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 630

2022년 1월 20일~2022년 2월 20일 한우시황

2022년 1월 20일~2022년 2월 20일 한우시황 설 명절 특수 영향 공급·수요 모두 증가 산지 소값·도매시장 경락가 보합세 내지 약강세 2022년 1월 20일~2022년 2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12월 한육우 시세는 유통업계의 설 명절 선물세트 준비, 군 급식, 12월 중순까지 코로나19 방역단계 단계적 일상생활로 인한 외식 소비 촉진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와 12월 중순 이후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오미크론)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의 영향으로 인한 외식소비시장 위축으로 전월 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축종별로 보면 한우 수소는 약강세, 암소와 거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육우도 수소는 약강세, 암소와 거세는 약보합세를 보였다. 젖소(암)는 약강세를 보였다..

2021년 12월 20일~2022년 1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12월 20일~2022년 1월 20일 한우시황 공급량 증가…연말연시 특수로 소비 뒷받침 산지·도매가 강세 지속…송아지값 보합세 예상 2021년 12월 20일~2022년 1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11월 한육우 시세는 전월 대비 도축 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방역단계 단계적 일상생활로 인한 외식소비촉진, 유통업체 설 명절 선물세트 준비, 전국한우협회 11월 1일 한우데이 할인판매 행사, 학교급식, 군급식 등의 소비증가로 전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축종별로 보면 한우 암소와 수소는 약강세, 거세는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육우도 암소와 수소는 약강세, 거세는 약보합세를 보였다. 젖소(암)는 강보합세를 보였다. 2021년 11월 산지 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생체 6..

2021년 12월 돼지고기 가격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고기 가격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 도매가격 평년 대비 상승 ■ 돼지 도매가격: 4,600~4,800원/kg ● 12월 돼지 도매가격은 전년(4,218원) 대비 9.1~13.8%, 평년(3,973원) 대비 15.8~20.8% 상승 - 11월부터 일상 회복이 진행되는 가운데 12월 도축 마릿수는 평년 대비 증가하나 상반기 누적 수입량 감소에 따른 돼지고기 재고량 감소 영향 □ 2022년 돼지 도매가격 평년 대비 상승 ■ 2022년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및 수입량 증가, 일상회복 등으로 전년 대비 하락할 것으로 보이나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평년보다 높은 가정 내 수요 지속과 수입량 감소 영향으로 평년(4,261원) 대비 0.9~5.6% 상승한 kg당 4,30..

2021년 12월 돼지고기 수입량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고기 수입량 단기전망 □ 2021년 12월 수입량 국내 돼지고기 가격 상승에 따라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12월 돼지고기 수입량: 3만 2천~3만 3천 톤 ● 전년(2만 3,906톤) 대비 33.9~38.0% 증가, 평년(3만 2,624톤)과 비슷한 수준 * 해외 돼지고기 가격 상승에도 불구하고, 국내 돼지고기 가격 상승으로 수입량 증가 □ 2022년 수입량 수입선 다변화에 전년 대비 증가, 평년 대비 감소 전망 ■ 돼지고기 수입량: 34만~36만 톤 ● 전년(32만 톤) 대비 6.3~12.5% 증가, 평년(37만 톤) 대비 3.4~8.7% 감소 - '21년 수입선 다변화에 따른 하반기 수입량 증가 추세가 22년에도 이어져 전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미국 돼지고기 생산..

2021년 12월 돼지 공급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 공급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 도축마릿수 평년 대비 증가 ■ 돼지 도축 마릿수: 169만~173만 마리 ● 생산성 향상과 작업일수 증가 영향으로 전년(168만 5천 마리) 대비 0.3~2.7%, 평년(156만 마리) 대비 8.4~10.9% 증가 * 작업일수: 21일(평년) →23(21년) □ 2022년 돼지 도축마릿수 평년 대비 증가 ■ 2022년 돼지 도축 마릿수: 1,810만~1,840만 마리 - 2021년 하반기 모돈 증가로 사육 마릿수 증가하고, 평년 대비 높은 생산성이 유지되면서 평년(1,725만 9천 마리) 대비 4.9~6.6% 증가, 전년(1,832만 7천 마리)과 비슷한 수준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단위 : 천 마리, % 주: 평년은 2016~2020년 ..

