증가) - 가임암소 156만 9천(2.6% 증가), 1세 미만 97만 8천(3.9% 증가) ❍ 2022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34만 7천 마리(전년 대비 1.7% 증가) - 가임암소 160만 2천(2.1% 증가), 1세 미만 100만 5천(2.7% 증가) 단위 :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6.02
2020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2020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 2020년 한우 도축마릿수 전년과 평년보다 증가 ❍ 한우 도축마릿수 : 78~79만 마리(전년 76만 5천, 평년 74만 8천) - 3분기(6~8월) : 19만 4천 마리(전년 대비 1.7% 감소) - 4분기(9~11월) : 21만 마리(전년 대비 14.7% 증가) ❍ 추석 시기 차이로 3분기 도축마릿수 감소, 4분기 증가폭 확대 단위 : 천 마리,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6.02
2020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2020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 2020년 한우 사육마릿수 증가세 지속 전망 ❍ 2020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18만 7천 마리(전년 대비 3.5% 증가) - 6월 322만 5천(4.2% 증가), 9월 328만 5천 마리(5.4% 증가) ❍ 2020년 12월 가임암소 사육 : 153만 마리(전년 대비 3.1% 증가) - 6월 147만 1천(3.6% 증가), 9월 152만 3천(3.3% 증가) ❍ 2020년 12월 1세 미만 사육 : 94만 2천 마리(전년 대비 4.0% 증가) 단위 :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전망/소 2020.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