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우 송아지 번식의향 증가세 주춤, 암소 사육의향은 증가세 지속
o 인공수정액 판매량은 작년 2월에 구제역 영향으로 급감한 후 증가세가 이어지다가
12월에는 전년 동월 대비 10.4% 감소하여 한우 번식의향 증가세가 주춤하였다(표 4).
o 암소 도축률 추세치가 작년 9월에 일시적으로 높아지기는 하였으나 2015년 말부터
꾸준히 하락하여 작년 12월에는 전년 동월보다 1.6%p 낮은 26.1%를 나타내 암소 사
육의향은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그림 3).
표 4. 한우 인공수정액 판매량
단위: 천 st
주: ( ) 안은 전년 동기 대비 등락률(%)
그림 3. 한우 암소 도축률 추세치(12개월 이동평균)
주 1) 암소 도축률 = 월별 암소 도축(판정)두수/월별 1세 이상 암소 두수에 12를 곱하여 연간으로 환산함.
2) 월별 1세 이상 암소 두수는 분기별로 발표되는 가축통계를 이용하여 보간법으로 추정함.
□ 송아지 입식 의향 증가세 완화, 송아지 가격은 보합세
o 송아지 암수 평균가격은 작년 7월부터 추세적으로 낮아지다가 올해 1월(1∼26일)에
는 두당 320만원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으나 전년 동기보다는 14.3% 높은
수준이다(표 5, 그림 4).
- 암송아지 가격은 작년 6월 두당 311만원에서 12월 291만원으로 하락하였으나 올해
1월(1∼26일)에는 292만원으로 강보합세를 보였고 전년 동기 대비 14.6% 높았다(표
5, 그림 4).
- 수송아지 가격도 작년 6월 두당 392만원에서 12월 349만원으로 낮아졌고, 올해 1월
(1∼26일)에는 두당 348만원으로 약보합세가 이어졌으나 전년 동기보다는 14.0% 높
은 수준이다(표 5, 그림 4).
o 올 1월 도매가격 대비 ‘송아지 가격 비율’이 186배 수준으로 작년 동월의 180배에
비하면 다소 높지만 작년 6월 212배에서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어 송아지 입식
의향 증가세가 작년 6월을 기점으로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송아지 가격 비율 = 6∼7개월령 송아지 가격 ÷ 도매시장 지육 경락가격
- 그러나 송아지 입식 의향이 매우 높았던 것으로 평가되는 2010/11년의 160배에 비
하면 아직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어서 송아지 입식 의향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표 5. 월별 송아지 가격(6〜7개월령)
단위: 천원/두
주 1) ( )안은 전년 동월대비 등락률(%)임.
2) 2018년 1월 송아지 가격은 1~26일 평균치임.
그림 4. 송아지 산지가격 동향(6~7개월령)
주: 2018년 1월은 송아지 가격은 1∼26일 평균가격임.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동향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3월 한우 공급동향 (0) | 2018.02.27 |
---|---|
2018년 3월 한육우 번식동향 (0) | 2018.02.27 |
2018년 3월 한육우 사육동향 (0) | 2018.02.27 |
2018년 2월 송아지 가격과 번식 및 입식 의향 (0) | 2018.02.20 |
2018년 2월 한우 도축 및 도매가격 동향 (0) | 2018.02.20 |
2018년 1월 한우 도축 및 도매가격 동향 (0) | 2018.02.06 |
2018년 1월 한우 사육두수 동향 (0) | 2018.02.06 |
2018년 1월 육우 가격 동향 (0) | 2017.12.26 |
2018년 1월 한우 가격동향 (0) | 2017.12.26 |
2018년 1월 한우 도축과 수입 동향 (0) | 2017.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