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축산물 월간 전망/돼지 260

2015년 5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5년 5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3월 사육 마릿수 전년보다 2.8% 증가 모돈수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14년부터 이어진 돼지 가격 호조로 후보돈 입식이 증가하여 ’15년 3월 모돈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91만 마리)보다 3.3% 증가한 94만 마리였다(통계청). • 모돈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로 3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 동월(970만 마리)보다 2.8% 증가한 997만 마리였다. 사육 가구수 및 가구당 사육 마릿수 동향 • 돼지 사육 가구수는 전년(5,441호)보다 9.1% 감소한 4,946호로 나타났다. 가구당 사육 마릿수는 전년(1,782마리) 보다 13.1% 증가한 2,061마리였다. □ 3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3.6% 증가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

2015년 4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5년 4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5∼9월 국내 생산량 전년보다 6.3% 증가 전망 돼지고기 생산량 전망 단위: 천 톤, %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합계 2015년(A) 71.8 70.1 65.2 66.5 69.8 70.2 413.9 2014년(B) 73.1 66.4 59.7 64.9 66.2 64.3 394.6 평년(C) 64.3 63.2 58.6 60.7 62.1 61.4 370.3 (A)/(B) 증감률 -1.8 5.6 9.2 2.5 5.4 9.2 4.8 (A)/(C) 증감률 11.7 10.9 11.3 9.6 12.4 14.3 11.7 • 4∼7월 출하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14년 12월∼’15년 2월에 생산된 20kg 이하 자돈 사료와 육성돈 사료의 합은 전년 동기보다 3.7% 증가..

2015년 4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5년 4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4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 동월 수준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 돼지 도축 마릿수는 증가하였으나, 경락 마릿수 감소(8.7%)와 3.3day로 수요가 증가해 3월 24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 수준(4,653원)인 탕박 기준 kg당 4,657원이었다. • 국내 생산량은 감소하나, 소비 심리 위축, AI 대체효과 축소로 4월 지육가격은 전년(4,692원) 대비 약보합세인 탕박 기준 kg당 4,500∼4,700원으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2015년 4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5년 4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3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2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16만 3,753마리로 전년 동월(133만 4,539천 마리)보다 12.8% 감소하였다. • 3월 24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6만 5,366마리로 전년 동월(6만 2,882마리)보다 4.0% 증가하였다. 이는 평년(6만 720마리)보다 7.7% 많은 수준이다. □ 3월 도매시장 출하비중 전년보다 감소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 2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2만 마리로 전년 동월 13만 6천 마리보다 11.8% 감소하였다. • 3월 24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6,020마리로 전년 동월(6,592마리)보다 8.7%, 평년(6,306마리)보..

2015년 4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5년 4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3월 사육 마릿수 990∼1,010만 마리 전망 모돈수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14년 후보돈 판매가 14만 8천 마리로 전년보다 12.8% 증가하였고(한국종축개량협회) 모돈 도태 마릿수는 전년 대비 8.2% 감소한 32만 1천 마리였다(축산물품질평가원). • ’14년 후보돈 입식 증가와 모돈 도태 감소로 3월 모돈수는 전년보다 2∼4% 증가한 93∼95만 마리로 전망된다. • 모돈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로 3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2∼4% 증가한 990∼1,010만 마리로 전망된다. □ 2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1.3% 증가 모돈 도태 및 후보돈 판매 동향 • 2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47만 4,186톤으로 전월보다 10.6% ..

2015년 3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2015년 3월 돼지 중기선행관측 * 4∼8월 국내 생산량 전년보다 1.6% 증가 전망 돼지고기 생산량 전망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합계 2015년(A) 68.6 69.2 68.1 64.2 65.3 69.0 404.4 2014년(B) 69.5 73.2 66.4 59.7 64.9 66.2 399.9 평년(C) 67.4 64.3 63.2 58.6 60.7 62.1 376.3 (A)/(B) 증감률 -1.3 -5.5 2.5 7.4 0.5 4.2 1.1 (A)/(C) 증감률 1.8 7.6 7.7 9.6 7.4 11.2 7.5 •3∼6월 출하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14년 11월∼'15년 1월에 생산된 20kg 이하 자돈 사료와 육성돈 사료의 합은 전년 동기보다 0.4% 증가하였다. •모돈 감축 영향으로..

2015년 3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2015년 3월 돼지 가격 동향 및 전망 * 3월 돼지 지육가격 전년 동월보다 상승 전망 돼지 지육가격 동향(탕박) •돼지 도축 마릿수 감소(15.9% 감소)로 2월(26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21.3% 상승한 탕박 기준 kg당 4,733 원이었다. •국내 생산량은 감소하였으나, HPAI로 인한 가금육 대체효과 축소로 3월 지육가격은 전년 수준인 탕박 기준 kg당 4,500∼4,700원으로 전망된다. •2월 첫째 주까지 삽겹살 가격은 11,200원/kg (냉장 기준)으로 전년 동월보다 4.4% 상승하였고, 가공육 수요 증가로 전지와 후지는 7,367원, 5,089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각각 24.4%, 60.0% 상승하였다. 2015년 3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바로가기 : http://the..

2015년 3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2015년 3월 돼지고기 수급 동향 및 전망 * 2월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 전년보다 감소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1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136만 5천 마리로 전년 동월 141만 3천 마리보다 3.4% 감소하였다. •2월 26일까지 일평균 등급판정 마릿수는 6만 4,945마리로 전년 동월(6만 6,727마리)보다 2.7% 감소하였다. 이는 평년(5만 8,141마리)보다 11.7% 많은 수준이다. * 2월 도매시장 출하비중 전년 동월 수준 돼지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 동향 •1월 도매시장 경락 마릿수는 13만 4천 마리로 전년 동월 17만 6천 마리보다 23.9% 감소하였다. •2월 26일까지 일평균 경락 마릿수는 6,536마리로 전년 동월(6,793마리)보다 3.8% 감소, 평년 (6,283마리)보다..

2015년 3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2015년 3월 돼지 사육 동향과 전망 * '14년 12월 사육 마릿수 1,009만 마리 모돈수 및 총 사육 마릿수 동향 • '14년 1∼11월 후보돈 판매가 13만 5,934마리로 전년 동기보다 13.0% 증가하였고(한국종축개량협회), ’14년 모돈 도태 마릿수는 전년 대비 8.2% 감소한 32만 1천 마리였다(축산물품질평가원). •후보돈 입식 증가와 모돈 도태 감소로 ’14년 12월 모돈수는 전년보다 4.7% 증가한 93만 7천 마리였다. •모돈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마릿수 증가로 2014년 12월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1.8% 증가한 1,009만 마리였다. * 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전년 동월보다 1.8% 감소 양돈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53만 496톤으로 전월보..

2014년 3월 돼지 시세전망

2014년 3월 돼지 시세전망 육가공의 작업량이 늘면서 경매분이 줄어든다고 합니다. 최근 도축 수량이 감소하는 추세이며, 그 원인은 유행성 설사병으로 모돈 및 자돈의 감축때문인 것으로 유추됩니다. 3월부터는 계절적 수요의 증가 및 급식의 시행 등으로 인하여 수요량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나, 생산량의 감소로 인하여 가격은 평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축산월보에 따르면 3월과 4월의 돼지 시세는 4,000원 정도로 추정하고 있었으나, 이미 탕박 기준 경매 평균 가격은 4,678원으로 5,000원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향후 추가적인 가격상승이 예상되니 이에 대비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아직까지 일반 소비가 늘어나지 않고 있으므로 지육보다는 부분육으로 매입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나, 부분육 가격도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