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소 1134

2019년 4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2019년 4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 4월 한우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4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291만 8천 마리로 전년(281만 1천 마리)보다 3.8%(10만 7천 마리), 전월보다 1.4%(4만 1천 마리)증가하였다. 한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가임암소 마릿수는 139만 8천 마리로 전년보다 4.4% 증가하였다. o 한육우 사육농장수는 9만 6천 농장으로 전년보다 1.9%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1.9마리(4.8%) 증가한 32.0마리였다. 한우 연령병,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4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4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 도매가격과 송아지 산지가격 전년보다 하락 o 4월(1~23일) 한우 1등급 기준 도매가격은 도축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4.3% 하락한 17,330/지육kg이었다. 한우 1등급 도매가격 동향 o 4월 6~7개월령 송아지 평균가격은 한우 도매가격 하락으로 전년보다 낮았다. 수송아지는 371만원, 암송아지 304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3.6%, 6.0% 하락하였다. 한우 산지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4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19년 4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4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4월(1~23일) 한우 등급판정마릿수는 44,084마리로 작년 동기간(41,224마리)보다 6.9% 증가하였다. 월별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단위 : 마리 o 최근 한우(거세우 기준) 월령별 도축비율은 31개월령 전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1~3월 월령별 도축비율 - 32개월령 이상 도축 비율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감소하여 출하시기가 앞당겨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8년 1~3월 월령별 도축비율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쇠고기 수입 동향

2019년 3월 쇠고기 수입 동향 □ 2월 쇠고기 수입량은 작년 동월과 비슷한 수준 o 쇠고기 수입량이 1월에는 전년 동기보다 27%나 많았으나 2월에는 2만 9,551톤으로 0.2%(72.3톤) 증가하는데 그쳤다(표 5, 그림 8). 표 5. 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 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그림 8. 월별 쇠고기 수입량 동향(통관 기준) - 올 1월에 설 수요로 6만 2,439톤이 수입되어 역대 최고기록을 경신한 이후, 2월에는 작년 동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 2월 미국산 수입량은 1만 5,002톤으로 총수입량의 50.8%를 차지하였고, 호주산 수입량은 1만 2,080톤으로 40.9%를 차지하였다. - 쇠고기 총수입량에서 미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작년 5월에 50..

2019년 3월 송아지 입식동향

2019년 3월 송아지 입식동향 □ 번식의향은 상승세 유지되는 듯 o 인공수정액 판매량이 2월에는 구제역의 영향으로 작년 동월 대비 64% 급감하였으나 직전 3개월(작년 11월부터 올 1월)간의 판매량은 전년 동기보다 약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번식의향은 상승세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표 4). 표 4. 한우 인공수정액 판매량 단위: 천 st주 1)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 2) 2016년 2월, 2017년 2월 및 2018년 4월에는 구제역으로 인하여 인공수정액 판매량이 적었음. - 인공수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도 강보합세를 보이다가 12월과 올 1월에는 75% 대로 상승하였다(그림 5). 그림 5. 한우 인공수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 주 1) 인공수정률 = ‘월..

2019년 3월 송아지 가격동향

2019년 3월 송아지 가격동향 □ 올 들어 송아지 가격은 약상승세 o 송아지 암수 평균가격은 작년 9월 두당 367만원에서 12월 330만원으로 하락하였으나 올해 1월과 2월에는 각각 337만원, 339만원으로 약간 상승하였고, 3월(1∼21일)에도 342만원으로 소폭 상승하였다(표 3). 표 3.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 단위: 천원/두주 1) ( )안은 전년 동월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4월 송아지 가격은 1~7일 평균가격이며, 8일 이후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하여 가축시장이 폐쇄됨. - 암송아지 가격은 작년 6월 두당 325만원에서 12월 306만원으로 하락하였고, 올 1월과 2월에는 각각 310만원, 311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3월(1∼21일)에는 315만원으로 소폭..

2019년 3월 한우고기 수요 동향

2019년 3월 한우고기 수요 동향 □ 한우고기 수요는 작년 하반기 감소 후 회복세 o 한우고기 수요는 2017년 하반기에 증가세로 전환되어 작년 상반기까지 증가세가 지속되다가 8∼9월 추석 시즌에는 감소하였고, 이후 수요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그림 3). 그림 3. 한우 도축두수 증감률과 도매가격 등락률 간의 관계추이 - 작년 상반기에는 도축두수 감소율에 비해 도매가격 상승률이 높아서 한우고기 수요가 증가 국면에 있었다고 판단되나 8∼9월에는 도축두수가 15% 감소한 데 비해 도매가격은 5.2% 상승하는 데 그쳐 한우고기 추석 수요는 상당히 위축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이후에도 도축두수 감소율에 비해 도매가격 상승률이 낮지만 그 차이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보여 한우고기에 대한 수요 위축 현..

