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의 어원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황소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누런 소를 연상하게 되는데요.
즉, 황소를 누루 황(黃)과 소(牛)라고 생각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것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황소에는 다른 의미도 있습니다.
즉,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황소’를 ㉠ 큰 수소와 ㉡ 누런 소(=황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황소가 누런 소라는 것은 대부분 알 수 있으나, 큰 수소를 의미한다는 것은 바로 와닿지 않을 것 같은데요.
황소는 원래 ‘황’과 ‘소’로 분석되지만, ‘황’은 한자 ‘황’(黃)에서 온 것이 아니고, ‘한쇼’의 변화형입니다.
그럼 한쇼는 무엇일까요?
‘한쇼’는 ‘한’과 ‘쇼’로 분석되는데, ‘쇼’는 오늘날의 ‘소’를 의미하고, ‘한’은 ‘크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원래 ‘한쇼’는 암소나 수소와 상관없이 단순히 ‘몸집이 큰 소’를 의미하였었습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암소보다 수소가 몸집이 더 컸고, 수소의 색깔이 대부분 누런 색이었으므로 ‘한쇼’의 ‘한’이 ‘황우’의 ‘황’에 견인되어 ‘한쇼’가 ‘황소’로 되었다고 합니다.
이에 황소는 ‘한쇼’가 의미하던 ‘몸집이 큰 수소’ 이외에 ‘누런 소’라는 의미가 부가되었고, 20세기부터는 황소라는 용어만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국립국어원에서 편찬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황소를 ㉠ 큰 수소와 ㉡ 누런 소(=황우)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는 ‘황새’가 있습니다.
황새도 ‘한새’가 변화된 단어로 ‘큰 새’를 의미하였던 단어입니다.
추천과 댓글은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축산업 > 정육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심 전골 만들기 (0) | 2014.06.05 |
---|---|
안심 스테이크 만들기 (0) | 2014.06.04 |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3편 안심의 요리용도) (0) | 2014.06.03 |
소고기 안심에 대하여 알아봅시다..(제2편 안심의 발골 및 정형) (1) | 2014.06.03 |
2013년도 도축장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 운용수준 평가결과 입니다.. (0) | 2014.05.27 |
한우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2) | 2014.05.27 |
소고기의 구입요령 - 3. 소고기의 용도 (2) | 2014.05.21 |
소고기의 구입요령 - 2. 식육판매표지판으로 확인하는 방법 (0) | 2014.05.21 |
소고기의 구입요령 - 1.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0) | 2014.05.21 |
소의 품종. 유육겸용종 (0) | 2014.04.18 |