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지정제 |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이란, 현지 소비자 대상 높은 신뢰도 확보와 현지 한우 소비 활성화의 안정적인 판매 기반을 확보하여 우리 한우의 이미지 및 신뢰도를 제고하고, 올바른 한우 먹거리를 제공하여 수출 활성화에 일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우수출규정을 준수하여 수출된 한우를 해외 현지에서 판매하는 전문점을 대상으로 일정 자격요건을 충족한 한우 고기 판매점을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지정제 절차 |
1. 신청대상
① 독립공간으로서의 한우 판매 및 취급 공간(매장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지법 상 사업자 및 영업 신고를 마치고 운영 중인 업체
- 한우 판매 및 취급 공간(매장 등) 현장 조사 협조 가능 혹은 관련 사진 자료 등 제출 가능 업체(현지 사정을 고려하여 Shop in Shop 형태는 가능, 단 팝업 스토어 형태는 제외)
② 업소 내 한우를 취급하여야 하며, 한우 사용 여부를 확인 및 증명(사후관리)할 수 있는 업체
- 한우 취급 및 판매 이력 제공이 가능한 업체
③ 업소 내에서 취급하는 한우는 공식적이고 정상적인 경로로 수입된 한우이며, 이를 확인 및 증명(사후관리)할 수 있는 업체
- 국내 수출도축인증 및 수출가공인증을 받은 업체를 통해 수출되어야 하며 현지 업체의 정식 수입 신고가 된 한우고기이며, 한우수출로고를 부착한 제품이어야 함.
④ 한우 유통 투명화 및 현지 신뢰도와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생산이력 확인이 가능한 QR코드 및 도축성적 증명서 등을 제공하는 업체(가산점 부여)
⑤ 위 조건을 충족하고 다음의 조건에 부합하는 업체
- 최근 3개월간 한우 구매 거래명세표(혹은 준하는 증빙 서류), 도축성적 증명서(등급판정 확인서)
- 전국한우협회에서 평가하는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업체
⑥ 상기 조건에 적합한 한우 취급 판매점(유통, 요식업 등)으로서, 현지법에 기초하여 한우 취급 관련(유통, 요식업 등) 인허가를 받은 업체 , 행정 및 공급업체를 통한 공식 수출 한우 사용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업체, 현지법 상 식품위생법이나 축산물 위생관리법 중 축산물 유통 및 표시기준 관련규정에 준하는 규정 등의 위반으로 영업정지 이상의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 그 처분한 날부터 3년이 경과하여 신청일 기준 영업에 문제가 없는 업체
2. 지정신청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지정을 희망하는 업체는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선정 신청서를 작성하고,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서약서,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추천서, 사업자등록증, 영업신고증, 인허가증(에 준하는 증빙자료), 한우 구매 관련 거래 명세서, 매장 보유 증빙서류(임대차 계약서, 배치도 등), 기타 관련 증빙서류(HACCP 인증서, GAP 인증서 등) 등을 구비하여 전국한우협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 지원신청은 신청자가 직접하여야 하며, 우편 및 방문, e-메일로 할 수 있고, 기한 내 도착분만 인정됩니다.
3. 서류심사
전국한우협회가 지정신청서를 접수한 때에는 접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신청서, 추천서, 서약서, 인허가증 등 관련 증빙서류를 확인하고, 전국한우협회에서 수출·입 신고필증, 한우 구매 거래내역서 등을 통하여 공급 및 판매현황 확인합니다.
4. 현장심사
서류심사에 통과한 때에는 현장심사를 합니다.
이 경우, 한우수출규정을 준수하여 수출된 한우고기를 현지 한우 수입 및 공급업체를 통해 구매 및 사용하는지 여부 확인(거래명세표, 포장박스, 냉장고 등), 한우 유통 투명화 및 현지 신뢰도와 이미지 제고를 위한 식육표시사항과 생산이력 확인 목적의 QR코드 및 도축성적 증명서 등 제공 여부 확인, 매장 운영 형태(매장관리, 위생관리 등) 및 전국한우협회 준수사항 적용 및 준수 가능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효과 |
서류심사와 현장심사에 통과한 때에는 생산자와 대한민국 정부가 인정하는 해외 한우판매 우수판매점 지정서를 교부하고, 해외 한우판매 우수판매점 현판 부착 및 인증마크 사용 권한을 부여합니다.
이 경우, 지정기간은 지정일로부터 1년입니다.
또한, 우수판매점 지정업체 중심으로 한우수출지원 사업 지원 기회를 부여하며, 홍보, 컨설팅, 마케팅 지원합니다. 다만, 사업계획 변경에 따라 지원 계획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관련 인증제도 > 민간인증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우 수출 전문농가 지정제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3) | 2024.11.09 |
---|---|
2024년 해외 한우우수판매점 선정 업체 (1) | 2024.10.29 |
해외 한우 우수판매점 지정 현황 (0) | 2024.06.20 |
(사)소비자시민모임 우수 축산물 브랜드 2024년 계란 인증 현황 (0) | 2023.10.01 |
(사)소비자시민모임 우수 축산물 브랜드 2024년 한돈 인증 현황 (0) | 2023.10.01 |
(사)소비자시민모임 우수 축산물 브랜드 2024년 한우 인증 현황 (0) | 2023.10.01 |
(사)소비자시민모임 우수 축산물 브랜드 2016년 육계 인증 현황 (0) | 2016.11.16 |
(사)소비자시민모임 우수 축산물 브랜드 2016년 돼지 인증 현황 (0) | 2016.11.16 |
(사)소비자시민모임 우수 축산물 브랜드 2016년 한우 인증 현황 (0) | 2016.11.16 |
2016년 전국한우협회 우리한우판매점 선정 현황 (0) | 2016.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