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 1331

2019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한우 도매가격 전년보다 상승, 산지가격은 하락 o 9월(1~23일) 한우 1등급 기준 도매가격은 거세우 도축마릿수 감소로 전년보다 1.0% 상승한 18,989원/지육kg이었다. o 한우 2,3등급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각각 1.1%, 9.5% 하락한 15,262원, 11,774원이었다. - 9월 암소 도축이 증가하여 한우 2등급 이하 가격은 전년보다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우 1등급 도매가격 동향 o 9월 송아지(6~7개월령) 가격은 수송아지 402만원, 암송아지 313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2.3%, 2.9% 하락하였다. 한우 산지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9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19년 9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9월 한우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o9월(1~23일) 한우등급판정마릿수는 전년 동기(76,483마리)보다 45.1% 감소한 41,973마리였다. - 작업일수를 고려한 9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보다 19.3% 감소한 6만 3천 마리로 추정된다. 월별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 8월 한우 1++등급 출현율 전년 수준 o 금년 8월 암소 도축 증가, 거세우 도축 감소로 한우 1++ 등급 출현율이 전년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 2등급 이하 출현율이 전년보다 상승하였다. 월별 한우 등급별 출현율 단위 :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2019년 8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 1~7월 돼지 도매가격 전년 동월보다 하락 • 1~7월 평균 돼지도매가격은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4,426월/kg)보다 12.6% 하락한 3,824원이었다.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평균가격은 4,122원으로 전년 대비 10.4% 하락하였다. • 8월(1~23일) 도매가격도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하락한 kg당 4,055원이었다. 돼지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2019년 8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 1~7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감소 • 1~7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 돼지고기 가격 하락과 국제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29만 9,100톤)보다 5.3% 감소한 28만 3,282톤이었다. - 8월에도(20일까지) 전년 동기보다 감소한 18,431톤이 수입되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2019년 8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 6월 1일 기준, 돼지사육마릿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6월 모돈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한 107만 마리였다. 전체 사육마릿수는 모돈수가 늘어 전년보다 0.1% 증가한 1,132만 마리였다. • 전체 사육농장수는 소규모 농장위주로 줄어 전년 대비 0.6% 감소한 6,160개였다. - 6월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1,837마리로 0.7% 증가하였다.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2019년 8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 1~7월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1~7월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많아 전년(992만 마리)보다 2.8% 증가한 1,019만 마리였다. - 8월(1~23일) 일평균 등급판정마릿수는 전년(5만 8,846마리)보다 증가한 6만 3,312마리였다.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쇠고기 수입동향

2019년 8월 쇠고기 수입동향 □ 1~7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증가 ❍ 1~7월 쇠고기 수입량은 25만 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9.2% 증가하였다. - 상반기 쇠고기 수입량이 증가한 이유는 중국의 쇠고기 수입 증가에 따른 쇠고기 국제가격 상승을 우려한 국내 수입업체가 수입량을 늘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 수입 쇠고기의 국가별 점유율은 미국산이 54.7%, 호주산 38.6%, 뉴질랜드산 3.7% 순이었다. ❍ 7월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월보다 6.4% 증가한 4만 1천 톤이었으며, 8월 중순까지 수입량은 2만 5천 톤으로 전년보다 1.9% 증가하였다. 쇠고기 수입 현황(검역검사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2019년 8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송아지 생산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올해 상반기 송아지 생산마릿수는 전년보다 2.5% 증가한 58만 1천 마리였다. o 2015년 이후 가임암소가 늘면서 송아지 생산마릿수는 증가 추세이다. 월별 한우 송아지 출생신고 마릿수 단위 : 천마리,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2019년 8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 8월 한육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8월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325만 2천 마리로 전년보다 3.7% 증가하였다. - 이 중 한우는 310만 5천 마리로 1세 미만 마릿수와 가임암소가 늘어 전년(299만 2천 마리)보다 3.7%(11만 2천 마리), 전월보다 0.7%(2만 마리)증가하였다. - 가임암소(한우)는 147만 2천 마리로 전년보다 3.6% 증가하였다. - 육우 사육마릿수는 14만 8천 마리로 전년보다 1.8% 증가하였다. o 한육우 사육농장수는 9만 6천 개로 전년보다 2.7%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6.5%(2.1마리)증가한 34.1마리다.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육우 연령별,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

