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우 정액 판매량을 이용한 올해 송아지 생산 잠재력 작년보다 증가
• 정액 판매량을 이용한 송아지 생산 잠재력 추정 결과, 2018년 상반기는 잠재력이 작년보다 낮았으나 하반기는 높게 나타났다.
- 1세 미만 사육 마릿수는 5월 이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우 정액 판매량 현황 |
• 1월 한우 정액 판매량은 작년보다 5.0% 감소한 13만 4천 스트로였다.
1세 미만 송아지 생산 잠재력 추이 |
□ 송아지 입식 의향은 전년보다 높아
• 표본농가 조사결과, 송아지 입식의향은 고기소 강세 영향으로 당초 계획대로 유지하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때문에 송아지 가격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입식 의향 | 2017년 | 2018년 | |||
3월 | 6월 | 9월 | 12월 | 3월 | |
변동없음 | 94.6 | 97.1 | 98.6 | 98.1 | 98.6 |
증가 | 3.4 | 2.1 | 1.4 | 1.5 | 1.4 |
감소 | 2.0 | 0.8 | 0.0 | 0.5 | 0.0 |
송아지 입식 의향 조사 결과 |
□ 1세 이상 마릿수 증가로 3월 한우 마릿수 증가 전망
• 3∼5월 도축 마릿수는 거세우 출하예정 물량이 적어 작년 동기간 17만 마리보다 4.0% 감소한 16만 3천 마리로 전망된다.
• 도축 마릿수 감소와 1세 이상 마릿수 증가가 예상되어 3월 한우 사육 마릿수는 작년보다 0.9% 증가한 275만 9천 마리로 전망된다.
- 송아지 생산 잠재력이 작년보다 낮아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1세 이상 마릿수의 증가 폭이 더 크게 나타나 전체 사육 마릿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6월 한우 사육 마릿수는 1세 미만 사육 마릿수 증가와 도축 마릿수 감소가 예상되어 작년 동기간보다 1.2% 증가한 291만 4천 마리로 전망된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물 월간 동향 > 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6월 쇠고기 수입동향 (0) | 2018.05.28 |
---|---|
2018년 6월 한우 등급판정 동향 (0) | 2018.05.28 |
2018년 6월 한육우 번식동향 (0) | 2018.05.28 |
2018년 6월 한육우 사육동향 (0) | 2018.05.28 |
2018년 3월 한우 공급동향 (0) | 2018.02.27 |
2018년 3월 한육우 사육동향 (0) | 2018.02.27 |
2018년 2월 송아지 가격과 번식 및 입식 의향 (0) | 2018.02.20 |
2018년 2월 한우 도축 및 도매가격 동향 (0) | 2018.02.20 |
2018년 1월 한우 번식·입식 의향 및 송아지 가격 동향 (0) | 2018.02.06 |
2018년 1월 한우 도축 및 도매가격 동향 (0) | 201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