2021년 12월 돼지 사육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 사육 단기전망 □ 2021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평년 대비 증가 ■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1,180만 6천 마리 ● 전년(1,157만 2천 마리) 대비 2.0%, 평년(1,159만 7천 마리) 대비 1.8% 증가 ● 모돈 사육 마릿수: 98만 2천 마리 - 전년(95만 9천 마리) 대비 2.4%, 평년(97만 8천 마리) 대비 0.4% 증가 □ 2022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평년 대비 증가 ■ 2022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 1,178만 5천 마리 ● 2021년(1,180만 6천 마리) 대비 0.2% 감소, 평년(1,159만 7천 마리) 대비 1.6% 증가 ■ 2022년 12월 모돈 사육 마릿수: 98만 3천 마리 ● 2021년(98만 2천 마리) 대비 ..

2022년 설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2022년 설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2022년 설 성수기 한우 도축 전년 대비 증가, 수요 증가 ■ 2022년 설 성수기(설 전 4주간, 1.3~29) 한우 수요는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 조정기에 들어가겠으나, 위드코로나 초기 단계로 인해 여전히 소비수준은 전년 수준 유지 전망, 다만, 일상 회복이 조기에 실현될 경우 수요감소로 인해 도매가격 하락 가능성 상존 ● 설 성수기 한우 도축 마릿수는 도축 가능 개체 수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약 5~10%, 평년 대비 약 3~8% 증가 전망 ● 한우 수요가 전년 설날과 같이 유지될 경우와 단계적 일상 회복에 따른 수요 감소 상황으로 구분 - 수요 지속 시 : 21,000원대 / 수요 감소 시 : 18,000~20,000원대 ※ 설 이후 도매가격은 수요 ..

2021년 12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1년 12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2년 한우 수요는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어 가정 소비가 천천히 하락하는 경우와 단계적 일상 회복 안착에 따른 한우 수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하락 가능성 상존 → 코로나19 상황과 별개로 공급물량(도축) 자체가 전년보다 증가하는 상황이므로 2022년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약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 ■ 2021년 하반기 도매가격(전체 평균) 2만 원대 수준 유지 전망 ● 도축 마릿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위드코로나 초기 단계에 따른 가정 소비 지속 등 수요 증가 요인 영향 ■ 2022년 도매가격(전체 평균)은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되어 한우 수요가 전년과 같이 유지되는 경우와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수요가 줄어든 경우로 구분 ● 코로나19 상황 지속 시..

2021년 12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1년 12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도축 마릿수는 가임암소 증가에 따른 송아지 생산 증가 여파 등으로 2024년까지 증가세 지속 전망 ■ 2023년 한우 도축 마릿수 : 91만 1천 마리(전년 대비 6.1% 증가) 전망 ■ 2024년 한우 도축 마릿수 : 99만 9천 마리(전년 대비 9.7% 증가) 전망 → 한우 사육 증가로 도축 마릿수 증가 지속 전망 ※ 2023~2024년 도축 마릿수는 가격이 폭락한 2012~2013년 수준 초과 전망 ⁎도축 마릿수: (2012년) 84만 마리, (2013년) 96만 마리 단위: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및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12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1년 12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사육 마릿수가 최대로 예상됨에 따라 2022년 한우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9%, 평년 대비 13.5% 증가 전망 ⁎ 2013년 281만 마리 이후 현재까지 사육 마릿수 지속 증가 추세(’13년 281만, ’14년 290만, ’15년 277만, ’16년 281만, ’17년 287만, ’18년 296만, ’19년 307만, ’20년 322만 마리) ■ 2021년 도축 마릿수: 78~79만 마리 수준 전망 ● 2021년 4분기 : 19만 4천 마리(전년 대비 9.9% 증가) ■ 2022년 도축 마릿수: 84~85만 마리 수준 전망 ● 2022년 1분기 : 21만 4천 마리(전년 대비 8.1% 증가) → 도축 가능 개체 수 증가로 도축 마릿수 증가 전망 단..

