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자가 섬유질배합사료(TMR) 기술 전수 거점농장’ 확대 |
□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민관협업을 기반으로 추진하는 ‘정책지원·현안 해결 10대 프로젝트(우리농UP 앞으로)’* 중 하나인 축산농가 생산비 절감을 조기 실현하기 위해 농식품 부산물을 활용한 ‘자가 사료 제조 기술’ 보급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 농촌진흥청은 한우의 영양소 요구량에 맞춰 농가에서 직접 쌀겨, 맥주박 등 농식품 부산물을 배합·급여할 있도록 섬유질배합사료(TMR) 자가 제조 기술을 개발, 보급하고 있다. 축산농가에서 섬유질배합사료를 직접 제조해 급여하면,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할 때보다 사료비를 10~30% 절감할 수 있다.
□ 하지만, 섬유질배합사료를 직접 제조하려면, 배합 원료의 영양 정보와 적절한 배합비를 작성하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 국립축산과학원은 이러한 축산 현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농식품 부산물 배합비 프로그램을 보완해 농가에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한우 자가 섬유질배합사료(TMR) 기술 전수 거점농장’을 확대 운영할 방침이다.
□ 2024년 △대전 석청농장(백석환 대표) △진주 삼솔농장(한기웅 대표) △제주 한라한우촌(양익종 대표) △함평 장한농장(한종민 대표) 총 4개소를 선정한 데 이어 올해에는 5개소를 추가해 총 9개소를 운영할 예정이다.
□ 국립축산과학원은 축산농가에서 섬유질배합사료를 직접 제조할 수 있도록 ‘농가 배합비 작성 프로그램’을 누리집(http://www.nias.go.kr→ 연구 활동→농가 활용 프로그램)에서 제공하고 있다.
□ 섬유질배합사료 제조 기술을 적극 도입해 생산비를 절감하고 경영 안정을 꾀한 성공 사례를 담은 ‘한우 자가 티엠알(TMR) 우수농가의 사료 제조 기술 및 영양성분 사례집’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lib.rda.go.kr)에서 파일(PDF)로 볼 수 있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센터 김동훈 센터장은 “농촌진흥청이 추진하는 ‘우리농UP 앞으로’ 프로젝트 목표 중 하나가 바로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다.”라며 “섬유질배합사료 자가 제조 기술을 전국 곳곳에 신속히 보급해 많은 농가가 안정적인 경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라고 밝혔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정책 자료 > 농촌진흥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유전체과 기간제근로자(육아휴직 대체) 채용 공고 (1) | 2025.04.01 |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공무직근로자 채용 공고 (1) | 2025.03.26 |
농촌진흥청, ‘축산 청년농업인 육성 거점지역’ 3기 운영 시작 (0) | 2025.03.25 |
농촌진흥청, 희소 한우 체외수정란 생산율 증가 기술 개발 (0) | 2025.03.13 |
국립축산과학원 스마트축산환경과 기간제근로자(육아휴직 대체) 채용 공고 (2) | 2025.03.12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가금연구센터 공무직근로자(연구원) 채용 공고 (0) | 2025.03.05 |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기간제근로자 채용 공고 (1) | 2025.02.24 |
염소 고기, 상처 치유·항염 효과 있었네 (0) | 2025.02.21 |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 강도에 따른 감염 차이 밝혀 (0) | 2025.02.21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공무직근로자 채용 공고 (1)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