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 광산구 가축사육 제한구역 지정에 관한 조례
[별표] 광주광역시 남구 가축사육 제한구역
구별 |
동별 |
법 정 동 |
제 한 구 역 |
비고 |
남구 |
양림동 |
양림동 |
전 지 역 |
|
방림1동 |
방림동 |
전 지 역 |
||
방림2동 |
방림동 |
전 지 역 |
||
봉선1동 |
봉선동 |
전 지 역 |
||
봉선2동 |
봉선동 |
전 지 역 |
||
사직동 |
구 동 |
전 지 역 |
||
사 동 |
전 지 역 |
|||
서 동 |
전 지 역 |
|||
월산동 |
월산동 |
전 지 역 |
||
월산4동 |
월산동 |
전 지 역 |
||
월산5동 |
월산동 |
전 지 역 |
||
백운1동 |
백운동 |
전 지 역 |
||
백운2동 |
백운동 |
전 지 역 |
||
주월1동 |
주월동 |
전 지 역 |
||
주월2동 |
주월동 |
전 지 역 |
||
송암동 |
송하동 |
전 지 역 |
||
임암동 |
전 지 역 |
|||
효덕동 |
진월동 |
전 지 역 |
||
덕남동 |
주거지역 및 빛고을 노인건강타운 부지 경계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행암동 |
||||
노대동 |
구별 |
동별 |
법 정 동 |
제 한 구 역 |
비고 |
남구 |
대촌동 |
지석동 |
전 지 역 |
|
양과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이장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원산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압촌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도금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칠석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석정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월성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양촌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승촌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신장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대지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
구소동 |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 |
비고
1. 이 표에서 주거지역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6조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용도지역을 적용한다.
2.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이라 함은 용도지역 경계로부터 외곽으로 직선거리 300m 이내 지역을 말한다.
3. 단, 주거지역 내 전체 세대수가 5세대 이하인 경우에는 동 주거지역 내 건축물의 건축주 및 세대주 전부가 동의한 경우 “주거지역으로부터 300m 이내 지역”의 주거지역을 적용치 아니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관련법규 > 축산관련자치법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광역시 서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조례 (광주광역시 서구 조례 제1033호) (0) | 2014.11.17 |
---|---|
광주광역시 북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조례 [별표 1] 가축사육 제한지역(제2조 관련) (0) | 2014.11.17 |
광주광역시 북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조례 (광주광역시 북구 조례 제1038호) (0) | 2014.11.17 |
광주광역시 동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조례 [별표 1] 가축사육의 제한 구역 (0) | 2014.11.09 |
광주광역시 동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조례 (광주광역시 동구조례 제746호) (0) | 2014.11.09 |
광주광역시 남구 가축분뇨의 관리 및 이용에 관한 조례 (광주광역시 남구조례 제556호) (0) | 2014.11.08 |
광주광역시 광산구 가축사육 제한구역 지정에 관한 조례 [별표 1] 가축의 사육을 제한하는 구역 (0) | 2014.11.07 |
광주광역시 광산구 가축사육 제한구역 지정에 관한 조례 (광주광역시 광산구조례 제1116호) (0) | 2014.11.07 |
광양시 가축사육 제한지역에 관한 조례 [별표 2] 가축사육 제한지역 (제3조제1항제16호 관련) (0) | 2014.11.07 |
광양시 가축사육 제한지역에 관한 조례 [별표 1] 가축 사육 두수 (제2조제2호 관련) (0) | 2014.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