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3주차)
⦿ 청탁금지법 시행, 계절번식에도 영향 (축산신문 - 2016.11.17.)
청탁금지법이 본격 시행되면서 한우 계절번식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란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한우는 말, 면양, 유산양 등과 함께 대표적인 계절번식동물로 꼽힌다.
그동안 한우농가들은 혹한기, 혹서기, 농번기를 피해서 분만하거나 송아지 육성에 편리한 봄철에 분만하도록 번식시기를 조정하는 등 계절번식을 해왔다.
또한 출하시기를 한우 가격이 가장 좋은 명절에 맞추도록 번식과 사양관리를 해오곤 했다. 하지만 청탁금지법의 시행으로 한우 소비패턴의 변화가 생기면서 계절번식 역시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인 것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계절번식의 방식이 여러가지가 있지만 출하시기를 고려해 설날과 추석 출하를 목표로 6월, 10월에 인공수정을 하는 방식도 많이 활용됐다”며 “하지만 향후 소비가 명절에 집중되기 보다는 연중 소비로 달라질 기미가 보이고 있어 번식형태도 달라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최근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3.6%가 청탁금지법 시행 후 식사 접대나 선물이 줄었다고 답했으며, 37.3%는 직장내 혹은 가족과의 식사가 늘었다고 답하면서 소비패턴이 변화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올해는 청탁금지법 시행 소식이 전해지면서 추석 명절 전부터 한우가격이 하락하는 등 소비부진도 심각하게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우 숯불구이 축제, 한 차례 더 열린다 (축산신문 - 2016.11.17.)
2016년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행사가 대성황을 이루면서 연내 대규모 한우촉진행사가 한 차례 더 열릴 전망이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근수)는 지난 14일 열린 제5차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에서 소비홍보 예산 5억6천여만원을 추가 편성했다.
지난 1일부터 3일까지 서울 성동구 살곶이체육공원에서 열린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행사의 호응이 좋아 한 차례 더 추진한다는 계산이다.
한우자조금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살곶이체육공원에서 열린 한우 반값 숯불구이 축제에는 10만명이 방문했으며 14억4천만원 어치의 한우가 판매됐다.
이와 함께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기념 할인대축제’가 전국 대형마트, 농협계통 매장, 한우영농조합법인 1천630여개 매장에서 1일부터 6일까지 진행됐으며 171억8천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행사로 총 186억원 어치의 한우고기가 팔린 셈이다. 소비자에게는 그 동안 비싸다고만 여겨졌던 한우고기를 저렴하게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생산자에게는 한우 소비촉진으로 인해 시세가 회복되는 등 모두에게 좋은 행사였다는 평가다.
전국한우협회는 추가 편성된 5억6천여만원의 예산으로 또 한번의 한우 숯불구이 축제가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시간과 장소 등은 추후 확정지을 예정이다.
⦿ 한우시세 등락 반복 (축산신문 - 2016.11.17.)
한우시세가 등락을 반복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의 전국 평균 한우 경락가격을 살펴보면 대한민국이 한우먹는 날 행사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다 지난 10일 1만7천원대가 이하로 내려갔으며 14일에는 kg당 1만6천233원까지 하락했다.
반면 15일에는 847원이 올라 1만7천70원으로 조사됐다.
한우업계는 사육두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소비가 급감, 시세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하고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 ‘고지방 식단’ 보도, 축산물 소비 늘렸다 (농민신문 - 2016.11.18.)
그동안 비만의 주범으로 몰렸던 ‘고지방 식품’이 축산물 소비를 견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고지방 식단 보도 이후 축산물 소비 변화’에 대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고지방 식단이 다이어트에 도움이 된다는 정보를 접한 응답자 661명 가운데 51.8%가 축산물 소비량을 늘렸다고 답했다. 설문조사는 30~40대 연령층의 농경연 농업관측본부 소비자 패널 69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소비가 증가한 축산물로는 ‘돼지고기’가 46.2%로 가장 많았고, 쇠고기(19.2%), 닭고기(13.3%), 유제품(6.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 축산물 소비 증가가 언제까지 이어질지를 예상하는 질문에 응답자의 36.8%가 ‘1년 정도’라고 답했다. 이어 6개월 정도(28.1%), 3개월 정도(27.9%), 1개월 정도(7.2%) 순으로 나타났다.
고지방 식단이 인기를 얻으면서 축산물 가격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연이 고지방 식단 관련 방송 후 한달(9월20일~10월19일) 동안 실시한 축산물 가격 조사 결과에 따르면 1㎏당 돼지 지육 도매값은 도축마릿수 증가에도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 오른 4495원(탕박 기준)을 기록했다. 도축마릿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137만마리)보다 11.7% 많은 153만마리였다.
9월 육계 산지값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45.6% 상승한 1㎏당 1627원, 달걀 역시 1.6% 오른 1301원이었다.
버터와 치즈 매출 또한 크게 증가했다. A 대형 마트에서는 버터와 치즈류의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8%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평상시 버터와 치즈 거래가 많지 않았던 온라인 판매량도 관련 보도 이후 8배 이상 증가했다.
농경연은 “축산물도 소비자들에게 주어지는 새로운 정보에 따라 수요 변동성이 커지는 상황”이라며 “시장확대를 위해서는 소비변화 추세에 맞춰 축산물을 생산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러면서 “지나친 지방 섭취가 장기적으로 건강을 해친다는 의견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만큼 소비자는 자신의 건강을 위해 적당한 육류와 지방을 섭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2월 3주차) (0) | 2016.12.18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2월 2주차) (0) | 2016.12.12 |
HACCP 받은 도축장 21% 부적합…집유장은 남양유업 안동집유소 등 4개소 부적합 (0) | 2016.12.1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5주차) (0) | 2016.12.04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4주차) (0) | 2016.11.2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2주차) (0) | 2016.11.1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1주차) (0) | 2016.11.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5주차) (0) | 2016.10.3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4주차) (0) | 2016.10.2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3주차) (0) | 2016.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