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 630

2024년 추석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2024년 추석 성수기 한우 수급 전망  □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간, 9.2.~9.15.)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추석 성수기 한우 도축 마릿수는 도축 가능 개체수 증가로 전년 대비 5.2% 내외 증가 전망  * (평년) 4만 7천 마리, (’23) 5만 5천 → (24) 5만8천 마리 내외  ■ 추석 성수기 한우 거세우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11.2% 내외 하락 전망  * (평년) 21,403원/kg, (23) 20,274원 → (24) 18,000원 내외  2024년 추석 성수기 한우 도축 마릿수 및 도매가격 전망  단위: 천마리, 원/지육kg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4년 9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거세우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3분기 거세우 도매가격은 17,500원 내외 전망  ■ 2024년 도매가격은 거세우 중심 출하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경기 상황 및 한우 소비촉진 행사 등으로 수요 변화가 있을 경우 가격은 조정될 수 있음. 한우 도매가격 전망단위: 원/kg주 1) 1분기는 1∼3월, 2분기 4∼6월, 3분기 7∼9월, 4분기 10∼12월임.    2) 한우 도매가격은 거세우 평균임.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4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도축 마릿수 2024년 이후 2028년까지 감소세 전망  ■ 2025년 한우 도축 마릿수: 93만 2천 마리 전망(2024년 대비 4.4% 감소)  ← 2024년보다 감소하나 90만 마리 이상으로 공급 과잉 상황 여전  ■ 2026년 한우 도축 마릿수: 86만 3천 마리 전망(2025년 대비 7.4% 감소)  ← 2023~2024년 송아지 및 입식 마릿수 감소 영향 한우 사육 및 도축 마릿수 전망단위: 천마리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9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2024년 도축 마릿수: 97만 5천 마리(전년 대비 4.9% 증가) 전망  • 2024년 3분기: 27만 8천 마리(전년 대비 3.4% 증가)  → 거세우 중심 출하 대기 물량 증가 영향   한우 도축 마릿수 전망단위: 천 마리, %주 1) 1분기는 1∼3월, 2분기 4∼6월, 3분기 7∼9월, 4분기 10∼12월임.    2) 한우 도축 마릿수는 등급판정 마릿수 기준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4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사육 마릿수 감소세 지속 전망  ■ 2025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18만 5천 마리(2024년 대비 4.4% 감소) • 가임암소 162만 7천 마리(2.4% 감소), 1세 미만 82만 7천 마리(2.5% 감소)  → 2024년 번식의향에 따라 감소 폭 제한 될 수 있음. ■ 2026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11만 3천 마리(2025년 대비 2.3% 감소)   • 가임암소 161만 3천 마리(0.9% 감소), 1세 미만 82만 6천 마리(0.1% 감소)  → 암소 도축 및 송아지 생산 마릿수 상황 등에 따라 사육 마릿수 감소폭 제한 및 반등 가능성 존재  한우 사육 마릿수 전망단위: 천 마리, %주: 증감률은 해당 연도의 이전 연도 ..

2024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9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전망  ■ 9월 한우 사육 마릿수: 343만 6천 마리 전망(전년 대비 4.6% 감소)  • 가임암소 165만 8천 마리(전년 대비 3.0% 감소), 1세 미만 86만 4천 마리(9.2% 감소)  ■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33만1천마리 전망(전년 대비 4.9% 감소)  • 가임암소 166만 6천 마리(1.6% 감소), 1세 미만 84만 8천 마리(8.9% 감소) - 2024년 상반기 도축 증가 및 1세 미만 사육 마릿수 감소 영향  한우 사육 마릿수 전망단위: 천 마리,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8월 20일~2024년 9월 20일 한우시황

2024년 8월 20일~2024년 9월 20일 한우시황 급식시장·추석 명절 수요 겨냥 도축두수 증가 송아지 시세, 입식 수요 늘어나 보합 내지 약강세   2024년 7월 한우 시세는 고금리, 고물가로 인하여 외식 수요 위축 및 가정내 수요 위축과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군 급식, 학교급식, 여름철 피서객 증가, 소프라이즈 대한민국 한우세일, 유통업체 추석선물세트 준비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로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성별로 전월대비 경락가격 증감율을 보면 암소 103.5%, 수소 99.7%, 거세 102.8%로 전월대비 암소와 거세는 약강세를 보였으나, 수소는 보합세를 보였다. 육질등급별로 보면 한우 거세의 1등급 이상은 약강세, 2등급은 보합세, 3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2024년 7월 20일~2024년 8월 20일 한우시황

