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 1331

2019년 10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2019년 10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 1~9월 돼지 도매가격 전년보다 하락 • 1~9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4,472원/kg)보다 12.3% 하락한 3,961원이었다. - 제주도를 포하한 전국 평균가격은 4,269원으로 전년 대비 10.0% 하락하였다. • 10월(1~23일) 도매가격은 전년(3,911원)보다 16.7% 하락한 kg당 3,256원이었다. - 돼지 등급판정마릿수는 전년 수준이었으나, 돼지고기 소비 감소로 도매가격이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돼지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2019년 10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 1~9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감소 • 1~9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 돼지고기 가격 하락과 국제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35만 2,737톤)보다 4.9% 감소한 33만 5,338톤이었다. - 10월(20일까지)은 전년 동기보다 감소한 14,225톤이 수입되었다.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돼지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2019년 10월 돼지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1~9월 배합사료 생산량 전년보다 증가 • 1~9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돼지 사육마릿수가 늘어 전년보다 4.8% 증가한 499만 2,065톤이었다. - 모돈용 사료생산량도 83만 7,081톤으로 전년보다 3.9% 증가하였다.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2019년 10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 1~9월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1~9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많아 전년(1,248만 마리)보다 2.8% 증가한 1,282만 마리였다. - 10월(1~23일) 등급판정마릿수는 전년 동기(123만 1,088마리)수준인 123만 4,686마리였다.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2019년 10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 9월 1일 기준, 돼지 사육마릿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국내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 이전인 9월 1일 기준, 돼지 사육마릿수는 자돈 생산이 증가해 전년 동기보다 많은 1,171만 마리였다. • 전체 사육농장수는 소규모 농장이 줄어 전년 대비 1.0% 감소한 6,137호였다. - 9월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1,909마리로 전년보다 1.6% 증가하였다. 단위 : 천 마리, 농장, %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한우 정액판매량 동향

2019년 10월 한우 정액판매량 동향 □ 1~9월 한우 정액판매량 전년보다 증가 o 한우 정액판매량은 157만 6천 스트로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1.6% 증가하였다. - 내년 상반기까지 송아지 생산잠재력이 높아 송아지 생산은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우 정액판매량 현황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한육우용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2019년 10월 한육우용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1~9월 배합사료 상샌량 전년보다 증가 o 1~9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사육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4.5% 많은 352만 8천 톤이었다. 비육우용 사료는 전년보다 3.0%, 가임암소가 늘어 임신우용 사료는 12.8% 증가하였다. 한육우용 배합사료 생산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2019년 10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 10월 한우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1~9월 한우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56만 마리)보다 0.8% 증가한 56만 4천 마리였다. o 10월(1~23일) 한우 등급판정마릿수는 전년 동기(41,276마리)보다 13.7% 증가한 46,936마리였다. 월별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10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2019년 10월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 10월 한우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10월 한우사육마릿수는 307만 9천 마리로 전년(295만 7천 마리)보다 4.1%(12만 2천 마리)증가하였다. - 가임암소 마릿수는 전년보다 3.8% 증가한 148만 3천 마리였다.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o 한우 사육농장수는 9만 농장으로 전년보다 2.7%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7.0%(2.2마리)증가한 34.2마리였다.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우 연령별,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9월 송아지 번식동향

2019년 9월 송아지 번식동향 □ 번식의향 및 암소 사육의향도 하락 o 올해 인공수정액 판매량의 월별 증감폭이 크지만 1∼5월 판매량 합계는 작년 동기 대비 10.3% 많아 번식의향이 추세적으로 상승했던 것으로 보이고, 5월 이후에는 판매량이 감소하고 있어 번식의향 상승세가 주춤한 것으로 판단된다(표 4). 표 4. 한우 인공수정액 판매량 단위: 천 st주 1)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 2) 2016년 2월, 2017년 2월, 2018년 4월 및 2019년 2월에는 구제역으로 인하여 인공수정액 판매량이 적었음. 인공수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도 올해 불안정한 상승세가 이어지다가 6월 이후 하락세에 접어든 모습이다(그림 5). 그림 5. 한우 인공수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주 ..

2019년 9월 송아지 입식동향

2019년 9월 송아지 입식동향 □ 송아지 입식의향 상승세 꺾여 o 도매가격과 송아지 가격을 기준으로 추정한 송아지 입식의향을 보면, 2013년 중반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상승세가 지속되다가 작년에는 상승세가 주춤하였고, 올해 다시 상승세가 이어졌으나 7월 이후 낮아지고 있다(그림 4). - 올 1월부터 6개월 연속 상승세가 이어져 6월 입식의향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하였으나 7월 이후 상승세가 꺾였다(그림 4). 그림 4. 송아지 입식의향 지수 동향 * 여기서 입식의향지수란 지난 10년간의 지육 도매가격과 송아지 가격의 평균 비율에 각 월의 도매가격을 곱하여 산출한 그 달의 ‘기준 송아지 가격’과 실제 송아지 가격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 지수가 1 보다 높으면 입식의향이 지난 10년간의 평균 수준보다 높..

