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동향 1325

2025년 3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 2025년 3월 돼지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전년(1,205만5천 마리) 대비 2.6% 감소한 1,174만 5천 마리  • 모돈 사육 마릿수 전년(97만 마리) 대비 1.5% 감소한 95만 5천 마리 • 자돈 사육 마릿수 전년(404만 3천 마리) 대비 3.2% 감소한 391만 4천 마리  • 육성돈 사육 마릿수 전년(347만 2천 마리) 대비 1.2% 감소한 343만 1천 마리  • 비육돈 사육 마릿수 전년(344만 7천 마리) 대비 3.7% 감소한 332만 마리  2024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 동향단위 : 천마리, %주1) 돼지 사육 마릿수는 해당 월말 기준 이력제 신고자료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19~..

2025년 3월 한우 및 육우 도매가격 동향

□ 2025년 3월 한우 및 육우 도매가격 동향 □ 2025년 1~2월 한우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 1월 한우 도매가격(거세우): 1만8,630원/kg(전년 대비 5.2% 상승)  • 도축 마릿수 감소로 전년 대비 상승  ■ 2월 한우 도매가격(거세우): 1만 8,321원/kg(전년 대비 2.0% 상승)   한우 도매가격(거세우) 추이단위: 원/kg■ 2월 육우 도매가격: 11,111원/kg(전년 대비 4.1% 상승)   육우 전체 평균 도매가격 추이단위: 원/kg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3월 한우 산지가격 동향

□ 2025년 3월 한우 산지가격 동향 □ 2025년 1월 한우 평균 송아지 산지가격 전년 대비 상승     ■ 1월 암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 254만 4천원(전년 대비 4.0% 상승)  *(평년) 285만원/마리, ('24) 245만원→ ('25) 254만원  한우 암송아지 산지가격 추이단위 : 만원■ 1월 수송아지(6~7개월령) 산지가격: 358만 5천원(전년 대비 3.8% 상승)  *(평년) 375만원/마리, (24) 345만원→ (25) 359만원  한우 숫송아지 산지가격 추이단위 : 만원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3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5년 3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5년 1~2월 소고기 수입량 전년 대비 증가   ■ 1월 소고기 수입량: 3만 4천 톤(전년 대비 16.4% 감소)  • 냉장 수입량: 7천 톤(전년 대비 20.1% 감소)  • 냉동 수입량: 2만 7천 톤(전년 대비 15.3% 감소)    쇠고기 수입 동향단위 : 톤 ■ 1월 평균 소고기 수입단가: 7.97달러/kg(전년 대비 4.0% 상승)   ■ 2월 소고기 수입량: 3만 6천 톤(전년 대비 30.9% 증가)   쇠고기 수입 단가 동향단위: 달러/kg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동향

□ 2025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동향 □ 2025년 1~2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2024년 4분기 한우 도축 마릿수: 24만8천 마리(전년 대비 16.6% 증가)  • 수소(거세우 포함) 도축 마릿수 전년 대비 16.9% 증가, 암소 16.2% 증가  • 육우 도축 마릿수: 1만 6천 마리(전년 대비 14.9% 감소)  ■ 1~2월 한우 등급판정 마릿수: 17만 1천 마리(전년 대비 7.0% 감소)    한우 등급 판정 마릿수단위: 마리주 : 1) 2025년 합계는 2월까지 누계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20~2024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3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2025년 3월 송아지 생산마릿수 동향 □ 2024년 1~10월 송아지 생산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2024년 10월 누적 송아지 생산 마릿수: 80만 9천 마리(전년 동기간 대비 1.6% 감소, 평년 대비 8.2% 감소)  • 2023년 한우가격 하락 등에 따른 2024년 번식의향 감소 영향  한우 송아지 출생신고 마릿수 동향단위: 천 마리주 1) 2024년 합계는 10월까지 누계임.    2) 평년은 최근 5개년(2019~2023년)의 최대, 최소를 제외한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3월 한우 및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5년 3월 한우 및 육우 사육마릿수 동향 □ 2024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 한육우 사육 마릿수: 347만 4천 마리(전년 대비 4.8% 감소)  • 한우: 334만 마리(전년 대비 4.6% 감소)    • 한우(가임암소): 164만 4천 마리(전년 대비 2.9% 감소)  • 육우: 13만 4천 마리(전년 대비 8.8% 감소)  ■ 한육우 사육농장수: 8만 2천 농장(전년 대비 6.1% 감소)   ■ 농장당사육 마릿수: 42.4마리(전년 대비 1.4% 증가)    한육우 연령별 사육 마릿수와 사육 농장수단위: 천 마리, 천 농장, %, 마리주 1) 매월 1일 기준이며, 사육 농장수는 한우, 육우 복합사육농장이 포함된 숫자.    2) 2024년 12월은 통계청 「가축동향」..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2개소 일반음식점의 한우고기 총 매입량은 3,524kg으로 전기 대비 39.9%(2,336kg)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6.7%(221kg) 증가하였음. - 구이류 : 3,238kg[전기 대비 38.5%(2031kg) 감소, 전년 대비 9.3%(276kg) 증가] - 정육류 : 286kg[전기 대비 51.6%(305kg) 감소, 전년 대비 16.1%(55kg) 감소]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91.9%(▲2.0% / ▲2.2%), 정육류 8.1%(▼2.0% / ▼2.2%)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마리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2,465kg으로 전기 대비 35.1%(1,332kg) 감소하였음. - 등심 : 715kg[전기 대비 35.1%(386kg) 감소] - 갈비 : 468kg[전기 대비 37.3%(278kg) 감소] - 우둔 : 572kg[전기 대비 34.1..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211마리로 전기 대비 0.3%(7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9.0%(182마리) 증가하였음. -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334마리(전기 대비 3.6% 증가, 전년 대비 32.4% 증가) -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878마리(전기 대비 5.7% 감소, 전년 대비 14.1% 감소) * 25년 2월 상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7.5%(전기 대비 2.1%증가, 전년 대비 점유율이 같음)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판매가격  o ..

