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7년 1월 1주차)
⦿ 한우가격 '날개 없는 추락' (농수축산신문 - 2016.12.28.)
# 1년 10개월 만에 ‘최저價’
한우가격 하락세가 점점 심화되고 있는 모양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19일 한우 1등급 기준 도매가격은 지육 kg당 1만3258원까지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2월 이후 1년 10개월만에 최저치다.
지난 6월 한우 도매가격은 평균 1만9082원으로 최고점를 찍은 후 9월에는 1만8812원, 10월에는 1만7704원, 11월에는 1만6606원까지 지속적으로 하락했다. 이어 12월(1~23일) 평균 도매가격은 1만5787원으로 나타나면서 하락세가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가격 하락 양상은 송아지에서도 보이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암송아지(6~7개월령)가 326만원, 수송아지가 402만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후 도매가격이 하락세 국면으로 돌아서면서 송아지 가격도 암송아지는 260만원, 숫송아지는 306만원으로 100만원 가량이 감소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한우가격의 하락은 도축마릿수 감소로 이어지고 있어 그 문제가 심각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출하 감소로 1~11월 한우 도축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7.7% 감소한 66만6000마리이며, 12월(1~21일)한우 도축마릿수는 4만6973마리로 전년 4만7953마리보다 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형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축산실 팀장은 “내년까지 한우 공급이 감소할 전망이지만 수요가 더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여 한우가격의 약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우농가는 조기 출하를 자제하고 계획적으로 출하를 진행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청탁금지법, 힘 못쓰는 한우
한우가격 하락의 이유는 소비자들이 한우를 찾지 않기 때문이다. 이같은 한우 소비위축의 주요 원인은 ‘청탁금지법’ 때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청탁금지법으로 인해 지난 추석부터 한우 선물세트의 수요 감소 움직임이 나타났으며, 연말·연시가 가까워져 오지만 모임을 축소하거나 자제하자는 분위기가 확산되면서 한우고기 수요가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장민근 음성축산물공판부장은 “사육마릿수 감소에 따라 한우고기의 공급물량이 지난해에 비해 16~17% 정도 감소했지만 주문물량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해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면서 “연말·연시에도 불구하고 청탁금지법으로 각종 모임이나 행사가 축소되거나 취소되면서 주문물량이 지난해보다 20~30% 정도 감소해 거의 모든 부위에서 적체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한우고기 수요감소에 값싼 수입 쇠고기의 공세도 한 몫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해 한우와 수입 쇠고기의 판매 비중은 각각 51.8%, 49.2%로 한우가 다소 앞섰지만 올해(12월 22일 기준)는 각각 45%와 55%로 수입 쇠고기가 한우를 앞질렀다,
또한 지난 22일까지는 한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12% 감소했지만, 수입육은 지난해보다 15.8% 매출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달 쇠고기 수입량은 3만3100톤으로 지난해 동기대비 7781톤이 증가하며 2010년 이후 월별 최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한우가 수입육 공세에 시달리며 그 영향력을 더욱 잃어가는 모습이다.
⦿ 2017년 1월 축산관측 (농수축산신문 - 2016.12.29.)
# 한우, 내년 설 한우 수요 불확실성 확대
한우고기 공급이 감소하지만 수요 불확실성 확대로 내년 1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은 12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된다.
농경연에 따르면 9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전년 동월 265만마리보다 0.3% 감소한 264만마리이며,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전년 동월 275만마리 대비 0.5% 증가한 277만마리로 집계됐다.
따라서 1월에서 11월까지 한우 도축마릿수는 전년 동기보다 18% 감소한 4만7953마리로 조사됐으며, 이러한 감소세는 사육마릿수 감소로 내년 1~2월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내년 3월 한육우 사육마릿수는 260만마리로 올해와 비슷할 전망이다.
아울러 쇠고기 수입의 공세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9월까지 국내 도매가격 강세,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수입육 수요가 증가해 1~11월 쇠고기 수입량은 전년 동기대비 20.5% 증가한 32만2000톤으로 조사됐으며, 내년에도 쇠고기 수입량이 6% 증가할 전망이다.
농경연은 내년 1월 설 성수기까지 한우고기 수요 불확실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한우고기 가격 지지를 위해 단기적으로 할인행사를 통한 소비촉진 행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돼지, 1월 지육가격 kg당 4200~4500원 전망
새해부터 모돈 수 증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는 물론 돼지고기 수요 증가 등으로 내년 1월 돼지지육 가격이 kg당 탕박기준 4200~4500원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됐다.
농경연에 따르면 1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올해 동월보다 1.1% 증가한 142만6000마리로 전망됐다. 등급판정마릿수 증가로 1월 돼지고기 생산량은 올해보다 1.1% 증가한 7만6000톤 내외로 예상된 반면 돼지고기 수입량은 지난해 동월보다 감소한 2만9000톤 내외로 각각 전망됐다.
돼지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 수요가 증가하면서 내년 1월 지육가격은 올해 동월 탕박 kg당 4396원 수준인 탕박 기준 kg당 평균 4200~4500원으로 전망됐다.
한편 지난 22일까지 돼지 지육가격은 지난해 동월 4361원 보다 상승한 4405원으로 나타났고 지난달 삼겹살 가격은 kg 냉장 기준 1만4372원으로 지난해 동월 1만3114원 보다 9.6% 상승, 목심은 1만3751원으로 지난해 동월 대비 4.9% 상승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7년 2월 1주차) (0) | 2017.02.05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7년 1월 5주차) (0) | 2017.01.3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7년 1월 4주차) (0) | 2017.01.2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7년 1월 3주차) (0) | 2017.01.1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7년 1월 2주차) (0) | 2017.01.0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2월 4주차) (0) | 2016.12.2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2월 3주차) (0) | 2016.12.1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2월 2주차) (0) | 2016.12.12 |
HACCP 받은 도축장 21% 부적합…집유장은 남양유업 안동집유소 등 4개소 부적합 (0) | 2016.12.1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5주차) (0) | 2016.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