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록스 2

소고기 분할의 한국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3편 고대시대)

소고기 분할의 한국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3편 고대시대) 대형동물의 사냥기술을 습득한 인류에게 오록스는 매우 좋은 수렵의 대상이었습니다. 하지만, 오록스의 크기가 워낙 거대하였기 때문에 행여라도 고기가 남게 되면 저장기술이 없었으므로 고기는 금새 변질되었고, 변질된 고기는 버릴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하여 인류는 자연상태에서 고기가 장기 보존될 수 없다는 지식을 습득하게 되어 오록스를 덫이나 함정 등을 이용하여 산채로 포획하였다가 필요한 때에 도축하는 방법을 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방치된 오록스는 도축되기 전에 굶주려 죽거나 다른 육식동물의 먹이가 되었기 때문에 도축할 때까지 생존시키기 위하여 먹이를 주고, 다른 육식동물로부터 보호를 하면서 원시적 형태의 목축이 시작되었습니다. 목..

소고기 분할의 한국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2편 선사시대)

소고기 분할의 한국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2편 선사시대) 한반도에 인류가 유입되기 이전인 약 200만년 전, 현재 축우의 직계조상인 오록스(Aurochs; Bos primigenius)는 전세계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중국북부와 만주를 경유하여 한반도에도 유입되었습니다. 오록스(Aurochs) 이후 약 70만년 전쯤 한반도에 인류가 유입되기 시작하였고, 이들은 먹거리가 많은 곳을 찾아다니면서 채집으로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였고, 다른 동물이 죽인 동물의 사체 또는 자연적으로 죽은 동물의 사체 또는 비교적 사냥이 수월한 중・소형동물의 사냥을 통하여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였습니다. 하지만, 중・소형동물의 사냥은 많은 양의 고기를 획득할 수 없었으므로 매번 사냥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