2025년 2월 1차(2.1. ~ 2.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5년 2월 1차(2.1. ~ 2.15.)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9,305마리로 전기 대비 18.1%(2,051마리) 감소, 전년 대비 16.1%(1,291마리) 증가하였음.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7,432마리[전기 대비 19.8%(1,834마리) 감소, 전년 대비 14.0%(911마리) 증가]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1,873마리[전기 대비 10.4%(217마리) 감소, 전년 대비 25.5%(380마리) 증가]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전년 대비 가격 추이는 나쁘지 않으나, 상반기에는 별다른 가격 상승 요인이 없기에 한우 가격은 계속 하..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가격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가격 동향 □ 산지가격  (단위 : 천원/마리, %)주: 평년은 2020년∼2024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자료 □ 경락가격 o 조사 기간 평균 지육가격은 17,627원/kg으로 전기 대비 5.5%(922원/kg) 상승하였고, 전년 대비 6.8%(1,127원/kg) 상승함. 주: 1) 평년은 2020년∼2024년 최대, 최소를 뺀 평균.    2) 전국은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평균에는 D등급 가격 제외.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수급 동향

□ 2025년 2월 1차(2.1. ~ 2.15.) 한우 수급 동향 □ 도축 동향 o 조사 기간 등급판정 마릿수는 29,450마리로 전기 대비 27.8%(11,320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9.1%(2,455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톤, %) □ 도매시장별 상장동향 o 상장 마릿수는 17,777마리로 전기 대비 25.5%(6,083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15.7%(2,414마리) 증가하였음.  (단위 : 마리, %)주 : 전국에는 호남권, 제주권도 포함. 합계에는 D등급 포함.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가격 동향 □ 쇠고기 평균 수입가격 상승세 지속되어 kg당 1만 3천 원 돌파  ■ 쇠고기 평균 수입가격은 2023년부터 추세적으로 상승하여 2024년 12월 kg당 1만 3,335원으로 최고 수준을 기록하였다.- 12월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1만 5,391원/kg으로 전월 대비 6.4% 상승하였고, 호주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1만 320원/kg으로 전월 대비 4.4% 추가 상승하였다. ■ 미국산 쇠고기 수입가격은 미국 내 가뭄,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고, 11∼12월에는 ASG 발동으로 호주산 수입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 미국 북미, 남미 등 목초지 가뭄으로 소 사육두수가 감소하여 쇠고기 수출량이 감소하고 있고, 원/달러 환율도 상승세가..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5년 2월 쇠고기 수입량 동향  □ 2024년 12월 쇠고기 수입량 전년 동월 대비 20.8% 감소  ■ 쇠고기 수입량은 2024년 9월과 10월에 전년 동월 대비 각각 4.8%, 19% 증가하였으나 11월에 1.2% 감소하였고, 12월에는 20.8% 급감하였다. 월별 쇠고기 총수입량(통관 기준)단위: 톤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11월 호주산 쇠고기에 대한 농산물긴급수입제한조치(ASG)*가 발동되어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이 전년 동월 대비 17.5% 감소하였고, 12월에는 45% 감소하였다.* 한-호주 자유무역협정(FTA)상, 한-호주 FTA 발효 첫 해에 호주산 쇠고기 수입량이 15만 4,584t (2009~2011년 평균수입량의 110%)을 넘으면 농산물긴급수입제한조치..

