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1주차)
⦿ 한우 도매가 뚝뚝·소매가는 잠잠 '유통업체만 이득' (한국농어민신문 - 2016.11.4.)
한우고기 도매가격이 급락하고 판매 또한 위축되고 있지만 유통업체들은 오히려 이 틈을 타 마진폭을 넓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소고기 매출 한달 새 30% ↓
도매가만 급격한 하향세
비싼 소매가 여전 '소비 걸림돌'
판매 마진폭만 커질 듯
한우고기는 최근 부정청탁금지법과 가격 강세가 겹치면서 최근 소비 저항감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농협중앙회 축산경제리서치센터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농축협이 운영하는 쇠고기 매출은 30.2%, 정육점형 식당인 축산물프라자 매출은 23.8% 각각 하락했다. 주간 쇠고기 매출을 집계한 결과 9월 넷째 주에 222억원으로 집계됐는데, 10월 넷째 주에는 155억원으로 불과 한 달 사이에 30.2%가 감소한 것이다.
농축협이 운영하는 축산물플라자 290개 매장 중 15개소의 동향 조사에서도 대부분 매출 감소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공기관 인근에 입지한 매장이 일반 매장보다 매출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부정청탁금지법의 직격탄을 맞고 있는 실정이다.
소비가 위축되면서 도매가격도 급격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부정청탁금지법이 시행된 9월 26~30일 5일 동안 한우 평균 도매가격이 1kg당 1만8470원에서 10월 24~28일에는 평균 1만6784원으로 12.5% 떨어진 것이다.
하지만 소매가격은 미동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9월 26~30일 한우 부위별 평균 소매가격(100g)은 등심 7955원, 갈비 4999원, 불고기 4677원이었다. 그러나 10월 24~28일에는 등심 7996원, 갈비 5101원, 불고기 4740원 등으로 조사돼 오히려 소폭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한우고기 평균 가격은 공공기관인 축산물품질평가원(도매가격)과 한국농수산식품공사(소매가격)에서 조사해 매일 발표하는 자료를 토대로 산출됐다.
이처럼 부정청탁금지법의 여파와 소비 위축으로 한우 도매가격이 하락해 한우농가들의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는 사이 도매가격에 연동되지 않으며 여전히 비싼 소매가격이 소비활성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소매 가격격차가 벌어진 만큼 소매유통업체들의 한우고기 판매 마진폭도 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농협중앙회 축산경제리서치센터는 “부정청탁금지법 시행으로 한우산업은 가격하락 및 소득감소, 수입육 증가, 고급육 시장 위축 등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며 “한우농가의 경영 안정대책을 강화하고 한우고기의 대중화와 가격 대비 고가치 상품개발, 신시장 창출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안했다.
⦿ 전국 고기 섭취 지도 나왔다 (농수축산신문 - 2016.11.4.)
전국적으로 고기 섭취량과 섭취빈도를 조사 분석한 결과 돼지고기는 강원, 닭고기·오리고기는 서울, 소고기는 부산·울산·경남 주민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자주 섭취하는 축산식품은 우유로 나타났다.
최근 윤기선 경희대 식품영양학과 교수팀이 지난해 7월 제주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 남녀 1500명을 1대1로 면접 조사해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 포럼을 통해 밝힌 50가지 축산식품의 섭취량과 섭취빈도 분석 결과를 살펴봤다.
# 돼지고기 강원, 닭고기·오리고기 서울 선호
우리 국민이 가장 자주 섭취하는 식육은 돼지고기·닭고기·소고기 순이며, 축산가공품은 햄·양념된 돼지불고기·소시지 순이었다. 식육 중 가장 많이 섭취하는 돼지고기의 섭취 빈도는 주 1.4회였다.
우유와 유가공품 중에선 우유·액상 요구르트·호상 요구르트, 알류와 알 가공품 중에선 계란말이·계란찜·삶은 계란 순서로 자주 섭취했다.
시·도별로는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북 주민이 소·돼지·닭·오리고기와 계란·우유 등 축산식품을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했고 축산식품 섭취량이 유독 적은 시·도는 대전·충청과 광주·전남·전북이었다.
특히 부산·울산·경남 주민은 식육을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순서로 자주 섭취해 다른 시·도의 돼지고기, 닭고기, 소고기 순서와는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어 흥미로운 결과로 주목됐다.
식육의 종류별로 1인당 섭취량은 돼지고기는 강원(15.9㎏), 닭고기는 서울(7.3㎏), 소고기는 부산·울산·경남(7.8㎏), 오리고기는 서울(2㎏)이 1위를 차지한 반면 대전·충남·충북 주민은 연간 1인당 돼지고기 5.4㎏, 닭고기 3.1㎏, 소고기 2.2㎏, 오리고기 0.7㎏을 섭취해 전국 시·도 중 축산식품을 가장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섭취하는 축산식품의 가짓수도 서울이 최다, 충청이 최소를 기록해 서울 시민은 한 달에 1회 이상 섭취하는 축산식품의 수가 23개인 데 비해 대전·충남·충북 주민은 14개에 그쳤다.
# 남성·20대 축산식품 섭취량·빈도 많아
축산식품 섭취량과 섭취빈도에서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한 자리에서 먹는 돼지고기의 양은 남성이 160.2g, 여성은 123.6g이었다. 연령별은 20대가 축산식품을 가장 많이 먹고 나이가 들면서 섭취량·섭취빈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대는 돼지고기를 한 번에 150.1g 먹는 데 비해 60대 이상은 118.2g 섭취하는 데 그쳤다. 직업별로는 학생이 축산식품과 그 가공품에 대한 섭취량과 섭취빈도가 높았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최근호에도 소개됐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CCP 받은 도축장 21% 부적합…집유장은 남양유업 안동집유소 등 4개소 부적합 (0) | 2016.12.11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5주차) (0) | 2016.12.04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4주차) (0) | 2016.11.27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3주차) (0) | 2016.11.2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2주차) (0) | 2016.11.1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5주차) (0) | 2016.10.3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4주차) (0) | 2016.10.2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3주차) (0) | 2016.10.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2주차) (0) | 2016.10.0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9월 5주차) (0) | 2016.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