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9월 5주차)
⦿ 10월 축산관측 (농수축산신문 - 2016.9.28.)
■ 한우, 도매가격 지난달 대비 보합세 전망
한우고기의 공급은 감소하나 수요 불확실성 확대로 10월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은 9월과 비슷한 수준으로 전망됐다. 농경연은 9월 사육마릿수를 전년동월대비 275만3000마리보다 감소한 275만마리로 전망했다. 이같이 지속적인 사육마릿수 감소로 10~11월 도축마릿수는 지난해보다 7~9%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추석 2주 전 한우 도축마릿수는 4만1826마리로 지난해 4만7959마리보다 12.1% 감소됐으며, 예년과 달리 등심·특수부위 등 구이용 재고 적체현상 없이 거의 소진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김영란법 시행과 오는 11월 1일 열리는 ‘한우의 날’ 소비촉진 행사의 축소 가능성, 국내 가격 강세로 인한 수입량 증가 등이 가격 하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농경연은 이같은 가격 상승요인과 하락요인이 함께 공존해 수요의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10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9월 1만9543원 대비 보합세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으며, 11월에는 10월 대비 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한우 2등급 이하 도매가격 약세로 9월 평균 육우 도매가격은 지육 kg당 9227원으로 지난해보다 9.3%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돼지, 수요증가로 kg당 4200∼4500원
10월 돼지고기 공급량은 생산량과 수입량 증가로 지난해보다 4.1% 증가한 10만2000톤으로 전망됐다. 사육마릿수 증가로 10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전년동월보다 1.2% 증가한 152만4000마리로 예상되며, 수입량도 최근 국내 가격 상승에 따라 전년동월보다 증가한 2만1000톤 내외로 추정됐다.
이에 따라 10월에는 등급판정 마릿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수요 증가로 인해 지육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 kg당 4313원 수준인 탕박기준 평균 4200~4500원으로 예상됐다.
이런 가운데 농경연은 11월부터 내년 3월까지 돼지고기 생산량이 전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11월~내년 3월 등급판정 마릿수가 723만마리로 전년동기보다 1.4% 증가할 것으로 추정돼 생산량도 전년동기보다 1.5% 증가한 38만20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반면 국내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로 수입량은 전년동기보다 감소한 12만4000톤이 될 것으로 보여 11월~내년 3월 돼기고기 공급량은 전년동기수준인 50만70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11월과 12월 지육가격은 김장철 수요로 10월보다 상승, 각각 kg당 평균 4400~4700원, 4300~4600원이겠으며, 내년 1월 역시 등급판정 마릿수는 증가하겠으나 명절 수요로 올해보다 상승한 4300~4600원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오는 12월 돼지 사육마릿수는 모돈 사육마릿수 증가에 따른 자돈 생산 증가로 인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3% 증가한 1030만~1050만마리로 전망됐다.
⦿ 추석 축산물시장 결산 (농수축산신문 - 2016.9.29.)
김영란법 시행을 앞둔 올 추석 명절 대목은 저가형 품목 판매량 증가와 긴 연휴의 영향으로 유통업체의 축산물 선물세트 매출이 전반적으로 소폭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가형 선물세트와 고가형 선물세트의 양극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백화점의 경우 축산물 선물세트 매출이 다소 올랐다는 게 업계의 전반적인 분위기다.
신세계백화점의 경우 4.3%, 롯데백화점은 5.6% 가량의 매출신장을 기록했다. 축산물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긴 연휴가 매출 상승에 영향을 미쳐 이번 추석 축산물 선물세트가 호조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모든 유통업체들이 추석특수를 누린 것은 아니다. 현대백화점은 지난해 추석 대비 18% 가량 매출 감소가 나타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우 선물세트 판매가 눈에 띄게 줄어들면서 나타난 결과로 분석됐다.
다만, 양념육이나 수입육 등 저렴한 축산물의 경우는 최고 20~30% 정도의 매출 신장이 기록되면서 고가의 축산물보다는 비교적 저렴한 품목이 강세를 보였다.
박인규 현대백화점 차장은 “가공육 등 일부 저가 품목의 매출 신장이 있었지만 전반적인 축산물의 매출하락은 피하지 못했다”면서 “이번 추석은 김영란법 시행이 본격화되기 이전임에도 불구하고 소비가 크게 위축되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다가오는 설날에는 이같은 소비위축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중저가 위주의 축산물 선물세트가 대세를 이루는 대형마트의 경우 지난해 추석대비 매출의 큰 변화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마트는 이번 추석 대목을 맞아 소비자의 선택을 폭을 넓히고자 한우와 스테이크 소스, 천일염 등으로 구성된 추석선물세트를 선보이면서 경쟁력을 강화해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자극했다.
이덕화 롯데마트 축산팀 과장은 “축산물 추석선물세트 예약판매는 다소 부진한 결과를 보였지만 할인행사, 다양한 상품구성 등 다채로운 프로모션의 진행이 활발히 이뤄져 지난해와 비슷한 소비 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며 “특히 5만원 미만의 추석선물세트 매출 신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마트의 경우도 한우 등 축산물의 선물세트의 사전예약 매출은 4.3%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지만 냉장·냉동 축산물은 현장구매를 선호하는 만큼 전체적인 매출에 큰 타격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대형마트는 5만원 미만의 선물세트의 비중이 높은 만큼 경기 침체, 김영란 법 등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며 “이후 명절에도 선물세트의 구성과 매출 면에서 올해와 크게 다른 점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강세를 보이고 있는 온라인 쇼핑몰의 경우 국내산 육우와 수입육 선물세트 등 저가의 정육세트가 강세를 보였다.
특히 국산 돼지고기 판매가 두드러지게 강세를 보이며, 명절 연휴 나들이나 캠핑 등을 떠나는 추세를 여실히 반영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1월 1주차) (0) | 2016.11.06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5주차) (0) | 2016.10.3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4주차) (0) | 2016.10.2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3주차) (0) | 2016.10.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10월 2주차) (0) | 2016.10.0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9월 4주차) (0) | 2016.09.2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9월 3주차) (0) | 2016.09.1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8월 5주차) (0) | 2016.09.0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8월 4주차) (0) | 2016.08.29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 (2016년 8월 3주차) (0) | 2016.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