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월 배합사료 생산량 사육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늘어
• 1월 배합사료 생산량은 돼지 사육마릿수가 늘어 전년보다 4.4% 증가한 60만 4,310톤이었다.
- 모돈용 사료는 10만 5,987톤, 비육용(포유자돈, 이유돈, 육성돈)사료는 49만 7,909톤으로 전년보다 각각 7.1%, 3.8% 증가하였다.
배합사료 생산량 동향 |
□ 2018년 12월 1일 기준, 돼지 사육마릿수 전년 동월 대비 증가
• 2018년 12월 모돈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0.5% 증가한 106만 마리였다. 전체 사육마릿수는 모돈수가 늘어남에 따라 전년보다 0.5% 증가한 1,133만 마리였다.
• 3월 등급판정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2~4개월 미만 돼지 사육마릿수는 347만 마리로 전년(336만 마리)보다 3.3% 증가하였다.
전체 사육농장수는 소규모 농장 위주로 줄어 전년 대비 2.0% 감소한 6,188호였다.
- 12월 가구당 사육마릿수는 전년보다 2.5% 증가한 1,831마리였다.
단위 : 천 마리,농장,% |
돼지사육마릿수 동향 |
□ 2월 등급판정마릿수 전년보다 증가
• 2월 일평균 등급판정마릿수는 사육마릿수가 늘고, 비육돈 생산성이 향상됨에 따라 전년(7만 5,126마리)보다 3.4% 증가한 7만 7,715마리였다.
- 일평균 등급판정마릿수와 작업일수를 감안한 2월 등급판정마릿수는 132만 마리로 추정된다.
등급판정 마릿수 동향 |
□ 표본농가 비육돈 생산성 전년보다 향상
• 2월 표본농가 조사 결과, 겨울철 기온이 전년보다 높아 생산성이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 비육돈의 출하일령은 전년(182.3일)보다 0.7% 감소한 181.1일이었고, 출하체중은 115.2kg으로 전년(114.7kg)보다 0.4% 증가하였다.
- 모돈 산자수 및 이유마릿수는 전년 수준인 각각 11.6마리, 10.2마리였다.
□ 1월 돼지고기 수입량 전년보다 많아
• 1~11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수입단가 하락으로 전년 동기간(33만 9,276톤)보다 24.7% 증가한 42만 3,234톤이었다.
• 1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수입단가 하락으로 전년(4만 275톤)보다 18.2% 증가한 4만 7,594톤이었다.
- 1월 EU내 돼지고기 가격은 전년보다 1.5% 하락한 kg당 1.34유로였으며, 미국도 23.2% 하락한 1.24달러였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동향 > 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 4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0) | 2019.05.01 |
---|---|
2019년 4월 돼지 수급 동향 (0) | 2019.05.01 |
2019년 3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0) | 2019.04.01 |
2019년 3월 돼지 수급 동향 (0) | 2019.04.01 |
2019년 2월 돼지 도매가격 동향 (0) | 2019.03.04 |
2018년 12월 돼지 가격 동향 (0) | 2018.12.31 |
2018년 12월 돼지 수급 동향 (0) | 2018.12.31 |
2018년 11월 돼지 가격 동향 (0) | 2018.12.03 |
2018년 11월 돼지 수급 동향 (0) | 2018.12.03 |
2018년 10월 돼지 가격 동향 (0) | 2018.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