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EART11 by BOTTOS MARCO ![]() ![]() ![]() |
농구를 좋아해 매주 3~5시간 정도 동호회 모임에 참석하고 있지요. 그러던 어느날 가슴 통증이 발생했습니다. 왼쪽 가슴이 답답하고 찌~릿하고 먹먹한 느낌이 들었지요. 흡연 때문일 거라 여기며 평소처럼 농구 동호회 모임이 나갔지요. 몇 쿼터를 뛰고 나니 점점 아파오더니 '아~ 이러다 가겠다'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호회 형님이 언능 응급실에 가라. 너 이러다 간다. 곧장 고대 안암병원 응급실로 찾아갔습니다. '어디가 안좋으세요?' '가슴이 아파서요. 부딪친것 같기도 하고 찌릿하고 통증이 오는데요.'
심장부위라 그런지 빠르게 검사를 했습니다. 초음파 검사 -> 이상 무 혈액 검사 -> CK-MB 값이 기준치보다 높다고 하네요 엑스레이 -> 이상 무 병원에서는 좀더 자세한 검사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효소수치(CK-MB)가 약간 높다며.. 중환자실에 입원하라는 엄청난 소리를 듣고 살짝 겁을 먹었습니다. 사는 곳이 광명이라 안암동에 입원할 수 없는 노릇이고 조금 참을 만하니 퇴원해서 고대 구로병원으로 간다고 했더니 서약서 쓰라네요. 자기네 병원은 책임 없다는... 며칠있다 고대 구로 병원에서 특진 받았는데 근육통이라는 소견을 받고 약 먹고 나았습니다. 그래도 찜찜한 구석이 있긴 하지만 지금은 정말 조심하고 있습니다. 진단서 내용중 심장 효소 수치가 있어 찾아봤습니다. 건강들 하세요... 적당하게 운동하시고요. 참고로 CK-MB 3.9 인가 나왔습니다. 지금 진단서가 없어서리 정확한 수치는 아니고요. 여하튼 심각할때는 9인가 나온다고 합니다. |
혈액검사 (화학검사 - 심장효소)
임상화학검사 - 심장효소
1. Creatine Kinase (CK or CPK)
- 크레아틴의 인산화를 촉매하는 효소로서 골격근, 심근, 뇌에서 유래하는 동종 효소로 구성
- CK-MB는 CK 동종 효소 중 하나로 심근에 주로 존재.
- 급성심근경색에 특이적인 표지자. 심근 경색의 진단을 위해서 상대적인 비를 이용
- 증가: 급성심근경색, 심장 동맥류수술 후, 심장 제세동, 심근염, 심실부정맥, 심장허혈, 심한 횡문근융해
- 감소: 장기 요양환자, 알코올중독, 심한 패혈증, 갑상선과다증, 쿠싱, 다기관부전, 영양실조, 류마티스 관절염
- 발병 후 4~6 시간에 정상 범위보다 증가, 12~24시간에 최고치, 48~72 시간에 정상화
CK-MB는 다른 표지자에 비해서 신속히 낮아지므로 재 경색을 찾아내는데 도움
2. Troponin T & I
- 심근경색의 진단
- 심근과 골격근에 분포
- 흉통이 있으면 심전도를 가장 먼저 실시하지만 민감도가 낮음. Tropoin-I는 급성심근경색의 진단에 특이도가 높고 민감도가 myoglobin
보다 높음.
- Tromponin- T는 chronic kedney disease, 외상에 의한 근육손상, 횡문근융해, 다발근육염이나 피부근육염, 근육의 재생 등에서도
증가하지만 Troponin-I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0. 임상적 의의
- 심근경색 증상 후 3,6,12, 시간에 측정하여 새로운 흉통이 나타나면 처음부터 다시 검사를 시작.
- Troponin- I는 CK-MB 와 비슷한 시간에 증가하지만 더 오랫동안 유지.
- CK-MB는 첫 4시간 동안에는 Tropoin-I 보다 민감도가 높지만 Tropoin-I는 특이도가 높으며 불안정 협심증에서도 양성을
나타냄.
- ST-segment 상승기에 재 관류되면 8~12시간 후에 심근경색표지자의 급속한 상승을 관찰 가능
- Tropoin-I가 높을 수록 급성 심근경색, 허혈성 심질환, 심혈관 질환의 빈도 및 1개월 후 사망률이 높음.
- Tropoin-I의 증가: 급성 심근경색, 심근손상, 심혈관수술 후 , 불안정협심증
3. Myoglobin
- 골격근과 심근에 풍부하고 심근경색의 진단에 이용되나 특이도는 낮음
- 헤모글로빈과 유사한 구조, 산소 분압이 매우 낮은 경우에 산소를 유리. 골격근,심근에서 합성, 존재하지만 혈중에서는 거의 검출이 되지 않으며
혈색소와는 달리 단백질과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빠르게 소변으로 배설.
- 사람의 몸에는 심근보다 골결근의 총량이 많기 때문에 심근경색의 특이도가 낮음
- 혈중 반감기는 10분 정도.
0. 임상적 의의
- 심근경색과 관련된 검사 중에 분자량이 가장 작기 때문에 혈중에 가장 먼저 증가하고 신속하게 배설되어 빠르게 사라지는데 처음 5~18시간 내에 정상치의 5~10배.
- 재관류 후 1~2시간에 심근 손상의 표지자들의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데 이 중 미오글로빈이 유용성이 큼.
