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2월 2주차)
⦿ 축산물 출하정보<소> (11월26일~11월30일) (농민신문 - 2018.12.5.)
경기불황과 군납물량 감소로 소비량이 줄어든 가운데 출하량이 적어 값이 반짝 상승세를 보였다. 하지만 산지에 한우 거세우를 중심으로 출하대기 물량이 많아 조만간 출하량이 다시 늘어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값은 상승세를 멈추고 하락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한우는 총 7930마리가 경매됐다. 한우 거세우의 평균 경락값은 지육 1㎏당 1만8505원으로 지난주보다 515원 올랐다. 1㎏당 경락값은 ▲1++A 등급은 619원 상승한 2만1920원 ▲1++B 등급은 625원 오른 2만818원이었다. 육우 거세우는 총 585마리가 거래됐다. 1㎏당 경락값은 31원 하락한 1만1179원이었다.
⦿ 축산물 출하정보<돼지> (11월26일~11월30일) (농민신문 - 2018.12.5.)
김장철 수육용 돼지고기 수요가 증가해 값이 상승할 것이란 예상이 빗나갔다. 출하량이 증가했고 예년에 비해 김장을 담그는 가정이 줄어들면서 수육용 돼지고기 소비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값싼 외국산 돼지고기가 국내시장을 잠식하면서 값이 상승세를 타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돼지는 총 2만5413마리가 경매됐다. 1㎏당 지육값(탕박 기준, 등외 제외)은 3932원으로 지난주보다 36원 올랐다. 모돈(박피)은 2187마리가 거래됐으며, 1㎏당 값은 48원 하락한 1972원이었다.
⦿ 12월 축산관측 (농수축산신문 - 2018.11.30)
# 한우, 내년 상반기 초까지 사육마릿수↑·도매가격↑
한우 출하예정마릿수는·도축마릿수 감소로 12월과 내년 1~2월 1등급 한우의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생체 750kg 기준 800만원 내외로, kg당 1만7300~1만8300원 사이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1~2월에는 이보다 더 올라 750kg 기준 822만원 내외, kg당 1만7800~1만88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육마릿수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2월 한우 사육마릿수는 지난해 대비 2.3% 증가한 293만9000마리로 전망된다. 도축마릿수는 감소하는 반면 1세 이상 한우의 사육마릿수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올해 1세 미만 한우 사육마릿수가 증가했는데 이는 내년 1~2세 마릿수 증가에 영향을 끼쳐 내년 3월 기준 한우 사육마릿수는 전년동기 대비 2.6% 증가한 287만5000마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내년 송아지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지난 1~10월간의 한우 정액 판매량은 지난해보다 2.6% 증가한 173만스트로로 나타나 내년 송아지 생산마릿수의 증가가 예상된다.
# 돼지, 사육마릿수 증가로 가격 하락 3700~4000원
12월 돼지 사육마릿수는 지난해 동월 대비 증가하고 도매가격은 지난해 보다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12월 돼지 사육마릿수는 모돈 수가 지난해 105만마리 보다 0.2~2.1%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자돈 생산도 늘어 지난해 동월보다는 1.1~2.9% 증가한 1140만~1160만마리로 전망된다.
12월 등급판정마릿수는 돼지 사육마릿수 증가로 지난해 동월보다 많은 150만~154만마리로 전망됐고 이에 따라 돼지고기 생산량도 지난해 동월보다 증가한 8만톤 내외로 예상된다.
도매가격은 돼지고기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12월에는 지난해 대비 하락한 kg당 3700~4000원으로 전망된다.
12월 돼지고기 수입량은 미국과 EU 등 주요 수출국의 가격 하락으로 전년동월 보다 증가한 3만2000톤 내외로 전망된다. 다만 10월까지 국내 수입량의 17.2%를 차지한 독일, 스페인 11.5%, 네덜란드 5.5% 등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시 수입금지 조치로 인해 수입량은 전망치보다는 감소할 가능성도 있는 상황이다.
한편 지난 10월까지 돈육 수입량은 수입단가 하락으로 지난해 동기간 31만1119톤보다 22.3% 증가한 38만438톤을 기록했다.
⦿ 2018 한우산업 결산 (축산신문 - 2018.12.7)
# 한우농가 가격 상승에도 불안
한우가격은 올 한해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올해 1~5월 한우 도축두수는 31만2천145두로 지난해보다 3%정도 늘었다. 평균가격은 1만7천561두로 9.5%올랐다. 명절을 겨냥한 1~2월 도축두수가 많이 늘어난 것이 눈에 띈다. 청탁금지법의 선물 가액기준이 일부 상향조정되고 처음 맞은 명절이 소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공급량이 늘어났지만 가격 상승은 지칠 줄을 모르는 상황에 업계에서는 진땀을 흘렸다. 특히, 유통업체에서는 원가부담으로 경영에 부침을 겪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경락가격이 너무 높은 상황에서 매달 적지 않은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유통업계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 송아지가격 고공비행
소규모 형태의 번식농가들이 최근 급격히 감소함에 따라 송아지 공급량이 줄었고, 이로 인해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발생했다.
실제 가축시장 관계자들도 출장두수가 줄어 소를 구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가격이 급등하면서 큰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더욱 문제는 시장에 나온 송아지들의 자질은 예전보다 나빠졌다는 것이다. 번식농가가 줄고, 일괄사육농가들이 늘어나면서 시장에 나온 송아지들은 대부분 일괄사육농가에서 생산한 송아지 가운데 자질이 떨어지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자질이 좋은 송아지는 직접 비육해 출하하고, 자질이 떨어지는 송아지들을 장에 내보내 팔아버리는 것이 일반적인 패턴이기 때문이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축산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9년 1월 2주차) (0) | 2019.01.13 |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9년 1월 1주차) (0) | 2019.01.0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2월 5주차) (0) | 2018.12.30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2월 4주차) (0) | 2018.12.23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2월 3주차) (0) | 2018.12.16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2월 1주차) (0) | 2018.12.02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1월 4주차) (0) | 2018.11.25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1월 3주차) (0) | 2018.11.18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1월 2주차) (0) | 2018.11.11 |
금주의 한우 한돈 뉴스 종합(2018년 11월 1주차) (0) | 2018.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