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 1325

2024년 상반기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0개소의 ‘24년 상반기 총 매입량은 45.0톤으로 '23년 상반기 대비 5.1톤(12.7%) 증가하였으며, 구이류가 4.8톤(13.5%)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0.3톤(6.1%) 증가하였음. - 매입 비중은 구이류에서 등심이 최고 47.0%를 차지하였고, 정육류는 우둔이 최고 8.8%의 비중을 차지하였음. o ‘23년 상반기 대비로 구이류는 약보합세를 보인 특수부위를 제외하고 모든 부위가 5월까지 매입량이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2월 감소 이후 모든 부위가 5월까지 증가하였음. - 6월 갈빗살을 제외한 모든 부위가 감소하였음.  (단위 : kg)  □ 판매량  o 조사 대상 20개..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 대상 30개소 중 16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 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14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o 16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월평균 24마리로 ‘23년 상반기와 비교시 4마리 감소하였으며,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14개 업소의 상반기 매입량은 18.6톤으로 ‘23년 상반기와 비교시 4.2톤(18.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 - 구이류에서는 등심 매입량이 ‘23년 상반기 대비 약 0.5톤(7.7%) 감소하였으며, 정육류에서는 갈비가 2,279.0톤(41.8%) 감소하였음.   □ 판매량  o 조사 대상 30개소의 상반기 총 판매량은 약 35.2톤으로 ‘23년 상반..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24년 상반기 식육포장처리업체 10개소의 가공실적은 33,088마리로 '23년 하반기 대비 3,351마리(11.3%) 증가하였음. - 전체 도축마릿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7.1%로 '23년 하반기 대비 약 0.7% 증가하였음. o 농가에서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한 비율이 약 57.4%로 하반기 대비 5.9% 감소하였고,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비율은 약 42.6%로 하반기 대비 5.9% 증가를 보였음.  (단위 : 마리) □ 생산 매입현황  o ‘24년 상반기 전체 생산 매입량은 7,891.6톤으로 ’23년 하반기 대비 1,230.9톤(18.5%) 증가하였음. o 구이류는 1,944.3톤으로 '23년 상반기 대비 233.8톤(13..

2024년 상반기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동향

□ 2024년 상반기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동향 □ 거래인별 경락 현황  o ‘24년 상반기 중도매인 경락 마릿수는 106,920마리이며 4대 공판장 중 음성공판장 비중이 56.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부천 25.1%, 고령 11.3%, 나주 7.4%로 나타남. o 매참인 경락 마릿수는 27,107마리이며 중도매인과 마찬가지로 음성이 6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부천 17.1%, 고령 16.0%, 나주 2.4%순이었음. (단위 : 명, 마리) □ 축산물공판장 경락현황  o ‘24년 상반기 4대 공판장은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였으며, 나주 공판장이 특히 약세를 보임. - '23년 상반기 대비 고령 공판장이 4.0% 하락하며 가장 크게 하락 하였으며, 나주 공판장은 오히려 6.4% 상승한 ..