2021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1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사육 마릿수는 가임암소수 증가에 따른 송아지 생산 증가 등으로 2023년까지 증가세 지속 전망 ■ 2023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 361만 4천 마리(전년 대비 2.2% 증가) ● 가임암소 175만 6천 마리(전년 대비 2.9% 증가), 1세 미만 104만 마리(전년 대비 1.2% 증가) ■ 2024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 358만 4천 마리(전년 대비 0.8% 감소) → 도축 마릿수 증가로 인한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 전망 ※ 자율적인 암소 감축을 통한 사육 마릿수 조절 부재 시, 송아지 생산 및 도축 마릿수 증가로 장기적으로 한우 가격 하락 전망 단위: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

2021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1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가임암소 및 1세 미만 마릿수 증가로 2022년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3.6%, 평년 대비 14.5% 증가 전망 ■ 2021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 341만 2천 마리(전년 대비 5.7% 증가) 전망 ● 가임암소 163만 4천 마리(5.6% 증가), 1세 미만 100만 4천 마리(4.4% 증가) ■ 2022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 353만 6천 마리(전년 대비 3.6% 증가) 전망 ● 가임암소 170만 6천 마리(4.4% 증가), 1세 미만 102만 7천 마리(2.3% 증가) 단위: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11월 20일~12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11월 20일~12월 20일 한우시황 도축두수 증가·수입량 감소…소비량 늘 듯 거세우 경락가·산지시세 약강세 지속 2021년 11월 20일~12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10월 한육우 시세는 전월 대비 도축 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 11월 1일 한우데이 수요량 사전 준비, 학교급식과 군급식 등의 소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추석 명절 이후 소비 비수기, 전국민재난지원금 소진율 증가, 소비자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한 소비위축의 영향으로 전월 대비 약세를 보였다. 축종별로 보면 한우는 약세, 육우는 보합세, 젖소(암)는 약강세를 보였다. 2021년 10월 산지 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생체 600kg)는 전월 대비 약강세, 한우 수소(생체 600kg)는 전월..

2021년 9월 30일~10월 30일 한우시황

2021년 9월 30일~10월 30일 한우시황 공급량 줄고 수요 증가…산지·경락가 약강세 예상 6~7개월령 암·수송아지 가격은 약보합세 지속 2021년 9월 30일~10월 30일 한우시황 2021년 8월 한육우 시세는 전월대비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와 코로나19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에 따른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학교 등교 개학으로 인한 학교급식, 군 급식, 가족단위 여름철 행락객 증가, 가정내 소비, 유통업체 추석선물세트 준비, 추석 맞이 한우할인판매행사 물량 준비 등으로 인한 소비량 증가로 인해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축종별 성별로 보면 한우는 약강세를 보였으나 거세우는 보합세를 보였으며, 육우는 강보합세, 젖소(암)는 보합세를 보였다. 2021년8월 산지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

2021년 9월 돼지 가격 단기전망

□ 2021년 9월 돼지 가격 단기전망 □ 2021년 월 돼지 도매가격 평년 대비 상승 ■ 돼지 도매가격 : 5,000~5,200원/kg ● 9월 돼지 도매가격은 전년(4,630원/kg)과 평년(4,802원/kg) 대비 상승 - 도축마릿수는 평년 대비 증가하나 명절, 국민지원금 지급(9월 6일) 등으로 수요 증가 돼지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돼지 공급 단기전망

□ 2021년 9월 돼지 공급 단기전망 □ 2021년 추석 전 3주간 돼지 도축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 추석 전 3주간 도축마릿수는 생산성 향상으로 평년(100만 마리)과 전년(112만 마리) 대비 증가한 약 115만 마리 전망 ■ 9월 돼지 도축마릿수 : 138만~142만 마리 ● 작업일수 감소로 도축마릿수는 전년(149만 6천 마리) 대비 5.0~7.7% 감소, 평년(135만 5천 마리) 대비 1.8~4.8% 증가 ■ 9월 돼지고기 수입량 : 2만 3천~2만 4천 톤 ● 수입량은 국내 돈육 가격 상승으로 전년(2만 1,206톤) 대비 8.5~13.2%, 평년(2만 1,999톤) 대비 4.6~9.1% 증가 돼지 도축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돼지 사육 단기전망

□ 2021년 9월 돼지 사육 단기전망 □ 2021년 9월 돼지 사육마릿수 전년 대비 증가 ■ 돼지 사육마릿수 : 1,184만 6천 마리 ● 전년(1,181만 5천 마리) 대비 0.3% 증가, 평년(1,183만 1천 마리)과 비슷 ● 모돈 사육마릿수 : 97만 8천 마리 - 전년(96만 3천 마리) 대비 1.5%, 평년(97만 3천 마리) 대비 0.5% 증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기 전망