2019년 8월 송아지 가격 동향

2019년 8월 송아지 가격 동향 □ 8월 수송아지 평균가격 전년보다 하락, 암송아지는 상승 o 8월 6~7개월령 암송아지 평균가격은 309만원으로 전년보다 1.4% 상승하였으나, 수송아지는 388만원으로 3.5% 하락하였다. 암송아지 가격이 상승한 것은 농가의 번식의향이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한우 산지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8월 한육우 도매가격 동향 □ 8월 한우 평균도매가격 도축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하락 o 8월(1~23일)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도축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0.3% 하락한 18,227원/지육kg이었다. 한우 1등급 도매가격 동향 o 육우 도매가격 또한 도축이 늘어 전년보다 10.6% 하락한 9,467원/지육kg이었다. 8월(1~23일) 한우 및 육우 도매가격 단위 : 원/지육kg,%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8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19년 8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8월 한우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1~7월 한우도축마릿수는 거세우와 암소 도축이 증가하면서 전년(41만 6천 마리)보다 0.4% 증가한 41만 8천 마리였다. - 암소와 거세우 도축은 전년보다 1.5%씩 증가하였다. o 8월(1~23일) 한우등급판정마릿수는 5만 8천 마리로 추석 시기의 차이로 전년(4만 마리)보다 33.3% 증가하였다. - 같은 기간 육우도축마릿수는 4,867마리로 전년(3,835마리)보다 26.9% 증가하였다.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단위 : 마리 □ 한우1++등급출현율 꾸준히 상승 o 지난해 하반기부터 한우1++등급의 출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는 한우 개량과 농가 사양기술의 향상 때문으로 추정된다. 월별 한우 등급별 출현율 단위 :..

2019년 7월 송아지 입식동향

2019년 7월 송아지 입식동향 □ 송아지 입식의향 지속적으로 상승 o 도매가격과 송아지 가격을 기준으로 추정한 송아지 입식의향을 보면, 2013년 중반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상승세가 지속되다가 작년에는 상승세가 주춤하였으나 올해 다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그림 6). - 올 1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진 결과, 6월 입식의향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하였다(그림 6). 그림 6. 송아지 입식의향 지수 동향 * 여기서 입식의향지수란 지난 10년간의 지육 도매가격과 송아지 가격의 평균 비율에 각 월의 도매가격을 곱하여 산출한 그 달의 ‘기준 송아지 가격’과 실제 송아지 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지수가 1 보다 높으면 입식의향이 지난 10년간의 평균 수준보다 높음을 의미하지만 전년 동기보다 낮아지면 ..

2019년 7월 송아지 가격동향

2019년 7월 송아지 가격동향 □ 송아지 가격 상승세 이어져 7월(1∼30일)에 다시 최고치 경신 o 송아지 암수 평균가격은 작년 9월 두당 367만 원에서 12월에 330만 원으로 하락하였으나 올해는 상승세가 이어져 6월에 379만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7월(1∼30)에 380원으로 다시 최고치를 경신하였다(표 5, 그림 5). - 암송아지 가격은 작년 6월 두당 325만원에서 12월 306만원으로 하락한 후 올 7월(1∼30) 335만원으로 상승하였고, 수송아지 가격은 작년 9월 두당 414만원에서 12월 354만원으로 하락한 후 올 7월(1∼30일) 424만원으로 상승하였다(표 5, 그림 5). - 한편,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2017년 9월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다가 올 3∼4월에 일시적으로..

2019년 7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7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7월 한우고기 도매가격 전월 대비 1.4% 하락, 작년 동월보다는 약간 높아 o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작년 9월 추석에 1만 8,189원/kg으로 고점을 찍고 하락세가 이어지다가 올 1월 설에 소폭 상승한 후 4월까지 다시 완만하게 하락하였고, 5월과 6월에는 상승하였으나 7월에 또 다시 하락세를 보였다(표 4, 그림 3). - 올 1월 kg당 1만 7,638원에서 4월에 1만 7,271원으로 낮아진 후 상승세를 보여 6월에 kg당 1만 7,830원으로 높아졌으나 7월에는 1만 7,529원으로 다시 전월 대비 1.7% 하락하였다(표 4, 그림 3). 표 4. 한우고기 도매가격 단위: 원/kg주 1)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4월 도매..