- 증가 : 심근경색, 대사이상질환
4. Lactate Dehydrogenase & Isolenzyme (LD, LDH - 젖산탈수소효소)
- 심장근, 신장, 적혈구, 간 및 골격근질환에서 증가하며 동종효소검사로 유래 장기를 감별
- 검사의학: LD(1~5)
1) LD1,2 심장근, 신장 및 적혈구에 풍부
2) LD 4,5 간과 골격근
3) LD 3,4 백혈병, 림프종 및 다발골수종
- 총 LD가 증가되면 동종효소검사로 원인 장기 감별 필요
- 트로포닌, 미오글로빈, CK-MB 등과 함께 검사
0. 임상적 의의
- 심근경색에 의한 흉통 시작 후 8~12시간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24~48시간에 최고치에 달하고 서서히 감소하여 7일 이상 증가
- 바이러스 간염보다는 허혈성 간염에서 더 높게 증가
- 폐 경색 후 24시간 내에 상승
- 증가: 심장부전, 당뇨병, 출혈, 급성알코올중독, 아세트아미노펜 중독, 젖산증, 폐색전증, 쇼크, 심한 운동
다른글
cardiac enzyme. 심장효소검사
underlying
-정상 : 세포내의 효소 농도가 높으며 세포외액이나 혈청 내 농도가 낮음
-세포의 손상시 효소가 혈액으로 새어나오며 혈청의 효소 농도가 증가됨
-심은 손상시 혈청내로 심장에 작용하는 특이 효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검사임
kind of cardiac enzyme
1. CK(creatine kinase)
-normal : (F10-55 unints/ml, M 12-70 units/ml)
*CK isoezyme
-CK-MM => 근육 손상 시 증가
-CK-BB => 뇌조직 손상시 증가
-CK-MB => 심근 손상 시 증가(특히 , MI 일경우)
-심근에만 존재하는 효소이기대문에 MI 진다에 매우 중요한 단서
-상승 발현시간이 3시간 이내로 24시간 안에 정상으로 회복되므로 급성 허헐 발생 직후 검사 시 높은 수치를 보인다
2. Troponin
- 구성 : Troponin I (근육의 수축 상태 조정)
Troponin C(칼슘과 결합함)
Troponin T(I와 C를 결합시킴)
-모든 횡문근에 존재하지만 심장 근육내의 troponin의 아미노산 서혈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급성 허혈이 발생 4-6시간 후 상승되어 정상 회복되는데 10-14일 정도 소용되므로 급성 허헐 발생 후 시간이 경과했을 ㄸ 높은 수치를 보인다.
3. lactiic dehydrogenase(LDH)
-5가지의 동효소가 있으며 이 중 LDH1,2가 심장에서 발견됨
-이 중 LDH1이 심근 손사으이 가장 예민한 지표
-혈청농도 : LDH 1>2일 경우 심근 손상을 의미
**최근에는 MI 진단에 LDH보다 Troponin1 과 CK-MB를 더 많이 이용함
다른글
cardiac enzyme. 심장효소검사
underlying
-정상 : 세포내의 효소 농도가 높으며 세포외액이나 혈청 내 농도가 낮음
-세포의 손상시 효소가 혈액으로 새어나오며 혈청의 효소 농도가 증가됨
-심은 손상시 혈청내로 심장에 작용하는 특이 효소의 농도가 높아지는 원리를 이용한 검사임
kind of cardiac enzyme
1. CK(creatine kinase)
-normal : (F10-55 unints/ml, M 12-70 units/ml)
*CK isoezyme
-CK-MM => 근육 손상 시 증가
-CK-BB => 뇌조직 손상시 증가
-CK-MB => 심근 손상 시 증가(특히 , MI 일경우)
-심근에만 존재하는 효소이기대문에 MI 진다에 매우 중요한 단서
-상승 발현시간이 3시간 이내로 24시간 안에 정상으로 회복되므로 급성 허헐 발생 직후 검사 시 높은 수치를 보인다
2. Troponin
- 구성 : Troponin I (근육의 수축 상태 조정)
Troponin C(칼슘과 결합함)
Troponin T(I와 C를 결합시킴)
-모든 횡문근에 존재하지만 심장 근육내의 troponin의 아미노산 서혈이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
-급성 허혈이 발생 4-6시간 후 상승되어 정상 회복되는데 10-14일 정도 소용되므로 급성 허헐 발생 후 시간이 경과했을 ㄸ 높은 수치를 보인다.
3. lactiic dehydrogenase(LDH)
-5가지의 동효소가 있으며 이 중 LDH1,2가 심장에서 발견됨
-이 중 LDH1이 심근 손사으이 가장 예민한 지표
-혈청농도 : LDH 1>2일 경우 심근 손상을 의미
**최근에는 MI 진단에 LDH보다 Troponin1 과 CK-MB를 더 많이 이용함
[출처] cardiac enzyme 심장효소검사|작성자 켠
[출처] cardiac enzyme 심장효소검사|작성자 켠
'관심분야 >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왕 이렇게 된거 ~ 주인장 별자리 -^^- 게자리 (0) | 2013.02.12 |
---|---|
이왕 이렇게 된거 ~ 주인장 손금 --- 막쥔 손금 (0) | 2013.02.12 |
생일로 보는 성격 (0) | 2013.02.12 |
[본문스크랩] 생일로 보는 사람의 유형 (0) | 2013.02.12 |
2013년 경제 전망 보고서 - LG경제연구원 (0) | 2013.01.28 |
전세자금대출 조건 (0) | 2013.01.09 |
[세금]개인사업자 세금 사업자등록증 신청 후 알아야 할 상식모음 (0) | 2013.01.09 |
아침형 인간 (0) | 2012.11.26 |
광명사회체육센터 6시부 vs 7시부 수영 시합 - 자유형 (0) | 2012.10.26 |
잡보장경 (0) | 2012.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