□ 2021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기 전망 □ 한우 도축마릿수 증가세 지속 전망 ■ 2022년 한우 도축마릿수 : 88만 7천 마리(전년 대비 11.8% 증가) 전망 ■ 2023년 한우 도축마릿수 : 94만 6천 마리(전년 대비 6.7% 증가) 전망 ■ 한우 사육 증가로 도축마릿수 증가 지속 전망 ■ 2023년 도축마릿수는 2013년 수준 육박, 2014년 수준 초과 전망 단위: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및 도축마릿수 중기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기 전망

□ 2021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기 전망 □ 사육마릿수 2023년, 도축마릿수 2024년까지 증가세 지속 전망 ■ 2024년 한우 도축마릿수 : 98만 8천 마리(전년 대비 4.5% 증가) ■ 2023년까지 지속적인 한우 사육 증가로 도축마릿수 증가 전망 ■ 2026년 한우 사육마릿수 : 332만 2천 마리(전년 대비 0.4% 감소) ■ 도축마릿수 증가로 인한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감소 전망 단위: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및 도축마릿수 중기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추석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2021년 추석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2021년 추석 성수기 한우 도축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수요 증가 ■ 2021년 추석 성수기(추석 전 4주간, 8.23.~9.18.) 도매가격은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전망 ■ 추석 성수기 한우 도축마릿수는 도축 가능 개체수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약 10%, 평년 대비 약 7% 증가 전망, 코로나19로 인한 가정내 소비 지속 ■ 추석 이후 연말까지의 도매가격은 수요 감소와 도축마릿수 증가세 영향으로 추석 성수기 가격 전망치 대비 하락할 것으로 전망 ■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은 추석 성수기에 저능력 암소 출하 적극 권장 단위: 천 마리,원/지육kg 2021년 추석 성수기 한우 도축마릿수 및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1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1년 한우 전체 평균 도매가격 2만원대 전망 ■ 2021년 도매가격(전체 평균) 전년 수준 전망 ■ 사육마릿수 증가에 따른 도축마릿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이후 높아진 수요 등의 영향으로 특별한 변화요인이 없다면 당분간 현재 수준 지속 전망 ■ 백신 접종으로 인한 일상 회복 상황에 따라 가정 수요 감소 등 가격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 단위: 원/kg 한우 도매가격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1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올해 역대 최고 사육마릿수가 예상됨에 따라 2021년 한우 도축마릿수는 전년 대비 4%, 평년 대비 6% 증가 전망 ■ 2021년 도축마릿수 : 79~80만 마리 수준 전망 ■ 2021년 3분기 : 22만 5천 마리(전년 대비 3.5% 증가) ■ 2021년 4분기 : 19만 2천 마리(전년 대비 8.8% 증가) ■ 입식 의향 증가세 지속으로 인한 암소 도태 지연으로 지난 분기 전망치(83~84만 마리) 대비 감소 전망 단위: 천 마리,% 한우 도축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1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가임암소 및 1세 미만 마릿수 증가로 2021년 한우 사육마릿수 전년 대비 4.5%, 평년 대비 13.5% 증가 전망 ■ 2021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 343만 3천 마리(전년 대비 4.9% 증가) 전망 ■ 가임암소 162만 7천 마리(5.3% 증가), 1세 미만 98만 2천 마리(3.7% 증가) ■ 2021년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 337만 1천 마리(전년 대비 4.5% 증가) 전망 ■ 가임암소 163만 5천 마리(5.6% 증가), 1세 미만 97만 2천 마리(1.0% 증가) 단위: 천 마리,% 한우 사육마릿수 전망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1년 8월 20일~9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8월 20일~9월 20일 한우시황 수요·공급 모두 증가…산지가, 보합 내지 약강세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여부에 시세 영향 받을 듯 2021년 8월 20일~9월 20일 한우시황 2021년 7월 한육우 시세는 전월대비 도축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와 가족단위 행락객 증가, 가정내 소비 증가, 군 급식, 유통업체 추석선물세트 준비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19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인한 소비위축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축종별로 보면 한우와 젖소(암)는 약보합세, 육우는 약세를 보였다. 2021년 7월 산지시세를 보면 한우 암소(생체 600kg)는 전월대비 약보합세, 한우 수소(생체 600kg)전월대비 약세를 보였다. 송아지(6개월령~7개월령)시세는 암송아지는 보합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