2025년 2월 암소 사육 동향

□ 2025년 2월 암소 사육 동향 □ 암소 사육 의향 보합세, 번식 의향 느린 회복세 지속  ■ 암소 도축률이 2022년 이후 상승하다가 2024년에는 상승세가 멈추어 암소 사육 의향이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으나 한우고기 도매가격 및 송아지 가격 상승세가 주춤함에 따라 보합세에 그치고 있다. - 한편, 인공수정률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20%p 이상 하락하였으나 2024년에는 추세적으로 상승하여 송아지 번식 의향이 느리게 회복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암소 도축률 및 인공수정률 추이주 1) 인공수정률 = ‘월간 인공수정두수/월초 1세 이상 암소두수’의 12개월 평균치에 12를 곱하여 연간으로 환산 2) 암소 도축률 = ‘월간 암소 도축두수/월초 2세 이상 암소 두수의 12개월 평균치에 12를 곱하..

2025년 2월 송아지 가격 동향

□ 2025년 2월 송아지 가격 동향 □ 1월 암송아지 가격 전월 대비 4.2% 상승, 수송아지 가격은 2.2% 하락  ■ 송아지 가격이 추세적으로 상승하다가 2024년 11월 이후 전월 대비 하락하고 있으나 하락 폭이 크지 않고, 전년 동월보다는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우 송아지 가격(6∼7개월령)단위: 천 원/두주: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암송아지 가격은 2024년 12월 244만 원에서 2025년 1월 254만 원으로 상승하여 전년 동월 대비 4.0% 높고, 수송아지 가격은 동기간 366만 원에서 359만 원으로 하락하였으나 전년 동월보다는 3.8% 높은 수준이다. ■ 계절적 영향으로 송아지 입식 수요가 감소하면서 송아지 가격 상승세가 주춤한 상태지만 향후 송아지 가격..

2025년 2월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 2025년 2월 한우고기 도매가격 동향 □ 한우고기 도매가격 1만 7천 원 중반대 보합세, 도축두수 고려하면 수요는 증가  ■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2024년 11월과 12월에 각각 17,494원/kg, 17,842원/kg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나 2025년 1월에는 17,608원/kg으로 낮아졌고, 한우고기 도매가격단위: 원/kg주: ( ) 안은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임.   ■ 2월(1∼11일)에도 17,608원/kg으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이다. 명절 직전(4주간) 한우 도축두수 및 도매가격단위: 두, 원/kg- 1월에는 설 직전 4주간 한우 도축두수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한 데다 1++등급 출현율이 전월 대비 낮아져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약세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우고기 도매가격 ..

2025년 2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2025년 2월 한우 도축두수 동향 □ 설 직전 4주간 한우 도축두수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  ■ 2025년 1월 한우 도축두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8% 감소하였는데, 이는 설(1.29)이 일러 명절에 대비한 도축의 일부가 12월에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한우 도축두수단위: 백 두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도축 두수는 판정 두수 기준임.  ■ 2025년 설 연휴 직전 4주간 한우 도축두수 합계는 전년 동기 대비 12.4%, 평년 대비 16% 증가하였다. 명절 직전(4주간) 한우 도축두수단위: 두주: 명절 연휴 시작일을 기준으로 직전 4주간 도축두수 합계임. - 한우 도축두수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2023년 추석을 기점으로 낮아지는 추세로, 2025..

2025년 2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5년 2월 송아지 생산두수 동향 □ 2024년 4분기 송아지 생산두수 전년 동기 대비 4.1% 증가 추정  ■ 송아지 생산두수는 2022년 4분기 이후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가 지속되었고, 2024년에는 1분기 9.8%, 2분기 7.3%, 3분기 4.9%로 감소 폭이 줄다가 4분기에는 4.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아지 생산두수 추이단위: 백 두, %주 1)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2) 1분기는 전년 12월~2월, 2분기 3~5월, 3분기 6∼8월, 4분기 9∼11월이고, 연간 계는 전년 12월~당해 11월 합계임. 3) 올 4분기 생산두수의 통계청 잠정치는 13만 8,900두로, 과거 통계청 잠정치와 확정치의 오차를 반영하여 이를 조정함.  - 2024년 4분기에는 전..