2019년 7월 한우 도축 동향

2019년 7월 한우 도축 동향 □ 6월 한우 도축두수 작년 동기 대비 1.1% 적어 추세적으로 감소 o 6월 한우 도축두수는 5만 876마리로 작년 동기 대비 1.1% 적었고, 올 1월부터 6월까지의 도축두수 합계도 작년 동기 대비 1.1% 적어 월별 증감은 있으나 추세적으로는 도축두수가 감소하고 있다(표 3). 표 3. 한우 도축두수 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한우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o 6월 암소 도축두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반면 수소 도축두수는 3.0% 적었고, 1∼6월 도축두수도 암소는 작년 동기와 비슷하였으나 수소는 동기 대비 2.2% 감소하여 총 도축두수 감소를 주도하였다(표 3, 그림 2). 그림 2. 한우 도축두수 추이(12..

2019년 7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2019년 7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 6월 한우 총사육두수는 작년 동기 대비 2.5% 증가한 304만 8천두로 증가세 지속 o 한우 총사육두수는 2016년 9월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기 시작한 후 2∼4%의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고, 올 6월에는 304만 8천 두로 작년 동기 대비 2.5% 증가하였다(표 1, 부표). - 6월 암소 사육두수는 194만 6천 두로 작년 동기 대비 3.1% 증가하였고, 수소 사육두수는 110만 2천 두로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하여 2017년 12월 이후 수소에 비해 암소의 증가율이 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표 1). 표 1. 한우 암수별 총사육두수 단위: 천두, %주 1) 이력제 데이터 기준임. 2)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 6월 가임암소 ..

2019년 7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2019년 7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 1~7월 돼지 도매가격 전년 동월보다 하락 • 1~6월 평균 돼지도매가격은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간(4,332원/kg)보다 12.6% 하락한 3,787원이었다.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평균가격은 4,073원으로 전년 대비 9.3% 하락하였다. • 7월(1~23일) 도매가격도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하락한 4,172원이었다. 돼지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7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2019년 7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 상반기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감소 • 1~6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 돼지고기 가격 하락과 국제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간(26만 5,924톤)보다 6.9% 감소한 24만 7,461톤이었다. - 삼겹살은 전년보다 6.0% 감소한 9만 2,803톤, 앞다리는 23.4% 감소한 9만 5,768톤이 수입되었다.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7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2019년 7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 올해 상반기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1~6월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늘어 전년(732마리)보다 1.5% 증가한 743만 7천 마리였다. - 7월(1~23일)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5만 9,635마리)보다 증가한 6만 4,319마리였다.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7월 돼지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2019년 7월 돼지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상반기 돼지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 1~6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사육마릿수가 늘어 전년보다 2.5% 증가한 330만 8,673톤이었다. - 1~6월 모돈용 사료 생산량도 56만 1,341톤으로 전년보다 1.8% 증가하였다.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7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2019년 7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 6월 1일 기준, 돼지사육마릿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6월 모돈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증가한 107만 마리였다. 전체 사육마릿수는 모돈수가 늘어남에 따라 전년보다 0.1% 증가한 1,132만 마리였다. • 8월 등급판정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2~4개월 미만 돼지사육마릿수는 347만 마리로 전년(341만 마리)보다 1.7% 증가하였다. • 전체 사육농장수는 소규모 농장위주로 줄어 전년 대비 0.6% 감소한 6,160호였다. - 6월 가구당 사육마릿수는 1,837마리로 전년보다 0.7% 증가하였다.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7월 쇠고기 수입동향

2019년 7월 쇠고기 수입동향 □ 1~6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증가 ❍ 1~6월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9.8% 증가한 21만 톤이었다. - 중국이 쇠고기 수입량이 증가하면서 쇠고기 국제가격 상승을 우려한 국내 수입업체가 수입량을 늘렸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쇠고기 수입 현황(검역검사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7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2019년 7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 7월 한우 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7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308만 4천 마리로 전년(296만 8천 마리)보다 3.9%(11만 6천 마리), 전월보다 1.2%(3만 6천 마리) 증가하였다. - 가임암소 마릿수는 전년보다 4.1% 증가한 145만 3천 마리였다. 한우와 육우 사육 마릿수 동향 o 한우 사육농장수는 9만 1천 농장으로 전년보다 2.2%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6.2%(2.0마리) 증가한 34.1마리였다.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육우 연령별,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