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4] 축산물의 검사기준 (제12조 관련)
1. 원유의 검사
가. 검사구분 (1) 원유위생검사 (가) 집유 전 검사 (2) 시설위생검사 다. 검사기준 및 시험방법
원유위생검사 및 시설위생검사로 구분하여 실시한다.
나. 검사요령
관능검사비중검사알콜검사(또는 pH검사) 및 진애검사는 다목의 검사기준에 따라 집유 전에 실시한다. 다만, 진애검사는 필요한 경우에만 실시할 수 있다.
(나) 실험실검사
적정산도시험세균수시험체세포수시험세균발육억제물질검사성분검사 및 그 밖의 검사는 시험항목별로 필요한 기간을 정하여 정기적으로 실시하되, 세균수시험 및 체세포수시험은 각각 농가별로 15일에 1회 이상 실시한다. 다만, 새로 원유를 납유하는 농가, 제10조제1항에 따른 착유가축검사에서 부적합판정을 받은 가축으로부터 착유한 원유를 납유한 농가, 그 밖의 실험실검사에서 부적합판정을 받은 원유를 납유한 농가의 원유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검사를 실시한다.
(다) 농가에서의 집유시 원유의 냉각온도는 5℃ 이하이어야 한다.
집유 전후 각 1회 이상 실시한다.
원유의 검사기준 및 시험방법 등에 대해서는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 따른다.
2. 식용란의 검사
|
가. 식용란의 표면은 분변혈액알내용물깃털 등 사람의 건강에 위해를 야기할 수 있는 이물질이 없어야 한다.
|
3. 가공품의 검사
식육가공품ㆍ유가공품 및 알가공품에 대한 검사항목방법기준 등에 대해서는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 따른다.
4. 수출용 축산물의 검사기준
수출을 목적으로 검사하는 축산물에 대해서는 제1호부터 제3호까지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수입자가 요구하는 검사기준에 따를 수 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관련법규 > 축산관련법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9] 검사불합격품의 용도전환의 방법과 기준 (제24조 관련) (0) | 2014.10.07 |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8] 식육의 합격표시 (제23조 관련) (0) | 2014.10.07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7] 축산물의 수입신고 및 검사방법 (제21조 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6] 검사시료의 채취 및 축산물의 수거기준 (제16조제1항 및 제26조제1항 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 축산물가공업 영업자의 검사기준 (제14조제1항 전단 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의2] 착유가축 검사의 항목ㆍ방법 및 기준 (제10조제2항 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3] 도축하는 가축 및 그 식육의 검사기준 (제9조제3항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의3] 축산물의 포장방법 등 (제7조의10 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의2] 자체안전관리인증기준의 적정성 여부 평가의 방법 및 절차 등 (제7조의6제5항 관련) (0) | 2014.10.06 |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2] 영업장 또는 업소의 위생관리기준 (제6조제1항 관련) (0) | 201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