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사육기간에 따라 농가 기대수익이 달라져요 |
□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박병홍, 이하 축평원)은 12월 7일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2023년 농식품 통계데이터 분석·활용 경진대회’에서 「한우 거세우 도축월령별 경제성 분석」이라는 주제로 최우수상인 장관상을 수상했다.
□ 이번 경진대회는 농식품 통계데이터를 분석·활용한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로 정책 또는 업무에 활용한 정부 부처, 소속·산하기관의 사례를 접수하였다.
□ 「한우 거세 경제성 분석 보고서」는 한우 도축 개월령에 따른 농가 수익을 분석한 자료로, 수익성 향상을 위한 의사결정 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최우수 사례로 선정되었다.
□ 특히 △한우 거세 장기 사육과 △사육 두수 증가 △경영비(사료비 등) 증가에 따른 농가 수익 감소 현황을 파악하고, 개월령 증가에 따른 평균 도체중(kg)의 수익 증가분과 평균 경락가격의 수익 증가분으로 세분화하여 사육 기간과 농가 수익의 관계성을 분석한 사례가 주목받았다.
□ 한우 적정 사육 기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평가위원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었다.
□ 한편 한우 농가에서는 수익을 높이기 위해 사료 급여량을 늘려 개체의 체중을 증가시키거나, 출하 시점을 늦춰 상위 육질등급을 받고 정산 금액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하곤 했다.
□ 실제로는 사육 기간이 길어질수록 사료비가 큰 경영 부담으로 작용하며, 사육 기간과 수익 관계를 고려하여 한계수익이 낮아지는 시점*을 찾아야 적절한 출하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것이 이번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 생산자가 한 개의 상품을 더 팔 때 얻는 추가 수익 한계점으로 농가에서는 수취가격에서 월 사양비 또는 경영비를 제외한 수익 중 제일 높은 시점
□ 축평원은 축산식품학회 발표를 통해 정부 부처·단체 및 학계 등 유관기관을 대상으로 농식품 통계데이터 분석 우수사례를 전파하였으며, 지자체와 축산 농가경영체를 대상으로는 분석정보를 기초로 한 교육과 정보제공 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 축평원 박병홍 원장은“한우 농가 수익을 높이기 위해서는 객관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데이터 기반 경영이 필수적이다”며, “스마트 축산 ICT 정보와 유전, 이력, 품질 등 다양한 분야를 결합하여 분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농가에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하고, 수익을 높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정책 자료 > 축산물품질평가원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탄소 축산물인증(한우) 시범사업 신규 희망 농장 모집 공고 (1) | 2024.04.01 |
---|---|
2024년도 상반기 신규직원 체험형 청년인턴 채용공고 (1) | 2024.04.01 |
2024년도 상반기 신규직원 계약직(장애인) 채용공고 (0) | 2024.04.01 |
2024년도 상반기 신규직원 운영직(다급) 채용공고 (0) | 2024.04.01 |
2024년도 상반기 신규직원 축산물품질평가직(6급) 채용공고 (2) | 2024.04.01 |
“외식 8번 중 5번은 고기”… 축산물 외식 비중 평균 63% (1) | 2023.12.14 |
‘2023 대한민국 축산유통대전’ 온라인으로 전환 개최 (0) | 2023.12.12 |
축산의 미래 스마트축산 … 데이터 활용 놀라워 (1) | 2023.12.07 |
국내산 축산물 구매·인증하고 상품권 받아가세요 (1) | 2023.10.13 |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의 발전 이끌어갈 인재 채용 (0) | 2023.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