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사육 시설에 따른 어미돼지의 번식성적과 복지수준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 이번 연구는 군사(群飼, 무리기르기) 사육 시설이 어미돼지를 1마리씩 기르는 고정틀(단칸우리)을 대체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진됐다.
○ 최근 들어 동물복지 축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모든 회원국에 임신한 돼지의 고정틀 사육을 금지하고 있다.
□ 연구진은 기존 사육 시설인 고정틀과 동물복지를 고려한 군사 사육 시설에서 임신한 어미돼지를 키우며 관찰했다.
※ 연구한 사육 시설 종류 1. 고정틀(단칸우리) : 기존 사육 시설. 어미돼지를 1마리씩 사육하는 시설 2. 반스톨 : 기존 고정틀에서 뒷부분의 틀 제거, 돼지가 출입할 수 있는 스톨 3. 자유출입스톨 : 돼지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스톨 4. 자동급이 군사 시스템 : 전자식 사료 자동 급이장치가 설치된 시설 * 2.3.4는 군사 사육 시설로 여러 마리를 한 공간에서 사육 |
○ 그 결과 어미돼지가 낳은 새끼돼지 수는 고정틀의 경우 12마리, 군사 사육 시설은 11.75마리로 나타났으며, 태어난 새끼돼지의 체중도 고정틀은 1.50kg, 군사 사육 시설은 1.53kg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 어미돼지의 임신 기간은 모든 사육 시설에서 115일 정도로 나타났으며, 새끼돼지 출생 간격도 고정틀과 군사 사육 시설이 비슷했다.
○ 다만, 여러 마리를 한 공간에서 키우는 군사 사육 시설의 경우 서열 다툼으로 인해 어미돼지의 피부상처가 더 많이 나타났다.
- 유럽연합의 경우 어미돼지의 서열 다툼을 완화하기 위해 보호칸막이와 환경보조물(짚, 헝겊 등)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된 ‘축산법 시행령·규칙’에는 신규로 가축 사육업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교배한 날부터 6주가 경과한 임신돼지를 군사 공간에서 사육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 국립축산과학원은 군사 사육 시설의 적정 사육면적 수준 설정, 환경보조물 개발 등을 통해 어미돼지의 서열 다툼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 각 농가에 맞는 군사 사육 시설을 선택할 수 있도록 2021년까지 군사 사육 시설별 사양관리 매뉴얼(지침서)을 만들어 보급할 계획이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조규호 양돈과장은 “동물복지를 고려한 사육방식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라며,
○ “축산법 시행령·규칙 개정에 맞추어 양돈농가도 새로운 사육방식을 준비하는 열린 마음가짐이 필요하다.”라고 전했다.
--------------------------------------------
1) 반스톨, 자유출입스톨, 자동급이군사시스템의 평균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정책 자료 > 농촌진흥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공무직근로자(포장 및 온실관리원 및 연구원(장애인 특별채용) 채용 공고 (0) | 2020.03.31 |
---|---|
삼겹살·목살 비켜~ 특별하게 즐기는 돼지고기 구이용 부위 (0) | 2020.03.02 |
2020년 우수 종축(씨가축) 업체 인증 실시 (0) | 2020.02.18 |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로 알맞은 정액 선택하세요 (0) | 2020.02.12 |
한우 유전능력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방법 찾았다 (0) | 2020.02.12 |
농진청·농협, 농가대상 암소 유전능력 예측 서비스 3월부터 시작 (0) | 2020.01.23 |
새해 한우 개량 이끌 씨수소 18마리 새로 뽑아 (0) | 2020.01.15 |
올해 가축인공수정사 면허시험 전면 ‘취소’ (0) | 2019.12.11 |
국립축산과학원 공무직근로자(환경미화원) 채용 공고 (0) | 2019.12.09 |
국립축산과학원 청원경찰 공개경쟁채용시험 공고 (0) | 2019.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