2019년 9월 송아지 가격동향

2019년 9월 송아지 가격동향 □ 송아지 가격 6~7월 최고치 기록 후 하락 o 송아지 암수 평균가격은 올해 상승세가 이어져 6월에 379만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하였고 7월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8월에 354만원으로 하락하였고, 9월(1∼23일)에도 전월과 비슷하지만 작년 동월보다는 2.5% 낮은 수준이다(표 3, 그림 3). 표 3.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 단위: 천원/두주 1) ( )안은 전년 동월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4월 송아지 가격은 1~7일 평균가격이며, 8일 이후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하여 가축시장이 폐쇄됨. - 암송아지 가격은 올 7월 335만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한 후 8월 312만원으로 하락하였고, 수송아지 가격도 7월 424만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한 후 8월..

2019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2019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동향 □ 8월 한우고기 도매가격 전월 대비 2.6% 상승, 9월에도 3.2% 상승세 지속 o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5∼6월에 상승세를 보이다가 7월에는 약간 하락하였으나 8월 이후 다시 상승하여 9월(1∼23일)에는 kg당 1만 8,564원이었다(표 2, 그림 2). 표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단위: 원/kg주 1)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4월 도매가격은 1∼20일 평균가격임. - 7월에는 전월 대비 1.7% 하락하였으나 8월과 9월(1∼23일)에는 전월 대비 각각 2.6%, 3.2%씩 상승하여 작년 동월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표 2, 그림 2). 그림 2.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9월 한우 도축 동향

2019년 9월 한우 도축 동향 □ 조기추석으로 8월 한우 도축두수 작년 동기 대비 34.4% 증가 o ¡ 8월 한우 도축두수는 8만 7,668마리로 작년 동기 대비 34.4% 증가하였고, 그중 암소는 3만 9,364마리, 수소는 4만 8,304마리로 작년 동기 대비 각각 36.7%, 32.7% 증가하였다(표 1). 표 1. 한우 도축두수 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한우 도축두수는 판정두수 기준임. - 올 6월까지 추세적으로 도축이 작년 동기 대비 감소하고 있었으니 7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11.1%, 8월에는 34.4%나 증가하였다(표 1, 그림 1). - 올해 추석(9.12)이 작년(9.24)에 비해 일러 8월에 도축이 집중된 것도 도축 증가의 원인이 되었을 ..

2019년 9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2019년 9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 1~8월 돼지 도매가격 전년보다 하락 • 1~8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전년 동기(4,472원/kg)보다 13.6% 하락한 3,863원이었다. -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 평균가격은 4,173원으로 전년 대비 10.5% 하락하였다. • 9월(1~24일) 도매가격은 전년(4,909원)보다 하락한 kg당 4,776원이었다. - 아프리카 돼지열병 첫 확진 전인 16일까지 평균가격은 4,496원이었으나, 일시이동중지 시행과 추가발생으로 17~24일은 5,274원까지 상승하였다. 돼지 도매가격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9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2019년 9월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 1~8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감소 • 1~8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내 돼지고기 가격하락과 국제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기(32만 9,027톤)보다 4.8% 감소한 31만 3,327톤이었다. - 9월은 (20일까지) 전년 동기보다 감소한 16,397톤이 수입되었다. 돼지고기 수입량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9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2019년 9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 동향 □ 1~8월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1~8월 돼지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많아 전년(1,122만마리)보다 3.3% 증가한 1,158만 마리였다. - 9월(1~23일) 등급판정마릿수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에 따른 이동제한영향으로 전년 동기(111만 5,512마리)보다 감소한 97만 3,748마리였다.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9년 9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2019년 9월 한육우 사육두수 동향 □ 9월 한우사육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o 9월 한우사육마릿수는 308만 4천 마리로 전년(302만마리)보다 3.7%(6만 4천마리), 전분기보다 1.2%(3만 6천마리)증가하였다. - 가임암소마릿수는 전년보다 3.0% 증가한 147만 5천 마리였다. 한우 사육마릿수 동향 o 한우사육농장수는 9만 농장으로 전년보다 2.8% 감소하였으며, 농장당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5.1%(1.6마리)증가한 34.3마리였다. 단위 :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한육우 연령별, 축종별 사육마릿수와 사육농장수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