2019년 3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3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하락세 o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9월 추석에 1만 8,189원/kg으로 고점을 찍고 하락세가 이어지다가 올 1월 설 영향으로 소폭 상승한 후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표 2, 그림 2). - 도매가격은 작년 9월 1만 8,189원에서 12월 1만 7,275원으로 하락한 후 올 1월 1만 7,638원으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2월에는 1만 7,623원, 3월(1∼21일)에는 1만 7,403원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단위: 원/kg주 1)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4월 도매가격은 1∼20일 평균가격임. 그림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2019년 3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1∼2월 도축두수 작년 동기 대비 4.1% 감소 o 작년 한우 도축두수(판정두수 기준)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다가 11월 이후 감소세가 이어져 올 1-2월에는 전년 동기보다 4.1% 감소하였다(표 1). 표 1. 한우 도축두수 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한우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 추세를 보면 수소 도축두수는 작년 초 이후 불안정한 보합세를 보이고 있고, 암소도축두수는 완만한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그림 1). 그림 1. 한우고기 도축두수 추이(12개월 평균)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2019년 3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3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287만 7천 마리로 전년 280만 1천 마리보다 2.7% 증가하였으나, 전 분기보다는 2.2% 감소하였다. 한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가임암소 마릿수는 전년보다 4.4% 증가한 139만 7천 마리였다. 한우 사육농장수는 9만 1천 농장으로 전년보다 2.0%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1.5마리(4.8%) 증가한 31.5마리였다. 한우 연령병,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3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 도매가격 전년보다 하락 o 3월(1~22일) 한우 1등급 기준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3.2% 하락한 17,351/지육kg이었다. 한우 1등급 도매가격 동향 o 한우 2,3등급 도매가격도 전년 동기간보다 각각 3.1%, 4.4% 하락한 14,391원, 11,869원이었다. 한우 등급별 도매가격과 육우 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쇠고기 수입동향

2019년 3월 쇠고기 수입동향 □ 1월 쇠고기 수입량 증가하였으나, 올해 전체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감소 예상 ❍ 1월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16.1% 증가한 3만 6천 톤이었다. 국가별로는 호주산이 전년보다 20.6%, 미국산은 13.7% 증가하였다. - 수입국별 점유율은 미국산 49.4%, 호주산 43.4%, 뉴질랜드산 3.5% 순으로 나타났다. ❍ 1월 쇠고기 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올해 전체 쇠고기 수입량은 국내 가격하락이 예상됨에 따라 작년보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쇠고기 수입 현황(검역검사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송아지 입식의향

2019년 3월 송아지 입식의향 □ 송아지 입식의향 작년보다 높아 ❍ 표본농가 조사결과, 송아지를 당초 계획보다 늘리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한우 도매가격이 전년보다 하락하였으나, 아직 생산비 이상에서 가격이 형성되어 농가의 번식의향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송아지 생산잠재력 전년보다 증가 ❍ 송아지 입식의향이 전년보다 높아 올해 송아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1월 한우 정액판매량도 전년보다 3.5%(13만 4천 스트로)증가하였다. 한우 정액 판매량 현황 - 올해 송아지 생산잠재력은 전년보다 높아 송아지 생산마릿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1세 미만 송아지 생산 잠재력 추정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3월 한육우 사육동향

2019년 3월 한육우 사육동향 □ 2018년 12월 한육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2018년 12월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309만 마리로 전년 302만 마리보다 2.3%(7만 마리)증가하였으나, 전분기보다는 2.5%(7만 8천 마리)감소하였다. 한우와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이중 한우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2.4% 증가한 294만 1천 마리, 육우사육마릿수는 14만 9천 마리로 0.3% 증가하였다. - 가임암소 마릿수는 전년보다 3.8% 증가한 143만 3천 마리였다. ❍ 한육우 사육농장수는 9만 8천 농장으로 전년보다 2.1%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32.0마리로 1.4마리(4.5%)증가하였다. - 이 중 한우 사육마릿수는 298만 9천 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0.8% 증가하였으나, 육우..

2019년 1~2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1~2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o 1~2월(1~22일) 한우 평균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2.0% 상승한 17,681원/지육kg이었다. 등급 가격(원/지육㎏)전년 대비(%)1++ 20,7641.51+19,1991.5117,540-0.9214,7381.4311,8400.6평균17,6812.01~2월(1~22일) 등급별 가격 - 1++등급 20,764원, 1+등급 19,199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1.5%씩 상승하였다. 연도별 한우 평균 도매가격 추이 - 1등급 도축마릿수가 전년보다 증가하여 0.9% 하락한 17,540원이었다. □ 한우 2등급 이하 도매가격 상승, 송아지 산지가격 강보합세 유지 o 한우 1등급 이상 도매가격이 전년보다 강세를 보이면서 2,3등급 도매가격도..