2025년 2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 2025년 2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 2024년 12월 한우 총사육두수 전년 동월 대비 3.9% 감소 추정  ■ 한우 총사육두수는 2016년 9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하다가 2023년 12월에 감소세로 전환된 후 점차 감소 폭이 커져 2024년 9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4.2% 감소하였고, 12월에는 3.9%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우 암수별 총사육두수단위: 천 두, %주 1) 2024년 12월 1일 기준 통계청 잠정치는 암소 211만 두, 수소 123만 1천 두였으나, 출생신고 지연으로 과거 12월의 1세 미만 확정치가 잠정치보다 암수 각각 2.8%, 3.1% 많았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1세 미만 두수 조정 후 총사육두수를 추정함. 2)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임.  - 암..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전문음식점 동향 □ 매입량  o (사)한국외식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한우전문식당 22개소 일반음식점의 한우고기 총 매입량은 5,860kg으로 전기 대비 6.7%(369kg) 증가하였고, 전년 대비 80.9%(2,621kg) 증가하였음. - 구이류 : 5,269kg[전기 대비 6.1%(301kg) 증가, 전년 대비 84.7%(2,417kg) 증가] - 정육류 : 591kg[전기 대비 13.0%(68kg) 증가, 전년 대비 52.7%(204kg) 증가] * 품목별 비중(전기 대비 / 전년 대비) : 구이류 89.9%(▼0.6% / ▲1.8%), 정육류 10.1%(▲0.6% / ▼1.8%)  (단위 : kg, %) 주 : ( )안은 비율..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판매장 동향 □ 매입량  o (사)축산기업중앙회에서 서울·수도권 지역 조사대상 정육점 30개소 중 9개소가 지육으로 매입하여 직접 발골정형하여 판매하고 있으며, 21개소는 부분육으로 매입하여 판매하고 있음. * 9개 업소의 지육 매입물량은 6.5마리로 업소당 평균 0.72마리를 매입하여 전기와 동일하였고 전년 0.88마리(16개소)에 비해서는 소폭 감소함. o 그 외 부분육으로만 거래하는 21개 업소의 매입량은 3,797kg으로 전기 대비 29.9%(874kg) 증가하였음. - 등심 : 1,101kg[전기 대비 22.5%(202kg) 증가] - 갈비 : 746kg[전기 대비 66.1%(297kg) 증가] - 우둔 : 868kg[전기 대비 18...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2025년 1월 2차(1.16. ~ 1.31.) 한우 식육포장처리업 동향 □ 한우 가공마릿수  o (사)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서 10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 기간의 가공마릿수는 2,218마리로 전기 대비 45.6%(1,862마리) 감소하였고, 전년 대비 47.6%(2,017마리) 감소하였음. -생축을 구매하여 도축·가공한 마릿수 : 1,287마리(전기 대비 41.5% 감소, 전년 대비 49.5% 감소) -지육을 구매하여 가공한 마릿수 : 931마리(전기 대비 50.5% 감소, 전년 대비 44.8% 감소) * 25년 1월 하순 한우 전체 등급판정 마릿수에서 조사대상 업체 10개소가 차지하는 비중 : 5.4%(전기 대비 0.6%감소, 전년 대비 0.4% 감소)  (단위 : 마리, %) □ 부위별 수급 및..

2025년 1월 2차(1.16. ~ 1.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2025년 1월 2차(1.16. ~ 1.31.) 농협 4대 공판장 한우 수요 동향 및 전망 □ 거래인별 경락 현황 - 농협 4대 공판장 경락 마릿수는 11,356마리로 전기 대비 39.8%(7,520마리) 감소, 전년 대비 40.9%(7,872마리) 감소하였음. - 중도매인 한우 경락 마릿수 : 9,266마리[전기 대비 38.5%(5,799마리) 감소, 전년 대비 41.8%(6,657마리) 감소] - 매참인 한우 경락 마릿수 : 2,090마리[전기 대비 45.2%(1,721마리) 감소, 전년 대비 36.8%(1,215마리) 감소]  (단위 : 명, 마리, %) □ 공판장별 거래인별 수요 동향 의견 o 중도매인 - 설 명절 기간이 길어 거래 두수가 감소하였고, 명절이 다가올수록 가격이 하락하였음.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