2024년 상반기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가격 동향 □ 한우 가격동향 o ‘24년 상반기 평균 경락가격은 15,771원/kg으로 ’23년 상반기 대비 76원/kg(0.5%) 하락하였음. - 1++등급과 1+등급은 저등급 대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등급은 거세우 보다 암소 가격이 더 하락하였음. - 경락가격이 가장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는 등급은 3등급 암소(1,517원/kg) 이며, 가장 하락한 것은 1++등급 암소(1,397원/kg)로 나타남. - 2등급과 3등급은 ‘23년 상반기 대비 평균 경락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거세우 보다 암소 가격 상승폭이 크게 나타남. (단위 : 원/kg, %)주: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 1~6월 기준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상반기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상반기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24년 상반기 등급판정 마릿수는 477,117마리로 ’23년 상반기 대비 29,872마리(6.7%) 증가하였음. o ‘24년 상반기 누계 기준 1월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년 보다 약 6% 증가하였고, 이후 보합세를 유지하나 6월 비율은 전년 동월 대비 2% 감소하였음. - ‘24년은 설 명절은 2월 상순으로 명절 전후를 기점으로 1월에 도축두수가 급증하고 2월에 급감한 후, 3월부터 5월까지는 도축두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다, 6월에 다시 소폭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 - 이는 명절과 계절적 요인에 기인함. (단위 : 마리,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24년 상반기 상장 마릿수는 280,145마리로 ’23년 상반기 대비 19,220마리(7.4%)..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0개소의 총 매입량은 3,972kg으로 전기 대비 445kg(12.6%) 증가하였는데 구이류가 399kg(12.8%)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46kg(11.1%) 증가하였음. - 전기 대비 구이류는 모든 부위가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양지만 감소하였음. - 품목별 점유율은 전기 대비 구이류 0.9% 증가, 정육류 0.2% 감소, 갈빗살 1.1% 증가하였음. o 전년 동기 대비 767kg(16.2%) 감소하였는데 구이류가 676kg(16.1%) 감소하였고, 정육류는 91kg(16.5%) 감소하였음. - 전년 동기 대비 구이류는 갈빗살만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 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o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두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871kg으로 전기와 비교시 175kg(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로도 508kg(21.5%) 증가를 보였음.   (단위 : kg, %) □ 판매량  o 조사 대상 30개소의 총 판매량은 3,941kg으로 전기비 208kg..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542마리로 전기대비 222마리(9.6%) 증가, 전년 동기 대비 119마리(4.9%) 증가하였음. -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 대비 조사업체 10개소 점유율은 약 5.6%로 전기 점유율 대비 1.3%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점유율 대비 1.6% 감소하였음. o 생축을 직접 구매하여 도축을 실시한 가공실적은 1,667마리로 전체 가공마릿수의 약 65.6%를 차지하였으며, 전기 대비 24.0% 증가, 전년 동기대비 1.0% 증가함.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판매가격  o 생산 매입현황 - 조사업체 전체 매입량..

2024년 7월 2차(7.16. ~ 7.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4년 7월 2차(7.16. ~ 7.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3,098마리로 전기 대비 3,699마리(39.4%) 증가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3,447마리(35.7%) 증가하였음. - 중도매인 경락 마릿수는 전기 대비 2,742마리(36.7%) 증가하였는데 모든 도축장이 증가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는 2,805마리(37.8%) 증가하였는데 모든 도축장이 증가하였음. - 매참인 경락 마릿수는 전기 대비 957마리(49.8%) 증가하였는데 모든 도축장이 증가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는 642마리(28.7%) 증가하였는데 모든 도축장이 증가하였음.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수요가 줄며..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5,568원/kg으로 전기 대비 2.1% 상승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3.5% 하락하였음.  주: 1)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7월 2차(7.16. ~ 7.31.)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45,240마리로 전기 대비 11,781마리(35.2%) 증가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10,756마리(31.2%) 증가하였음.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27,673마리로 전기 대비 8,548마리(44.7%) 증가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7,843마리(39.6%) 증가하였음.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0개소의 총 매입량은 3,527kg으로 전기 대비 553kg(18.6%) 증가하였는데 구이류는 486kg(18.5%)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67kg(19.3%) 증가하였음. - 전기 대비 구이류는 갈빗살만 감소하였고, 정육류는 모든 부위가 증가하였음. o 전년 동기대비 141kg(3.8%) 감소하였는데 구이류는 122kg(3.8%) 감소하였고 정육류는 19kg(4.4%) 감소하였음. - 전년 동기대비 구이류는 등심만 증가하였고, 정육류는 양지만 증가하였음.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판매량  o 조사 대상 20개소의 총 판매량은 ..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o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두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 0.85마리, 전년 0.88마리에 비해서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696kg으로 전기와 비교시 725kg(3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년 대비로도 298kg(12.4%) 증가를 보였음.   (단위 : kg, %) □ 판매량  o 조사 대상 30개소의 총 판매량은 3,733kg으로 전기비 95kg(2...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320마리로 전기대비 160마리(6.5%) 감소, 전년 동기대비 94마리(4.2%) 증가하였음. -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 대비 조사업체 10개소 점유율은 약 6.9%로 전기 점유율 대비 0.2% 감소했으며, 전년 동기 점유율 대비 0.4% 증가하였음. o 생축을 직접 구매하여 도축을 실시한 가공실적은 1,344마리로 전체 가공마릿수의 약 57.9%를 차지하였으며, 전기 대비 5.8% 감소, 전년 동기대비 0.3% 감소함.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판매가격  o 생산 매입현황 - 조사업체 전체 매입량은 56..