2024년 7월 20일~2024년 8월 20일 한우시황  도축두수 증가…추석 물량 준비 수요도 늘어나 송아지 공급량 감소…입식 수요는 증가   2024년 6월 한우 시세는 군 급식, 학교급식, 가족단위 행락객 증가, 여름맞이 온라인 한우 할인판매 행사 등의 수요 증가와 도축두수 감소로 인한 공급량 감소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고물가로 인하여 외식 수요 위축 및 가정내 수요 위축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성별로 전월대비 경락가격 증감율을 보면 암소 98.1%, 소 96.5%, 거세 99.3%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육질등급별로 보면 한우 거세의 1++는 약강세, 1+는 보합세를 보였으나, 그 외의 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암소는 전 등급이 약보합세를 보였다. 6개월령~7개월..

2024년 6월 20일~2024년 7월 20일 한우시황

2024년 6월 20일~2024년 7월 20일 한우시황  쇠고기 도축두수 감소…수입량도 줄어 온라인 할인판매·행락철 등 영향 수요는 증가  2024년 5월 한우 시세는 군 급식, 학교급식, 봄철 행락객 증가, 한우 할인 판매행사, 5월 가정의 달 소비 특수에도 불구하고, 고금리, 고물가로 인하여 외식 수요 위축 및 가정내 수요 위축,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성별로 전월대비 경락가격 증감율을 보면 암소 95.0%, 수소 99.6%, 거세 96.5%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육질등급별로 보면 한우 거세와 암소의 전 등급이 약보합세를 보였다.  6개월령~7개월령 송아지 산지시세는 전월대비 거래두수 감소와 입식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암송아지는 약강세, 수..

2024년 6월 돼지 중장기 전망

□ 2024년 6월 돼지 중장기 전망 □ 2024년 평균 돼지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2024년 평균 돼지 사육 마릿수 전년(1,200만 마리) 대비 증가한 1,200만~1,204만 마리 전망  • 평균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97만 1천 마리) 수준인 95만~99만마리 전망  ■ 2024년 누적 돼지 도축 마릿수는 전년(1,875만 마리) 대비 소폭 증가한 1,870만~1,898만 마리 전망  •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40만 톤) 대비 증가한 41만~45만톤 전망  - 상반기 수입량 증가했으나 하반기 감소 전망  • ASF 등 질병 발생 상황에 따라 도축 마릿수 변동 가능  ■ 2024년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전년(5,134원/kg) 대비 하락한 4,800~5,000원/kg 전망  20..

2024년 6월 돼지 단기전망

□ 2024년 6월 돼지 단기전망 □ 6월 돼지 도매가격 전년 대비 소폭 하락 전망  ■ 6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1,203만 마리) 대비 증가한 1,210만~1,214만마리 전망  •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97만 3천 마리) 수준인 95만~99만 마리 전망  ■ 6월 돼지 도축 마릿수는 전년(150만 마리) 대비 감소한 133만~137만 마리 전망  • 작업 일수 전년 대비 2일 감소  •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4만 1천 톤) 대비 증가한 4만2천~4만 4천 톤 전망  ■ 6월 돼지 도매가격은 전년(5,571원) 대비 소폭 하락한 5,400~5,600원/kg 전망  • 총 도축 마릿수는 감소하나 일평균 도축 마릿수는 전년 수준  • 누적 도축 마릿수 및 수입량 증가로 재고 증가하여 총 공급량..

