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2015년 개발한 흑돼지 우리흑돈을 전국에 보급해 흑돼지 품종 국산화에 나선다고 밝혔다.
□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흑돼지는 19만 마리 이상으로 추정되며, 대부분 수입 품종에 의존해 생산하고 있다.
* 국내 흑돼지 사육 마릿수 : 189,048마리 이상 추정(2018, 국가가축방역통합시스템)
* 흑돼지 농가의 수입품종 활용 비율(31농가 설문조사) : 87% (2018, 한국축산경제연구원)
□ 최근 사육 특색을 부각한 이베리코 돼지고기의 수입이 증가하는 등 고급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져 이에 대응할 차별화 된 국산 품종 보급이 필요하다.
□ 국립축산과학원은 우리흑돈 종돈(씨돼지)을 8월부터 강원, 경기, 경북 등 7개도의 20개 농가에 약 400마리를 보급한다.
□ 우리흑돈은 재래돼지의 육질을 유지하면서 성장 능력도 뛰어난 흑돼지 품종이다. 국립축산과학원이 육성한 돼지만을 활용해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했으며, 현재 국제식량농업기구(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등재돼 있다.
□ 우리흑돈의 전국 보급을 위해 유전체 선발 기법을 적용하고 성장률과 등지방두께를 선발지표로 설정했다. 이로써 능력이 뛰어난 우리흑돈 씨돼지를 보다 정확하게 선발할 수 있게 됐다.
□ 우리흑돈의 근내지방은 4.3%(재래종 4.5%)로 일반 상업용 돼지보다 1.3%P 정도 높다. 사육일수는 시범농가 모니터링 결과 180∼190일로 일반 상업용 돼지(175∼185일)보다 길지만, 재래돼지(230일)보다 40일 이상 짧다.
□ 우리흑돈을 일반 상업용 돼지 생산에도 활용할 수 있도록 인공수정용 수퇘지로서의 검증도 완료했다.
- 일반 상업용 돼지를 생산할 때 우리흑돈 정액을 쓰면 사육 기간은 5일 정도 늘어나지만 근내지방(25.9%), 향미(4.7%), 육색(3.4%) 등을 높일 수 있다.
□ 또한, 털색 유전자(MC1R)를 100% 검은색으로 고정해 농가에서 자가교배 후 발생할 수 있는 이모색(異毛色) 발현을 사전에 차단시켰다.
□ 우리흑돈 보급은 국내 유전자원의 활용 가치를 높이는 한편, 새로운 씨돼지 품종으로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흑돈과 같이 재래돼지 혈통을 계승하는 신품종을 인공수정용 씨수퇘지로 활용할 수 있도록 능력기준을 마련하고 정책 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 우리흑돈의 성장과 육질 특성에 맞는 사양관리 기술을 개발해 농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방침이다.
□ 우리흑돈이 조기에 보급되어 흑돼지 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고 이베리코 돼지고기 수입을 대체한다면 연간 176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최동순 축산자원개발부장은 “우리흑돈 브랜드 육성을 위해 사육농가를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라며,
□ “우리흑돈의 우수한 육질에 한국 특유의 식문화를 더해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는 K-흑돼지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정책 자료 > 농촌진흥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절기 허약해진 가축 건강 챙겨야 (0) | 2020.09.17 |
---|---|
국립축산과학원 공무직근로자(연구원, 사육사) 채용 공고 (0) | 2020.09.15 |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공무직근로자(포장 및 온실관리원, 연구원) 채용 공고 (0) | 2020.09.14 |
한우 교배계획 길라잡이로 암소에 딱 맞는 정액 선택 (0) | 2020.08.26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기간제근로자 채용 공고 (0) | 2020.08.14 |
국립축산과학원 한우연구소 공무직근로자(행정실무원, 포장 및 온실관리원 및 연구원(장애인 특별채용)) 채용 공고 (0) | 2020.08.12 |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산연구소 공무직근로자(사육사) 채용 공고 (0) | 2020.08.07 |
새끼수 많고 성장 빠른‘한국형 씨돼지’뽑아 (0) | 2020.08.04 |
국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양돈과 공무직근로자(사육사) 채용 공고 (0) | 2020.07.21 |
전국 한우 개량 이끌 씨수소 20마리 선발 (0) | 2020.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