2024년 7월 1차(7.1. ~ 7.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4년 7월 1차(7.1. ~ 7.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9,399마리로 전기 대비 590마리(5.9%) 감소, 전년 동기대비 212마리(2.2%) 감소하였음.- 중도매인 경락 마릿수는 전기 대비 496마리(6.2%) 감소하였는데 모든 도축장이 감소하였고, 전년 동기대비는 84마리(1.1%) 감소하였는데 부천, 나주 공판장은 증가하였음. - 매참인 경락 마릿수는 전기 대비 94마리(4.7%) 감소하였는데 부천 공판장은 증가하였고, 전년 동기대비는 128마리(6.3%) 감소하였는데 고령 공판장만 증가하였음.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방학 등을 맞아 급식 수요가 하락하고 계절적인 비..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가격 동향

□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5,241원/kg으로 전기 대비 3.5% 상승하였고, 전년 동기대비 3.7% 하락하였음. 주: 1) 평년은 2019년∼2023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수급 동향

□ 2024년 7월 1차(7.1. ~ 7.15.)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33,459마리로 전기 대비 1,443마리(4.1%) 감소하였고, 전년 동기대비 480마리(1.4%) 감소하였음.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19,125마리로 전기 대비 1,455마리(7.1%) 감소하였고, 전년 동기대비 550마리(2.8%) 감소하였음.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7월 수입 돼지고기 동향

□ 2024년 7월 수입 돼지고기 동향 □ 수입동향 ❍ 6월 누계 삼겹살 수입은 스페인 22,160톤, 네덜란드 15,928톤, 독일 13,816톤으로 가장 많았고, 앞다리는 미국 81,313톤, 캐나다 10,860톤으로 많음. ❍ 전년 누계대비로 약 46.0천톤(20.3%) 증가하였는데 삼겹살이 10.9천톤(11.8%) 증가하였고, 앞다리도 30.3천톤(36.7%)의 증가를 보임.   □ 국내 판매 및 해외시장 동향 ❍ 구이류 중 냉장육은 외식 부진으로 대형마트 등에서 할인행사 지속, 국내산 가격 및 수입원가 상승으로 도매가격 강세. 냉동육은 공급과 재고가 과다한 가운데 마트 및 외식수요가 약해 대패삼겹살 등으로 판매 노력. ❍ 목전지는 간편식 등에서 고정수요가 있지만 소폭 약세이고, 공급량 과다로 재..

2024년 7월 한돈 시장동향

□ 2024년 7월 한돈 시장동향 □ 지육가격 전망 ❍ 연이어 발생한 ASF 영향으로 인해 예상보다 높은 지육가격이 유지되는 가운데, 무더위 및 장마철 영향으로 소비시장은 더욱 위축되었음. 이에 7월 지육가격은 ASF 추가 발생이 없다는 전제 하에 평균 5,700~5,900원/kg(제주 제외 기준)에서 형성 전망.  □ 부분육 판매동향 ❍ 구이류는 일부 대형마트에서 할인행사가 진행되었지만 소비자 반응이 크지 않아 미판매 재고가 남았으며, 행사 이후에는 미판매 재고처리에 집중하고 있어 추가 주문수요가 거의 중단된 상황임. - 그 이외 대형마트 및 정육점과 외식 등에서의 수요는 무더위 및 장마 영향으로 부진이 이어져 적체가 늘어나고 있음. ❍ 정육류에서 전지는 급식 납품 이외 수요가 부진이 계속되며 약세를 ..