2024년 6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4년 6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거세우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2분기 한우 거세우 도매가격은 17,000~17,500원/kg 전망  ■ 2024년 도매가격은 거세우 중심 출하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암소 도축 의향에 따라 가격 하락폭은 확대될 가능성  한우 도매가격 전망단위: 원/kg주 1) 1분기는 1∼3월, 2분기 4∼6월, 3분기 7∼9월, 4분기 10∼12월임.    2) 한우 도매가격은 거세우 평균임.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4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도축 마릿수 2025년부터 감소 전망  ■ 2025년 한우 도축 마릿수: 93만 2천 마리(2024년 대비 4.4% 감소) 전망  • 2024년보다 감소하나 공급 과잉 상황 여전  ■ 2026년 한우 도축 마릿수: 85만 6천 마리(2025년 대비 8.2% 감소) 전망 • 2023~2024년 송아지 및 입식 마릿수 감소   한우 사육 및 도축 마릿수 전망단위: 천마리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6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도축 마릿수는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2024년 도축 마릿수: 97만 5천 마리(전년 대비 4.9% 증가) 전망  • 2024년 2분기 22만 9천 마리(전년 대비 5.1% 증가)  - 거세우 출하 대기 물량 증가 영향  한우 도축 마릿수 전망단위: 천 마리, %주 1) 1분기는 1∼3월, 2분기 4∼6월, 3분기 7∼9월, 4분기 10∼12월임.    2) 한우 도축 마릿수는 등급판정 마릿수 기준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4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사육 마릿수 감소세 지속 전망  ■ 2025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19만 마리(2024년 대비 4.3% 감소)  • 가임암소 163만3천 마리(2.3% 감소), 1세 미만 83만1천마리(1.5% 감소)  - 2024년 한우 가격 약세에 따른 번식의향 감소 전망  ■ 2026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12만 7천 마리(2025년 대비 2.0% 감소)  • 가임암소 162만 1천마리(0.8% 감소), 1세 미만 82만 9천 마리(0.3% 감소)  한우 사육 마릿수 전망단위: 천 마리, %주: 증감률은 해당 연도의 이전 연도 동기 대비 변화율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6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전망  ■ 6월 한우 사육 마릿수: 347만 마리(전년 대비 3.5% 감소) 전망  • 가임암소 164만 6천 마리(1.2% 감소), 1세 미만 88만 2천 마리(9.0% 감소)  ■ 12월 한우 사육마릿수: 333만 2천 마리(전년 대비 4.2% 감소) 전망  • 가임암소 167만 2천 마리(1.3% 감소), 1세 미만 84만 4천 마리(6.6% 감소) - 암소 감소 및 사육의향 하락에 따른 1세 미만 사육 마릿수 감소 영향 한우 사육 마릿수 전망단위: 천 마리,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5월 20일~2024년 6월 20일 한우시황

2024년 5월 20일~2024년 6월 20일 한우시황 도축두수 감소로 공급량 줄어…수요는 증가 거세우 경락가·송아지 산지가 보합 내지 약강세 2024년 4월 한우 시세는 고금리, 고물가로 인하여 외식 수요 위축 및 가정내 수요 위축,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학교 급식, 봄철 행락객 증가, 봄맞이 한우 온라인 한우장터 할인 판매 행사, 5월 가정의 달 소비 특수를 준비로 인한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다. 성별로 전월대비 경락가격 증감율을 보면 암소 102.5%, 수소 108.5%, 거세 100.7%로 전월대비 약강세를 보였으며, 육질등급별로 보면 한우 거세는 육질등급 1++와 2등급, 3등급은 약강세를 보였으나, 1+는 보합세, 1등급은 약보합세를 보였..

2024년 4월 20일~2024년 5월 20일 한우시황

2024년 4월 20일~2024년 5월 20일 한우시황 가정의 달 특수로 공급량 늘고 수요도 증가 거세우 경락가 약강세…산지 송아지 공급량 감소 2024년 3월 한우 시세는 학교 개학으로 인한 학교 급식 재개와 봄철 행락객 증가, 한우 할인 판매 행사로 인한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도축두수 증가로 인한 공급량 증가와 고금리, 고물가로 인하여 외식 수요 위축 및 가정내 수요 위축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약보합세를 보였다. 성별로 보면 암소, 수소, 거세 모두 약보합세를 보였으며, 육질등급별로 보면 거세는 1+등급 이상은 약보합세를 보였다. 1등급 이하는 약강세를 보였으며, 암소는 1등급 이상은 약보합세, 2등급은 보합세, 3등급은 약강세를 보였다. 6개월령~7개월령 송아지 산지시세는 암송아지는 전월대비 거래..

2024년 3월 20일~2024년 4월 20일 한우시황

2024년 3월 20일~2024년 4월 20일 한우시황 할인행사·가정의 달 특수 준비 등 인한 수요 증가 외식·가정 소비는 위축…도매시장·산지가 보합세 예상 2024년 2월 한우 시세는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외식 수요 감소와 가정 내 수요 감소, 설 명절 이후 소비 비수기 등의 영향으로 인한 수요 감소와 군 급식, 설 명절 소비 특수, 한우자조금 설맞이 소프라이즈 대한민국 한우세일 행사, 3월 학교 개학에 따른 학교급식 준비 등으로 인한 수요 증가의 영향으로 전월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성별로 보면 암소는 보합세, 수소는 약보합세를 보였으나, 거세는 약강세를 보였다. 6개월령~7개월령 송아지 산지시세는 거래두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입식 수요 감소 영향으로 암송아지와 수송아지 모두 약보합세를 보였다. 쇠고..