2019년 1~2월 한우 도축 동향

2019년 1~2월 한우 도축 동향 □ 1~2월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o 1~2월(1~22일) 한우도축마릿수는 13만 2천 마리로 전년보다 406% 감소하였다.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o 최근 한우(거세우 기준) 월령별 도축 비중은 32개월령 전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거세우) 월령별 도축 비율 - 평상시에는 30개월령 전후 출하비중이 많은 것과 비교하면 농가들이 설에 한우를 출하하기 위해 시기를 조절한 것으로 추정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2월 쇠고기 수입 동향

2019년 2월 쇠고기 수입 동향 □ 1월 쇠고기 수입량 6만 2천톤 초과하여 역대 최대 o 1월 쇠고기 수입량은 6만 2,439톤으로 작년 동월 대비 27%나 급증하여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였다(표 4, 그림 5). - 1월 미국산 수입량은 2만 9,433톤으로 총수입량의 47.1%를 차지하였고, 호주산 수입량은 2만 8,834톤으로 46.2%를 차지하였다(그림 5). - 작년 11∼12월에는 호주산 수입 쇠고기에 대한 농산물긴급수입제한조치(ASG)가 발동되어 쇠고기 수입량 중 미국산의 비중이 11월 60.2%, 12월 57.7%로 크게 높아졌고, 올 1월에는 47.1%로 낮아졌으나 호주산(46.2%)보다는 약간 높은 수준이다. 표 4. 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 단위: 톤주: ( ) 안은 전년 ..

2019년 2월 송아지 입식동향

2019년 2월 송아지 입식동향 □ 송아지 입식 수요 약간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번식의향도 여전 o 실제 송아지 가격과 도매가격 기준 송아지 가격(최근 10년간 한우고기 도매가격과 연동한 송아지 가격) 간의 격차가 작년 1월 19%에서 7월에는 30% 이상으로 증가하여 송아지 입식 과열현상이 지속되었다(그림 3). o 이후 실제 송아지 가격과 도매가격 기준 송아지 가격 간의 격차가 줄어들어 올 1월에는 21%로 감소하였으나, 이는 작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므로 송아지 입식 수요는 약간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그림 3). 그림 3. 실제 송아지 가격과 도매가격 기준 송아지 가격 비교 o 2017년 이후 수소 도축두수는 약증가세이지만 암소 도축두수는 완만한 감소 추..

2019년 2월 송아지 가격동향

2019년 2월 송아지 가격동향 □ 송아지 가격도 보합세 o 송아지 암수 평균가격은 작년 9월 두당 367만 원에서 12월 330만 원으로 하락한 후 올 1월에는 337만 원으로 약간 상승하였고, 2월(1∼7일)에도 비슷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표 3, 그림 2). - 암송아지 가격은 작년 6월 두당 325만원에서 12월 306만원으로 하락하였고, 올 1월에는 310만원으로 약간 상승한 후 2월(1∼7일)에도 311만원으로 비슷한 수준이 이어졌다. - 수송아지 가격은 작년 9월 두당 414만원으로 최고치를 달성한 후 하락세를 보여 12월에 354만원으로 낮아졌고, 1월에는 364만원으로 약간 높아졌으며 2월(1∼7일)에는 362만원으로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표 3.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 단위..

2019년 2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2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약보합세 o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9월 1만 8,189원/kg에서 12월 1만 7,275원으로 약세를 보이다가 올 1월에는 설의 영향으로 1만 7,638원으로 상승하였고, 2월(1∼20일)에는 1만 7,519원으로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표 2, 그림 1). 표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단위: 원/kg주 1)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4월 도매가격은 1∼20일 평균가격임. 그림 1.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2월 한우 도축 동향

2019년 2월 한우 도축 동향 □ 설이 빨라 1월 도축두수 전년 동월 대비 21.4% 증가 o 한우 도축두수(판정두수 기준)는 작년 말 감소세를 보였으나 올 1월에는 작년 동월 대비 21.4% 증가하였다(표 1). - 작년 12월에 전년 동월대비 총도축두수가 0.8% 감소하였으나, 올 1월에는 암소와 수소가 각각 23.7%, 19.7% 늘어 총도축두수는 21.4% 증가하였다. - 1월 도축물량이 작년 대비 20% 이상 증가한 것은, 작년 설이 2월 16일이었던데 비해 올해 설은 2월 5일로 빨라 1월에 도축이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표 1. 한우 도축두수 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한우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월 쇠고기 수입 동향

2019년 1월 쇠고기 수입 동향 □ 작년 쇠고기 수입량 40만 톤 돌파 o 작년 쇠고기 총수입량은 41만 5천 톤으로 2001년 수입자유화 이후 40만 톤을 돌파하였으며, 2017년(37만 9천 톤)보다 9.6% 증가하였다(표 6, 그림 7). - 쇠고기 수입량은 2017년 말부터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보이고 있고, 작년 10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36.1%나 증가하였으며, 12월에는 8.4% 감소하였으나 추세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작년 총수입량 중 미국산이 50.7%, 호주산이 42.4%를 점하였다. - 작년 12월에 쇠고기 수입량이 감소한 것은, 1∼11월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이 약 17만 톤으로 2018년 농산물긴급수입제한조치(ASG) 발동기준인 16만 7,327톤을 초과하여 11월에 수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