2024년 7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2024년 7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쇠고기 수입가격은 상승세  ■ 5월 쇠고기 수입가격은 10,858원/kg으로 전월 대비 0.8% 낮지만 전년 동월보다는 5.6% 높은 수준이다. -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2023년 3월부터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고, 등락은 있으나 추세적으로 낮아지던 호주산 쇠고기 수입가격도 2024년에는 상승하고 있다. 수입 쇠고기 가격 동향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7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7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5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 추세적으로는 감소  ■ 2024년 5월 쇠고기 수입량은 37,956톤으로 전월 대비 1.2%,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하였다. - 그러나 2023년 쇠고기 총수입량이 전년 대비 0.3% 적었고, 2024년 1∼5월 수입량도 전년 동기 대비 1.7% 적어 추세적으로는 쇠고기 수입량이 감소하고 있다.  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단위: 톤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전체 쇠고기 수입량 중 미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2년 12월 60.1%에서 2024년 5월 47.9%로 낮아졌다. -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이 2023년 2월 10,089원/kg에서 2024년 5월 13,114원/..

2024년 7월 송아지 가격 동향

□ 2024년 7월 송아지 가격 동향 □ 송아지 가격 및 인공수정률 상승 ; 번식 의향 증가세 진입  ■ 송아지 가격은 2023년에 추세적으로 상승하다가 2024년 들어 상승세가 주춤했으나 최근 다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단위: 천 원/두주 1) 2024년 7월 가격은 1~11일 평균가격임. 2) 2023년 11월은 럼피스킨병으로 가축시장이 폐장되어 송아지 가격이 형성되지 않음. 3)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  - 수송아지 가격은 2024년 2월 이후 등락은 있으나 추세적으로 상승하여 7월(1∼11일) 351만 원이었고, 암송아지 가격은 5월까지 약세를 보이다가 6월에 상승한 후 7월(1∼11일)에도 상승하여 257만 원으로 높아졌다. 송아지 산지가격 동..

2024년 7월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동향

□ 2024년 7월 한우 번식용 암소 두수 동향 □ 번식용 암소 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감소율 하락   ■ 번식용 암소 두수 추정치*는 2022년 이후 전년 동월 대비 감소세에 접어들어 감소폭이 커지다가 2023년 6월 11.7%를 저점으로 하여 다시 감소폭이 줄어드는 추세로, 2024년 5월에는 1.7%로 감소율이 크게 낮아졌다.  번식용 암소 두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주 1) 번식용 암소 두수란, 임신 중이거나(최근 10개월간 인공수정 두수 계로 추산) 분만 후 수정 대기중인 공태 암소(최근 3개월간 송아지 생산두수 계로 추산)를 말함. 2) 굵은 실선은 12개월 이동평균선임.   ■ 암소 평균 도축월령과 평균산차도 2023년 연말부터 추세적으로 상승하여 한우 농가들의 번식의향이 살아나고 있는 것..

2024년 7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2024년 7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 소비촉진행사 영향으로 약상승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1년 추석 이후 하락세에 접어들었고, 2023년 추석에 일시적으로 상승한 후 다시 하락하여 2024년 6월 kg당 14,889원으로 낮아졌다. - 7월(1∼15일)에는 kg당 15,228원으로 약상승하였는데, 대형마트 복날 맞이 한우 할인행사, 지자체별 한우 소비 촉진 행사 등의 영향으로 한우고기 수요가 증가하여 도매가격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고기 도매가격단위: 원/kg주 1) 2024년 7월 도매가격은 1~15일 평균가격임. 2)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그러나 도축 적령기에 도달한 수소 사육두수가 많아(그림 1 참조) 단기간 내에 한우고기 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