2024년 3월 돼지 도매가격 단기전망

□ 2024년 3월 돼지 도매가격 단기전망 □ 2024년 3월 돼지 도매가격 전년 수준 전망 ■ 3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1,177만 5천 마리) 수준인 1,150만~1,190만 마리 전망 •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96만 9천 마리) 수준인 95만~99만 마리 전망 ■ 3월 돼지 도축 마릿수는 작업 일수 감소로 전년(169만 5천 마리) 대비 감소한 156만 ~160만 마리 전망 • 돼지고기 수입량은 전년(3만 9천 톤) 대비 감소한 3만 8천~4만 톤 전망 ■ 3월 돼지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감소하지만, 재고 포함 국내산 공급량이 전년과 비슷하여 전년(4,712원/kg) 수준인 4,600~4,800원/kg 전망 • 1~2월 누적 도축 마릿수 증가로 이월 재고량 전년 대비 증가 예상 3월 돼지..

2024년 3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4년 3월 한우 도매가격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도매가격(거세우)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2024년 1분기 거세우 도매가격은 17,000~18,000원 전망 ■ 2024년 도매가격은 거세우 중심 출하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하락 전망 * 암소 도축 비중에 따라 가격 하락폭은 변동될 가능성 한우 도매가격 전망 단위: 원/kg 주 1) 1분기는 1∼3월, 2분기 4∼6월, 3분기 7∼9월, 4분기 10∼12월임. 2) 한우 도매가격은 거세우 평균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2024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중장기 전망 □ 한우 도축 마릿수 2025년 이후 감소 전망 ■ 2025년 한우 도축 마릿수: 93만3천 마리(2024년 대비 4.1% 감소) 전망 • 2024년보다 감소하나 공급 과잉 우려 ■ 2026년 한우 도축 마릿수: 85만 5천 마리(2025년 대비 8.4% 감소) 전망 • 2023~2024년 송아지 및 입식 마릿수 감소 영향 * 암소도축 비중에 따라 도축물량 확대 가능성 한우 사육 및 도축 마릿수 전망 단위: 천마리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3월 한우 도축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도축 마릿수는 거세우 중심 출하 대기 물량 증가로 전년 대비 증가 전망 ■ 2024년 도축 마릿수: 97만 3천 마리 전망(전년 대비 4.7% 증가) • 2024년 1분기: 24만 9천 마리(전년 대비 8.4% 증가) - 거세우 출하 대기 물량 증가 영향 한우 도축 마릿수 전망 단위: 천 마리, % 주 1) 1분기는 1∼3월, 2분기 4∼6월, 3분기 7∼9월, 4분기 10∼12월임. 2) 한우 도축 마릿수는 등급판정 마릿수 기준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기 전망

□ 2024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중기 전망 □ 한우 사육마릿수 감소세 지속 전망 ■ 2025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19만 7천 마리(2024년 대비 4.5% 감소) • 가임암소 164만2천 마리(1.9% 감소), 1세 미만 83만 4천 마리(1.7% 감소) - 2024년 한우 가격 약세로 정액 판매량 감소해 1세 미만 마릿수 감소 전망 ■ 2026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13만 3천 마리(2025년 대비 2.0% 감소) • 가임암소 163만 4천 마리(0.5% 감소), 1세 미만 82만 8천 마리(0.7% 감소) 한우 사육 마릿수 전망 단위: 천 마리, % 주: 증감률은 해당 연도의 이전 연도 동기 대비 변화율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24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3월 한우 사육마릿수 단기 전망 □ 2024년 한우 사육 마릿수 전년 대비 감소 전망 ■ 2024년 3월 한우 사육 마릿수: 339만 6천 마리(전년 대비 2.1% 감소) 전망 • 가임암소 165만 3천 마리(전년 수준), 1세 미만 91만 6천 마리(8.4% 감소) ■ 2024년 12월 한우 사육 마릿수: 334만 7천 마리(전년 대비 3.7% 감소) 전망 • 가임암소 167만 4천 마리(1.3% 감소), 1세 미만 84만 8천 마리(6.2% 감소) - 암소 감소 및 사육의향 하락에 따른 1세 미만 사육 마릿수 감소 영향 한우 사육 마릿수 전망 단위: 천 마리, %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